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키텍처 변환 패턴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진화 프레임워크

        박태현,안휘,강성원,박종빈,황상철,Park, Taehyun,Ahn, Hwi,Kang, Sungwon,Park, Jongbin,Hwang, Sangcheol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13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26 No.1

        소프트웨어 시스템 진화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보수의 일종으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유지보수 프로세스이다. 소프트웨어 진화 연구는 기존 시스템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유지가치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공하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진화는 반복적인 진화 작업의 자동화를 가능케 하여 유지보수 비용 감소를 가능하게 해주는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키텍처 변환패턴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진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Software System Evolution is more planned and systematic maintenance process as well as a type of maintenance. The research of software evolution provides basis of decisions for maintenance value through cost-benefit analysis of legacy system and architecture-based software evolution enables engineers to reduce maintenance cost by automation of repetitive evolution tasks.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software system evolution using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pattern.

      • KCI등재
      • 유기농업자재 산업 현 상황과 개선 방안 제안

        박태현 ( Taehyun Park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2007년 국내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 공시제도 시행 이후 2022년 6월 현재 우리나라에는 719개 업체에서 총 1,946개의 유기농업자재를 공시하여 사업 중이다. 이중 작물 보호가 목적인 병해충관리용 자재는 665개로 방제 대상에 따라 병해충관리용 115개, 병해관리용 224개, 충해관리용 316개로 분류 된다. 이는 화학농약(살균제, 살충제)이 연간 약 25개 내외로 신규 제품이 등록되는 것과 대비하면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약 15년간 유기농업자재가 급속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는 최근 예측 불가능한 기후변화가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도록 제정된 공시제도의 역할이 크다. 현재 농업환경은 고령화 문제에 의해 다시 변화의 움직임이 있으며 가장 가시화 된 부분은 사용 편의성에 중점을 둔 생력화 농업이다. 무인농기계, 스마트팜이 대표 사례로 볼 수 있으며, 노동력 감소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국내 업체에서도 관련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향후 농업을 지탱할 사업영역으로 자리 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급격한 농업환경 변화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유기농업자재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개발 측면에서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금된 폴리카보네이트 분리판을 이용한 공기 호흡형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 관한 연구

        박태현(Taehyun Park),이윤호(Yoon Ho Lee),장익황(Ikwhang Chang),지상훈(Sanghoon Ji),백준열(Jun Yeol Paek),차석원(Suk Won Cha)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도금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공기호흡형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제작하였다. 도금층은 구리 40μm, 니켈 10μm, 금 0.3μm 로 구성되었으며, 구리는 전기 전도층, 니켈은 구리와 금의 결합, 금은 도금층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분리판을 사용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 120mW/cm<SUP>2</SUP> 의 전력 밀도를 보였으며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그라파이트 분리판을 사용했을 때의 전력밀도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평판형 12 층 스택의 공기호흡형 연료전지를 구성한 결과 각 전지당 132.7mW/cm<SUP>2</SUP> 의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12 시간 운전해본 결과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 공기호흡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분리판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metal-plated polycarbonate was adopted as a material for bipolar plates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The coated layers included 40-μm-thick copper, 10-μm-thick nickel, and 0.3-μm-thick gold that respectively played the roles of current conduction, adhesion between copper and gold, and minimization of surface corrosion. The maximum power of the air-breathing PEMFC with polycarbonate bipolar plates was 120 mW/cm<SUP>2</SUP>,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graphite bipolar plates. Finally, the maximum power of a 12-cell stack of polycarbonate bipolar plates was 132.7 mW/cm<SUP>2</SUP>, and it had an operating time of 12 h. Therefore, this was considered a suitable material for bipolar plates in PEMFCs.

      • 신속한 유방암 진단을 위한 일회용 미세유체장치

        박태현(Taehyun Park),Michael C. Murphy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A new concept of circulating tumor cell (CTC) capture device is developed for fast, simple, and inexpensive breast cancer diagnosis. The high flow rate CTC capture device overcomes the current limitation of the CTC capture method. Current technology could not offer high flow rate capture of CTCs or high capture purity of the target cells due to the low flow velocity or lack of specific binding. The high flow rate device manipulates velocity vectors and forces the target cells toward the antibody immobilized channel surfaces to maximize the capture rate. Non-specifically bound cells washed out during rinsing process or drained through micro channels. The remained target cells, fluorescence stained and specifically bound target cells, count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high flow rate devices were hot embossed 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and UV modified. Anti-EpCAM was immobilized on the UV modified PMMA surface after amine functionalization process. The disposable polymer CTC capture device will increase the early stage detection rate because it increase the breast cancer exam frequency. The disposable high flow rate CTC capture device shows high capture rate (~85%) at high flow rate (0.75 ㎖/min) with high purity from 7.5 ㎖ whole blood. Viable MCF-7 cells were stained with membrane fluorescence. Exact number of MCF-7 cells were spiked in 7.5 ㎖ of undiluted blood and recovered using the high flow rate device in 10 minutes.

