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외상경험자의 자기의 회복과정

        박철옥,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in complex trauma survivors’ experience of self through psychotherap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adul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at significantly disrupted their self-system. Grounded theory was used i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ata analysis from open coding resulted in 94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acing one’s self and working through the painful feelings associated with traumatic events'. Results showed that two casual conditions for the change process of the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being stuck in a traumatized self-system’ and ‘being disconnected from the world’.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ed the central phenomenon was ‘having the will and courage to change’. Mediating conditions were ‘having a social support network’ and ‘getting support from the therapist'. Six action or interaction strategies they used to deal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ere ‘maintaining daily life functions’, ‘learning emotion regulation skills’, ‘developing self-compassion’, ‘appreciating and enjoying life’,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and ‘making meaning out of the trauma experience’. And the results followed were ‘accepting oneself’, ‘being connected to the world’, ‘rebuilding one’s sense of self’, and ‘remaining unrecovered from the trauma’. The study participants also identified five stages of the change processes of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1) awareness of one’s self, 2) understanding oneself with compassion, 3) confronting one’s self, 4) self-acceptance, and 5) rebuilding one’s self. And two stages of the change processes of complex trauma patients through psychotherapy were 1) awareness of one’s self, 2) avoidance of one’s self.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for complex trauma patients in psychotherapy was to ‘rebuild one’s self through creating self-narrative of trauma memories'. Based on this result, we provid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bout the process of change in complex trauma survivors’ experience of self through psycho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상담과정에서 어떤 요소들을 치료적으로 경험하여 자기가 회복되어 가는지, 어떤 전략들을 사용하여 스스로가 회복되어 가는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경험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94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의 회복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자기를 마주하는 힘겨운 여정을 견딤’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은 ‘트라우마에 갇힌 자기’, ‘세상과 단절된 자기’, ‘회복하려는 용기가 있음’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의 지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복합외상경험자의 자기의 회복과정에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활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일상을 잘 유지하기’, ‘감정을 알아차리고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기’, ‘자기를 스스로 위로하기’, ‘삶을 향유하기’, ‘대인관계 기술을 터득하기’, ‘트라우마를 통해 얻은 의미를 만들기’이었다. 이러한 전략을 활용한 자기의 회복과정의 결과는 ‘자기를 수용함’, ‘세상과 연결됨’, ‘자기를 재형성함’, ‘회복되지 않은 자기로 머무름’으로 나타났다.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회복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 과정은 자기인식 단계, 자기에 대한 공감적 인식 단계, 자기 직면 단계, 자기 수용 단계, 자기 재형성 단계로 5단계와 자기 인식 단계, 자기 외면 단계의 2단계로 설명된다.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의 회복을 위해 사회․심리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트라우마 기억을 자기의 이야기를 통해 재형성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의 회복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외상경험자들이 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트라우마 기억을 자기의 이야기를 통해 재형성해가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자기의 회복과정을 위한 상담심리치료와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박철옥,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exposure, experiential avoidance, forgivenes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in North Korean refugee. Among 135 North Korean refugee in Seoul and In cho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from 115 North Korean refugee were analyzed. All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had exposed and approximately 93.9% reported that the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had exposed.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avoidance-numbing and hyperarousal of PTS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fou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significantly predicted reexperience symptom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avoidance-numbing and hyperarousal sympto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important data on the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its psychological effect on North Korean refugee.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reatment of PTSD sympto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s well as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새터민 115명으로 남성 43명과 여성 7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새터민 모두 한개 이상의 외상경험이 있었고, 약 93.9%가 두개 이상의 대인 관계적 외상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하위 영역인 회피․마비 증상과 과각성 증상에 있어서 남녀 간의 성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하위 영역(재경험, 회피․마비, 과각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험회피가 재경험 증상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회피와 성별이 회피․마비 증상과 과각성 증상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경험회피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예측력은 재경험 증상, 회피․마비 증상과 과각성 증상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새터민 대인관계 외상 경험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심리적 영향을 이해하는 경험적 근거와 새터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치료적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령에 따른 청소년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양상: 자아정체감,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 및 자아존중감을 변인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이은형,박철옥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1

