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ignificant EEG in EPILEPSY

        박진혜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간질의 진단은 환자의 자세한 병력 청취가 중요하고 뇌파를 비롯한 MRI, PET, SPECT 등의 다양한 신경 영상학적 방법으로 간질의 원인과 병소를 찾는다. 그 중 뇌파검사는 임상 진단을 확인해 줄 수 있는 가장 특이성이 높은 검사로 발작 간기 혹은 발작시 간질모양방전의 양상으로 환자의 임상 증상과 함께 간질 혹은 간질 증후군의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얄려져 있다. 이에 소아에서 주로 발병되는 간질 증후군의 특이적인 뇌파 소견 및 임상적 특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파검사실에서 뇌파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ILAE 기준에 근거해서 간질 증후군별로 뇌파 소견이 임상적 진단에 큰 의의를 주는 Benign Roandic Epilepsy, Childhood Absence Epilepsy, Juvenile Myod onic Epilepsy, lnfantile Spasms, Lennox-Gastaut Syndrome등에 관해 다양한 실제 환자 사례별로 임상 증상과 뇌파 파형을 함께 분석했다. 결론 연령 특이성을 보이는 소아 간질 증후군에서는 다른 신경영상학적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뇌파 검사에서 특징적인 발작파나 서파, 배경파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보여 주므로 간질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뇌파검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처음 원인 불명의 경련이 발생한 소아 환자에서는 간질 발생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뇌파 검사가 적극 추천되고 있다. 또한 정확한 간질 증후군의 분류로 각 환자에게 적합한 항경련제의 선택이 가능하며 장기적인 항경련제 복용 시 추적 관장을 필요로 하는 소아 간질 환자의 치료에도 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때로는 같은 환자에서도 waking EEG와 sleep EEG의 뇌파 양상이 다르고 임상적으로 경련을 하여도 발작 간기 뇌파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발작간기와 실제 발각기의 뇌파는 다를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 The study on source regions of solar energetic particles detected by widely separated multiple spacecraft

        박진혜,문용재,Park, Jinhye,Innes, D.E.,Bucik, R.,Moon, Y.J.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We studied the source regions of 12 solar energetic particle (SEP) events seen between 2010 August and 2012 January at STEREO-A, B and ACE, when the two STEREO spacecraft were separated by about $180^{\circ}$. All events were associated with strong flares (C1 - X6) and fast coronal mass ejections (CMEs) accompanied by type II radio bursts. We have determined the arrival times of the SEP events at the three spacecraft. EUV waves observed in $195{\AA}$ and $193{\AA}$ channels of STEREO and SDO/AIA are tracked across the Sun and the arrival time of the EUV wave at the photospheric source of open field lines extending to the spacecraft connection points at 2.5 Rsun estimated. We found 7 events with flux enhancements in all spacecraft and 4 in two spacecraft. Most events came from a single source. The results show that magnetic field connections between source regions and the spacecraft play an important role in abrupt flux enhancements. In the most cases, EUV waves at the Sun are associated with a wide longitudinal spread of the SEPs.