      • SEALING OF POLYMER MICRO DEVICES USING A BOILING POINT CONTROL SYSTEM

        Taehyun Park(박태현),In-Hyouk Song(송인혁),Michael C. Murphy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A new advanced technique for thermoplastic fusion bonding (TPB) using a Pressure-Assisted Boiling Point (PABP)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he proposed PABP system enables precise control of both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fusion layer. The temperature variation was ~ 0.1℃ at the target temperature and a 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was accomplished. Very low aspect ratio channels (AR=1/100, 10 ㎛ in depth and 1000 ㎛ in width) were successfully sealed without deformation or collapse. Bond strengths were greater than 496 ㎪. In addition, a microfluidic system on a non-flat surface was sealed, enabling Lab-on-a-Foil technology. The PABP system can be easily built using inexpensive components and simply operated. Moreover the PABP system should be scalable for mass production and large area devices.

      • Operating Condition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Using Grafoil^{TM} as Bipolar Plates

        박태현(Park, Taehyun),장익황(Chang, Ikwhang),이윤호(Lee, Yoon Ho),이주형(Lee, Juhyung),차석원(Cha, Suk-W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In this study, Grafoil^{TM} which has comparable electric resistance and chemical stability but is flexible, fragile, and cheap material was adopted as bipolar plat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PEMFC) having only one straight line flow channel. Because of its flexibility, pressurizations of cell with various pressures showed different operating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rdinary graphite-used PEMFC. While performances of both cells decreased as these were pressurized, investigation of ohmic and faradaic resistance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measurement indicated different tendency of change. Ohmic resistance of graphite-used cell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which is reversed in Grafoil^{TM}-used cell. It is speculated that effective chemical reaction area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in case of graphite-used one, but because of flexible property of Grafoil^{TM}, gas diffusion layer in Grafoil^{TM}-used cell was well-activated. Different rate of change of faradaic resistances in both cells support this supposition. However, although optimum point of pressurization is found,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other operating conditions because of low performance compared to graphite-used cell.

      • KCI등재

        환경과 개발가치의 통합을 위한 협의적 의사결정에 관한 시론

        박태현(Park, Taehy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환경법과 정책 Vol.10 No.-

        (대규모) 조력발전의 건설ㆍ운영에 따라 예상되는 부정적 환경영향으로 공통적으로 수위차 감소에 따른 조간대 면적의 변화, 조류 유속 및 해수유통률의 변화, 갯벌 등 습지의 훼손, 생물다양성의 감소 등이 지적된다. 조력발전사업이 연안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어업(경우에 따라서는 관광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쳐 해당 지역사회에서는 조력발전사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대립이 일어난다. 이 글에서 먼저 조력발전사업이 계획된 지역사회의 갈등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는데 여기에는 사전환경성검토 및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불신, 사업타당성 검토에 대한 불신, 주민의견 수렴방식에 대한 불만 및 사업추진에 따른 이익 또는 보상에 대한 불만이라는 전통적 갈등원인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의 보급확대를 실현하기 위하여 도입된 의무할당제 즉 RPS가 RPS 적용 발전사업자로 하여금 비용경제적인 의무이행방법으로‘대규모’조력발전시설의 건설을 부추기고 있다. 그런데 대규모 설비 건설ㆍ운영에 따른 환경적(사회적) 비용은 외부화되므로 사업자로서는 조력발전사업계획의 수립과정에서 그러한 비용을 고려할 특별한 동기가 없고 따라서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의사결정과정에서 고려, 반영하도록 강제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략환경영향평가제는 특히 협의라는 행위의 본질상 그러한 환경적 결과의 고려, 반영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한편 우리 사회에는 지역주민, 나아가 일반국민에게 광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장기종합적 행정계획이 다수 있다.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댐건설 장기계획 등이 그러한 것에 포함될 것인데 조력발전계획은 바로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겨지게 된다. 그런데 전력수급기본계획 등과 같은 장기종합적 행정계획의 경우 환경적 결과에 대한 고려가 계획수립기관 밖의 제3자에 의하여 결정, 부과되는 제도인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넘어 관련 개발부처와 환경부처 그리고 시민(단체)가 정책수립의 부분주체로 참여하는 협의적 의사결정방식에 따라 하나의 의사결정체계 안에서 환경ㆍ사회ㆍ경제적 영향 등이 적절히 고려, 반영되는 가운데 수립된다면 환경과 개발가치의 통합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을 보다 내실 있게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또한 개발과 환경보호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관련갈등의 관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The adverse environmental effects that tidal power project have on coastal environment include in general such as follows: a changes in flow speed of tide, a detriment to wetlands, a loss of biological diversity, which in turn could have significant, or more or less, repercussions on the local fisheries, and as their consequences the societal, and further political contestations over the tidal plant construction project have been taking place within the local community in which the project is to be undertake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irst of all,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rising in the local community, the causes that include commonly the mistrust of allegedly incomplete EIA, the doubts over the project’s feasibility, a grievance against a way of public hearing, and the discontent of the level of indemnifications to be given in exchange of the proceeding of the project. Meanwhile, RPS that have been introduced with view to making realization of the proliferation of renewal energy sources supply has tendency to encourage for power enterprises bound to RPS to choose big-scaled power facilities, which is, in part, because that power operators have not motivations to consider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their societal ones that are to be externalized. Therefore the duty to take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into consideration is to be externally imposed in making-decisions system relating to developments, in order for which SEA and SIA(Social Impact Assessment) should be undertaken in appropriate way. Furthermore, if long-term and comprehensive administrative plans that need a social consensus because of their overarching impacts on a wide range of matters are established in the consultative decision-making system as governance one, where the socio-economic effects from tidal power are taken into accounts, the possible societal conflicts will be prevented, otherwise beremarkably diminished.

