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변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미각 자극의 기본 맛과 강도에 따른 정서표상

        박채,김인익,김종완 한국감성과학회 2023 감성과학 Vol.26 No.2

        According to the core affect theory, affect consists of two independen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various types of stimuli, such as pictures, videos, and music, ar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However, the research on affect using gustatory stimuli has not been explored suffici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ffects elicited by tastes could b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Stimuli were selected based on two factors (taste types and intensity).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ach stimulus, evaluated the tastes, and rated their affective responses on taste and emotion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s and multivariate analys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felt positive for sweet stimuli but negative for bitter and salty. Furthermore, participants reported high arousal with high intensity.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aste stimuli are also represented on the core affect dimension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dimension, sweetness was represented as a positive affect, while bitter and salty tastes were represented as a negative affect. In the second dimension, bitterness was represented as low arousal and sourness as high arousal. Classification analyses confirmed that the taste was identified consistently based on the affective responses within and across participa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aste stimuli in daily life are also located on core affec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 핵심정서(core affect) 이론에 따르면, 정서는 정서가(valence)와 각성가(arousal)의 독립적인 두 차원의 구성으로이루어진다(Russell, 2003; Russell & Barrett, 1999). 기존 정서 연구에서는 정서를 유발하는 여러 시청각 자극들이핵심정서 차원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자극은 시각과 청각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미각 자극들을 활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유발 자극으로서 미각 자극을 활용하여 유발된 정서가 미각 자극의 속성에 따라 핵심정서 차원에 표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식품들을 4가지 기본 맛 유형(단맛, 쓴맛, 신맛, 그리고 짠맛), 그리고 2가지 맛의 강도 설계로자극을 선정하였다. 참가자들에게 각 자극을 제시하고, 자극에 대한 맛 평정과 참가자가 느낀 정서를 평정하도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변량분석방법인 반복측정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방법인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및 분류분석(classific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단맛을 지각할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쓴맛 혹은 짠맛을 지각할수록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각성가 결과에서는 맛의 강도가 강할수록 더 높은각성 경험이 보고되었다. 다차원척도법 분석 결과, 1차원에서 단맛 대 쓴맛 그리고 짠맛 대비를, 2차원에서 쓴맛과짠맛 구분을 확인하였다. 벡터 피팅 결과는 핵심정서이론의 설명대로 1차원이 정서가, 2차원이 각성가 차원으로 구성되었음을 지지하였다. 분류분석 결과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을 통해 미각 자극의 맛 유형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각 자극도 자극 속성에 따라 핵심정서차원에 위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COVID-19 자가격리자의 인스타그램 이용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박채,이상인,김종완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Vol.2022 No.0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SNS us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use of SNS could alleviate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quarantine period. Sixty-on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 survey on loneliness, Instagram use, and depression at different time points(during the self-isolation and after the release of self-iso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time poi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loneliness, the effect of SNS use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only during the self-isolation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face-to-face social contact is impossible, using SNS may strengthen the depression rather than alleviate it.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무용의 형태가 무산소성 파워와 혈중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미라(MiRaTchai),정용수(YongSooJung),대홍(DaeHongPark),원광희(KwangHeeWon),에스더(TchaiEsther)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여학생들과 규칙적으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일반 여대생들간에 무산소성 파워 능력과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성분을 분석하므로써 장기간의 무용 연습의 유·무와 무용 연습의 형태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그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은 한국무용 전공자 6명, 발레 전공자 6명, 현대무용 전공자 6명, 현재 규칙적으로 운동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운동을 해 본 경험이 없는 여자 대학생 5명을 비교 집단으로 4그룹으로 나누었다. 한국무용 전공자는 9.33±3.20yrs, 발레 전공자 8.00±1.26yrs, 현대무용 전공자 9.00±1.67yrs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자와 현재 규칙적으로 운동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운동을 해 본 경험이 없는 여자 대학생으로 나누었다.Winggate test의 결과는 전공 영역별 무용수들의 무산소성 파워는 무용 전공의 형태에 따라 영향올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험자들의 신체구성에 관한 연구 결과 한국무용 전공자(22.81%)가 발레(23.44%), 현대무용(25.21%), 일반인 (25.22%)들 보다 낮은 체지방을 나타냈지만 네 집단간에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들의 혈중 지질성분에 관하여 변량 분석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만이 네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한국무용이 현대무용과 발레무용수들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무용수들과 일반 여대생들과의 비교에서는 현대무용과 발레 무용수들이 일반 여대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에서 지속적인 장기간의 무용 연습은 신체의 무산소성 파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무용 전공별 학생들의 무산소성 파워는 차이가 없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무용 형태의 차이는 무산소성 파워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하지만, 이에 따른 보다 명확한 결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후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college female dancers with regard to anaerobic power outputs,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Also, all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danc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edentary college women(non-dancers).All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Korean Folk Dance Group (n=6), Ballet Group (n=6), Modern Dance Group (n=6), and Non-Dance Getup (n=5)} on the basis that they participated in a dance performance. All dancers had been practiced in dance classes for Korean Folk Dance Group 9.33±3.20, Ballet Group 8.00±1.26, Modern Dance Group 9.00±1.67 years and had no experience of regular exercise.The results of Wingate Test demonstrated that anaerobic power outputs in dancers were greater than that of non-danc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anaerobic power differences among the dancers. Regarding on body composition, the Korean folk dancers (22.81%) had a slightly lower percent body fat than those of ballet dancers (23.44%), modern dancers (25.21%) and non-dancers (25.22%)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erms of blood lipid profi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DL-C and HDL-C among the four groups. The Korean folk dancers and non-dancers, however, had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levels than those of ballet and modern dancers.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ancers and non-dancers in anaerobic power outputs might be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practice or movements. However, we need more study to verify the somewhat higher total cholesterol levels in ballet and modern dancers than Korean folk dancers and/or non-dancers.

      • KCI등재후보
      • SCIEKCI등재
      • SCIEKCI등재
      • 온라인 쇼핑몰의 on-off line 유통 채널 컨버전스시 Brand Identity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박채,조현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4 No.-

        정보화시대가 도래할수록 소비자와 기업간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렇게 복잡한 현실 속에서 소비자들은 유통채널의 유형과 상관없이 신뢰와 만족을 원한다. 따라서 기업은 온라인 오프라인 유통 경로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고 통합한 여러 형태의 구매 공간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각기 다른 욕구를 만족시키고 또한 소비자들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새로운 환경에서 소비자를 구매 결정으로 이끄는 것은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이며, 그 신뢰도를 높여주는 것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다양한 접점과 매체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충성도를 이끌어내는 선도적 역할을 한다. 즉, 유통 채널이 다변화해서 새로운 유통에 따른 신뢰가 없다고 해도 고객은 빠른 적응력과 그 채널에 노출되어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믿고 신뢰하여 구매를 한다.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통합에 있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요소의 통합은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통해 시각적 유사성이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통합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에 효과적인 근거를 마련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통채널의 컨버전스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표현요소들을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가이드를 만들어 기업들이 온라인 오프라인 컨버전스 마케팅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통해 브랜드 신뢰도에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온라인 오프라인 컨버전스시 온라인 결과물에 한해서만 한정한 것이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컨버전스 형태에 따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