      • KCI등재

        삼국~통일신라시대 울산지역 도로 연구

        박진혜 부산고고학회 2018 고고광장 Vol.- No.23

        So far a research on ancient road in Three Kingdoms Period is focused on Gyungjoo where is the capital of the Silla. Therefore, now research of ancient local road is required. In order to do so, I have selected data in Ulsan area, where investigated excavated ancient road. Due to Ulsan area of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ted Silla is lied on geopolitical situation, where is between the capital of Silla and Gimhae·Busan, it has become accepted as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Also Ulsan has hold on international port of China and Japan for marine trade. And then, to inspect closely how ancient road are connected. In result, the ancient road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ted Silla is constructed of various construction method. On this research, setting up I∼Ⅳ type of ancient road, and considering the matter archaeologically. By understanding of each function of ancient road, classifying into small groups on arterial road, local road, slip road for special purpose like a working road and so on. Arterial road is constructed for Gyeongju-Eonyang line, Miryang-Eonyang line, Ulsan-Eonyang line, Gyeongju-Ulsan line. Arterial road is mostly found in low planation surface or lowland, because it is applied by appropriating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geological features. It is constructed large scale because of volume of traffic like supplies or military affairs, and be connected with waterborne traffic. Local road is constructed at an gentle inclined plane. It is constructed with the outskirts of a hills and connected with arterial road. Slip road for specific space, internal road, road for operation is found in inside of hills. It is constructed small size because less traffic. The road for special purpose is constructed for standardizing wagon only. Slip road, internal road, road for operation is performed the formation by connecting with arterial road or local road getting away corresponding space.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도로 연구는 경주(왕경)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여 각 지역 단위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한 일환으로 지방의 도로 발굴사례 중 다수의 자료를 확보한 울산지역의 도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글은 삼국~통일신라시대 울산지역의 도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노선 상정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울산지역은 중앙거점인 경주(왕경)와 지방거점인 김해·부산의 중간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에서 양자 간의 교류를 주도 또는 중개하였으며, 중국·일본과의 해상교역을 위한 국제항구의 역할도 맡고 있었다. 교류·교역의 루트로서 뿐만 아니라 신라가 남쪽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도 울산지역은 반드시 통과되어야했다. 국내의 도로 연구는 아직까지 초보적인 단계이기 때문에 울산지역에 축조된 도로 자체를 검토하고, 내·외부로의 연결 양상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 울산지역의 도로를 축조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해당 도로의 성격을 간선도로, 지방도, 특정 공간의 진·출입로 및 내부도로, 작업로로 구분하고, 노선을 상정하였다. 간선도로는 경주-언양, 밀양-언양, 울산-언양, 경주-울산을 연결하는 노선이 확인되었다. 구릉 말단부의 평탄면이나저지대에서 주로 확인되는데, 지형·지질에 따라 적절한 축조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물자나군사의 이동 등이 간선도로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행량을 고려하여 중·대형 규모로 축조되었으며, 하천을 이용한 수상교통로로 연결되기도 한다. 지방도는 구릉 말단부의 완만한 경사면에서만 확인되었다. 구릉 내 조성된 공간의 외곽을 따라 축조되며, 간선도로와 연결된다. 특정 공간의 진·출입로, 내부 도로, 작업로는 주로 구릉 내에서 확인된다. 통행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소형 도로로 축조되었다. 작업로와 같이 특정 목적을 위해 축조된 도로는 해당 목적에 이용된 일정 규격의 수레 1대만 통행할 수있게 축조 단계에 기획되었다. 진·출입로, 내부 도로, 작업로는 해당 공간을 벗어나면서 지방도 또는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울산지역의 도로망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주지역 횡혈식석실묘 연구

        박진혜(Park, Jinhye) 부산고고학회 2014 고고광장 Vol.- No.15

        6세기 후반 무렵, 경주지역에서는 적석목곽묘를 대체하여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기 시작한다. 과거 소수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단선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던 초보적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자료의 증가와 함께 연구쟁점도 넓어지며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횡혈식석실묘 연구의 기본이 되는 유형(또는 형식)분류는 여전히 변함이 없다. 경주에는 다양한 형식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는데, 특히 중심지역에서는 지방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기술력과 축조비용을 요하는 최고 상위계층의 횡혈식석실묘가 확인된다. 이 횡혈식석실묘는 현문시설의 완비, 대형의 방형 현실, 2m 이상의 현실 높이, 정교하게 다듬은 高 시상대의 축조, 가공된 석재 시상부속시설의 설치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다른 횡혈식석실묘와의 차별성과 상하 계층관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항상 횡혈식 석실묘의 평면형태만을 기준으로 유형(형식) 분류를 하였기 때문에 이를 다른 유형의 횡혈식석실묘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수성과 독자성을 갖는 속성을 추출하여 경주식 典型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을 설정하여, 다른 횡혈식석실묘와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 으로 전형 횡혈식석실묘와 일반 횡혈식석실묘의 제속성과 분포권에 따른 양상을 비교검토하여 그관계를 파악하였다. 전형 횡혈식석실묘는 노서동, 서악동, 충효동과 같은 경주의 중심지역 내 중핵부에 집중 분포하며 보문동, 용강동, 황성동 등 주변부로 나아갈수록 그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여 일반 횡혈식석실묘와 혼재한다. 주변부의 횡혈식석실묘는 전형 횡혈식석실묘의 요소를 일부 채용하거나 모방하여 재현할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외곽지역의 횡혈식석실묘에는 제한을 두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서 경주지역에 축조된 횡혈식석실묘의 유형을 상하 계층관계가 반영된 3그룹(전형 횡혈식석실 묘, 현실 평면형태가 방형인 일반 횡혈식석실묘, 현실 평면형태가 횡장방형·장방형인 일반 횡혈식 석실묘)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해당 고분군(축조집단)의 위계를 짐작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6th century,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hat disappeared and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 adopted in the Gyeongju region.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main chamber entrance facilities, structural plane form, chamber size, method of first burial platform construction, attached facilities of first burial platform. In analysis the structural attributes set up basic style for all comparisons. Especially, It is particularities of Gyeongju region that walk in stone chamber tombs fully equipped with main chamber entrance facilities. Therefore, these kind of things have to set up a separate style,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 of Gyoengju style.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as partly construct in imitation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In this process of construct, some attributes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as eroded or omitted. In addition, aspect of structural attributes by distribution-central region and peripheral region- shows a marked difference. There are stratification relation of top and bottom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f structural attributes of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s, the rank of complex of tombs was examined. As a result, 5 ranks can be observed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First and second rank belong to the upper group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to five rank. Features of walk in stone chamber tombs of upper rank were full facilities of main chamber entrance, square plane form, big chamber size, high burial platform. In other words, their tombs were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It constructed in mostly central part of central region. In Surrounding part of central region or peripheral region,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constructed. Later, Construction of the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decreasing and phased out in Gyeongjuregion and provinces. On the other hand, Construction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is growing and developing.