      • KCI등재

        인류세에서 지구공동체를 위한 지구법학

        박태현(Park, Taehy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6 No.-

        인류가 자신의 능력으로 지구적 차원의 지질학적 추동력이 되는 인류세 시대에 접어들었다. 인류가 지구의 지질학적 힘이 되면서 나머지 지구공동체 성원과 사이에 형성된 ‘운명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존립을 결정하는 종이 되었다. 인류는 자신과 지구공동체 다른 성원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자신의 영향력을 적절한 수준과 방식으로 자기 통제해야 하는 책임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책임 이행의 맥락에서 법으로써 인간의 행동에 자연의 법(the law of Nature)에 부합하는 규율성을 부과하고자 하는 법철학으로서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이 태동하였다. 이러한 지구법학은 인간은 더 넓은 존재공동체, 곧 지구공동체의 한 부분이고, 지구공동체의 각 성원의 안녕은 전체로서 지구의 안녕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고에 바탕한 법과 거버넌스에 관한 철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구법학이 하나의 사상으로서 기존의 환경윤리와 차별성을 갖는 지점은 그것이 ‘지구공동체의 건강과 안녕’을 최고의 ‘공동선’으로 설정하고, 이의 성취를 위한 도구로써 우주의 기능방식을 규율하는 근본 법 내지 원칙(위대한 법)에 부합하는 ‘인간의 법’을 내세우고 있다는 데 있다. 지구법학의 바탕 사상 내지 철학은 신학자이자 문화사학자인 토마스 베리의 사유체계로부터 기원한다. 베리는 인간을 더 큰 지구공동체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며, 인간 중심의 법과 거버넌스시스템에서 지구공동체 중심의 시스템으로의 전환, 곧 지구공동체와 모든 성원의 안녕을 상위의 공동선으로 상정하는 법과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구공동체의 각 성원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전제에서 기본적 권리로 ‘존재할 권리’와 ‘서식지에 대한 권리’ 그리고 ‘지구 공진화과정에서 자신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권리’가 있음을 주창하며 인간의 법에 이를 반영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지구법학의 이러한 강조와 제안은 인간 사회는 더 넓은 지구공동체의 일부로 자신을 규율하고, 우주의 작동 방법을 규율하는 근본 법 내지 원칙(위대한 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때만 생존 가능하고 또 번영할 수 있다는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The Anthropocene era has entered. What is the responsibility of mankind, who emerged as a global geological force, to the Earth and to the rest of the Earth? Wha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world’s systems of law and governance to meet these challenges? Clearly, a “business-as-usual” approach will yield more of the same. A meaningful response to the ecologic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is era requires a shift of thinking at the jurisprudential level. This Article offers a vision and definition of jurisprudence—an “Earth Jurisprudence”--to guide the transformation of law and governance for the well-being of humanity and the Earth community. EarthJurisprudence is a developing field that rethinks law and governance from an Earth-centered perspective. Earth Jurisprudence is a philosophy of law and human governance based on the idea that humans are only one part of a wider community of beings and that the welfare of each member of that community is dependent on the welfare of the Earth as a whole. From this perspective, human societies will only be viable and flourish if they regulate themselves as part of this wider Earth community and do so in a wa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laws or principles that govern how the Universe functions. We don’t understand the rights of the Earth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we understand human rights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the rights of the Earth. The time has come for us to change our perspective and think about the law. Earth law will serve as an excellent guide for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