        Analyz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to sixth wave of the middle school 1st year panel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by multilayer modeling, this study looked into how adolesences’multi-cultural acceptance change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and explored individual and local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dolesences’ multi-cultural acceptance descends as time passes by. Secondly, individual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awareness affect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ences. Thirdly, individual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awareness also affects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pecifically low self-identity with high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awareness makes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lowered more sharply. Foulthly, self-esteem affect self-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awareness all, and gender affects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awareness also. Lastly, individual local community awareness is affected by local community awareness of local level.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explains how adolesences’ multi-cultural acceptance change, and introduce how to develop multi-cultural acceptanc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well.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 중1패널 1차년도에서 6차년도까지의 데이터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해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런 연령 증가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변인의 영향을 개인 및 지역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조금씩 낮아졌다. 둘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개인의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지역사회인식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율에도 개인의 자아정체감 및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인식이 영향을 미쳤고, 구체적으로는 자아정체감이 낮고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인식이 높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더 급격히 감소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지역사회인식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성별 또한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지역사회인식은 지역 수준의 지역사회인식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양상을 설명하고,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발달을 돕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외상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남여명,박철옥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 web-bas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of 374 adults with history of traumatic life events. The scale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a questionnaire on traumatic experience, TMMS (Trait Meta Mood Scale), K-CERQ (th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K-PTGI (the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Mplus 7.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fact that high emotional awareness is related to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conducted for emotional awareness while counseling adults that have had a traumatic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웹기반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외상을 경험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374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온라인상에서 실시하였고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 이후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정서에 대한 높은 인식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외상을 경험한 성인에 대한 상담 시 정서인식을 위한 개입의 효과성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상관련 정서의 확장: 수치심, 죄책감, 분노를 중심으로

        안현의,박철옥,주혜선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rauma-related emotions have been mainly discussed as fear, horror, and helplessness since the diagnostic criteria of PTSD as an anxiety disorder have been concerned with such emotions only. However, there is a recent consensus in the research and clinical fields that shame, guilt, and anger, which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ary emotions of trauma, are as important as those primary emotions. In our article,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trauma-related emot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secondary emotions, and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that were conducted to date. We also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context of secondary trauma-related emotions, and finally, we introduced the recent attempts to expand trauma therapy based on the importance of such emotions. PTSD는 불안장애로 간주되면서 이제까지 외상관련 정서로 두려움, 공포, 무력감이 주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최근 상담실무현장을 중심으로 이러한 1차 정서반응 외에 수치심, 죄책감, 분노와 같은 2차 정서가 외상경험자들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외상 관련 2차 정서들에 대한 연구와 치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으로 인한 개인의 다양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지금까지 상담심리학 및 관련분야에서 제기된 이론적 문헌과 경험적 연구들을 개관하고 향후 필요한 외상정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외상관련 정서의 사회문화적 영향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외상관련정서가 갖는 치료적 함의와 치료적 적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외상관련 정서가 PTSD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안현의,박철옥,주혜선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related emotions and PTSD by gender comparis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140 male and 184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Trauma Appraisal Questionnair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s betrayal, fear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more higher than males’ bu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PTSD. Second, the mor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d their trauma-related emotion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 more positive students’ PTSD.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ienation was stronger predictor of males’ PTSD, however,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stronger predictor of females’ PTSD. Finally,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외상관련 정서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4명(남 140명, 여 184명)을 대상으로 외상 사건 체크리스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외상정서평가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성별에 따라 외상관련 정서, 정서조절곤란과 PTSD 증상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정서조절곤란을 통제 변인으로 설정한 후 성별에 따라 PTSD 증상을 예측하는 외상관련 정서 반응의 유형이 다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배신감, 공포, 정서조절곤란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PTSD 증상은 여학생과 남학생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외상관련 정서, 정서조절곤란과 PTSD 증상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남녀 대학생이 외상관련 정서를 높게 지각하고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할수록 PTSD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의 외상관련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에 따른 PTSD의 설명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소외감이 PTSD 증상을 예측하는데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여학생의 경우는 정서조절곤란이 PTSD 증상을 예측하는 데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상담에서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전춘애,박철옥,이은경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dolescents' demographic, psychosocial, family environmental, and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629 males and 807 females) of middle school which are located in Seoul. We analyzed t-test and ANOVA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Internet Addiction depends on the variable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to comprehend the relative influences between these variables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family economic status, self-esteem, control of anger,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parents' rearing attitud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peer and teacher's support). Also, the Internet Addiction is affected by numerous variables such as adolescents' gender, economic status,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father's caring, father's control, mother's caring and mother's contro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tensively the variables which to predic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s and to examine the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the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청소년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가정환경 특성, 사회 환경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차이가 있는지와 이러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11개 중학교 남학생 629명과 여학생 807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가정경제수준, 자아존중감, 분노조절,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친구 지지, 교사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성, 경제수준,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 아버지 돌봄, 아버지 통제, 어머니 돌봄, 어머니 통제 변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관련 변인들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들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