      • 경추 수술에서의 수술 중 신경추적감시를 이용한 경추 5 번 신경마비의 조기발견과 검사결과와 경추 수술의 종류,환자상태와의 상관관계

        박순부,박병화,박진혜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Background): C5 palsy는 경추 수술후 deltoid 또는 biceps brachii muscle의 paresis와 어깨에 난치의 sensory deficit이 동반되는 것으로 0~30%정도 이러한 합병증이 동반 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INM을 이용하여 수술중 C5 palsy의 여부를 조기에 찾아 수술후 합병증을 최소화 하고 수술중 집도의가 안전하게 수술을 하고 있다는 확신을 줄수 있다. 방법(Methods):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에서 2011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Cervical spine surgery중 EMG와 MEP,SSEP monitoring을 시행하였을 때 deltoid MEP에 이상이 있던 환자는 OP후 neurologic deficit이 있었는지의 여부와 C5 palsy가 많이 야기되는 경추 수술의 종류, 환자의 나이, 성별 등을 파악하였다. 결과(Results): 총 228명의 환자중 경추 수술 중에 deltoid MEP에 이상이 있는 case는 5명(2.2%)이였다. 남자가 1/148명(0.7%) 여자는4/80명(5%)이었고 평균나이는 54세였다. 가장 발생률이 높은 수술은 posterior fusion(3.2%)이고 laminectomy and tumor removal(3.1%)가 그다음을 차지 하였다. 고찰(Discussion): 정확한 비교까지는 힘들지만 다른 문헌과의 차이점은 severe myelopathy의 여부,성별에 따른 발생율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얻어낼 수 있는 Deltoid MEP와 EMG setting을 잘 이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러므로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많은 숙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 뇌종양과 척추수술에서의 몇 가지 추가검사

        박순부,박병화,김기목,최민성,박진혜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Background): 기존의 mMEP와 SSEP 및 free-run or triggerd EMG로 뇌종양 및 척추수술에서 대부분의 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supratentorial brain tumor의 수술 중 확인이 필요한 곳(subcortical)에서부터 corticospinal track까지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는 navigation 외에는 측정하기 힘들었고 navigation 자체의 실질적인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또한 Posterior fossa의 tumor removal에서 EMG 모니터링으로 Facial palsy를 피하기 위해 노력 하지만 수술 후 palsy가 있는 경우가 있고, 척추수술(conus medullaris and cauda equina region)에서는 lower sacral nervous structures 의 문제가 발생하여 대소변 장애가 있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현재는 몇 가지 modalities를 추가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좀 더 세심하게 모니터링 하여 수술 후 신경학적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방법(Methods): Monopolar stimulation을 이용하여 Subcortical motor mapping을 할 수 있고, Facial MEP를 이용하여 facial nerve function을 측정하여 수술 후 facial nerve palsy 를 최대한 피할 수 있다. 또한 BulboCavernosus Reflex(BCR)로 sacral roots monitoring을 할 수 있다. 결과(Results): Subcortical motor mapping, Facial MEP, BulboCavernosus Reflex(BCR) 이 세가지 modalities를 필요한 수술에 각각 적용시켜 환자의 outcome과 비교하여 검사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고찰(Discussion): 그러나 Facial MEP, BulboCavernosus Reflex(BCR)를 잘 이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러므로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많은 숙련이 필요하다 하겠고 통계적으로 검증을 하여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