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科擧 合格者를 통해 본 在地士族의 實態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던 지방양반, 즉 在地士族의 존재 양태의 한 유형으로 全羅道 長城 지방 재지사족을 살펴 본 사례 연구이다. 조선시대 전라도 장성은 金麟厚나 奇正鎭 같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있었던 지역이다. 이 지역 재지사족들은 이러한 顯祖의 명성에 힘입어 사족으로서의 사회적 위상을 쉽게 유지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과연 그들이 조상의 명성만 가지고 사회적 지위와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사족이 향촌 사회에서 자신들의 신분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科擧합격이다. 그것은 다양한 지역 사례 연구에서도 밝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했던 재지사족들의 공통점은 이들 모두 과거 합격을 위한 노력은 결코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또 하나의 사례가 장성 사족이 될 것이다. 장성 사족들은 뛰어난 조상의 명성으로 쉽게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을 것임에도 과거 합격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특히 顯祖를 가진 장성 지방 사족 가문들에서 많은 과거 합격자가 배출되고 있다는 것이 그와 같은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사실의 구체적이고 실증적 연구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Cholla(全羅) Province ChangSung(長城) area of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observ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in the local society. For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the examinations truly were the gateway to success. Qualifying examinations for appointment to civil offices were conducted at two levels. That was the licentiate or lower level and the higher level. The lower level was called Saengjinkwa(生進科) or Samasi(司馬試). And the higher level was called Munkwa(文科) or Taekwa(大科). Changsu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olla. Therefore the confucians of this area led the public opinions of the others. And they had an influence on the other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area had produced a many number of confucians including Kim In-Hoo(金麟厚). Many families has passed the two examinations in ChangSung area. But the Major Family that has passed the Munkwa(文科) was Oolsan Kim(蔚山 金), Hwangju Pyen(黃州 邊), Khangsan Kim(光山 金), Hangju Ki(幸州 奇). And also the main Family that has passed the Saengjinkwa(生進科) was Oolsan Kim(蔚山 金), Hwangju Pyen(黃州 邊), Khangsan Kim(光山 金), Hangju Ki(幸州 奇). Through this, we has realized that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has focused on the two examinations. They were trying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incessantly.

      • KCI등재

        논문(論文) : 조선시대(朝鮮時代) 지방(地方) 거주(居住) 사족(士族)의 사회적(社會的) 지위(地位) 유지(維持) 노력(努力)과 사마시(司馬試) -나주(羅州) 거주(居住) 사마시(司馬試) 입격자(入格者) 실태(實態)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박진철 ( Jin Cheol Park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10 梨花史學硏究 Vol.0 No.41

        This study analyze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of Chosun Dynasty. The Family was seventies that had passed the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Exam. And the Major Family of that was Naju Na(羅), Kwangju Kim(金), Naju Yim(林), Naju Jung(鄭), Naju Oh(吳), Yeohung Min(閔). These reaches to 41.13%. And this Major Family plus the other eleven Family reaches to 64.21%. The social status of this Passer was Youhak(幼學). This reaches to 89.45%. And these Passers was 36.47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Families was 42 that produced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Naju Area of Chosun Dynasty. This Families produced ninetie successful candidates. The Major Family was Naju Na(羅), Naju Yim(林), Yangsung Yi(李), Hampung Yi(李), This reaches 31.1%. And these Passers was 39.24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other side it was come to be low that the social status of provincial noble families(地方 士族). This appearance had relation to the so-called Bulyuls(閥閱), the ruling segment in the late Dynasty, which was based on Seoul.

      • KCI등재

        19世紀 朝鮮 在地士族의 位相 變化와 權益 守護 方式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9 No.-

        조선후기 특히 19세기 세도정치기 지방 양반들 특히 재지사족들의 사회적 위상은 갈수록 약해지고 있었다. 이들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양반’이라는 신분적 우위는 관직에의 접근성이 약해짐에 따라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지방 양반으로서의 향촌사회 지배력은 ‘수령-이?향 지배체제’의 확립과 ‘鄕品’과 ‘新鄕’ 등의 도전으로 분화되고 약화되었다. 이렇듯 약화된 위상 속에서 재지사족들은 일반 농민과 함께 또 다른 수탈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세기 재지사족의 위상 변화양상과 그들의 권익 수호 방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1850년 전라도 寶城에서 발생한 ‘庚戌事件’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사건은 전라도 보성 지방의 재지사족들이 수령의 勸分에 대항하여 일으킨 집단 반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건을 통해서 우리는 당시 재지사족들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지방 양반들이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자원들을 동원할 수 있었고 실제 동원했는지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科擧 합격자 분석을 통해 보성 지방 사족의 실태에 접근해 보았다. 조선시대 양반이 신분을 획득하고 지배집단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과거에 합격하여 관직을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 보성 거주자로 문과에 급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또한 사마시 입격률도 그리 높지 않았다. 이는 당시 지방 출신 사족이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르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향촌에서의 사회적 지위 유지에 유리한 사마시 입격도 어려웠던 것을 보여 준다. 이것이 당시 재지사족의 현실적 모습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지사족들의 권익을 침해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그것이 바로 ‘경술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19세기 수령권의 권분을 통한 수탈 대상에서 사족도 예외가 아니었음을 보여 준다. 이에 사족들은 자신들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우선은 鄕會와 呈訴와 같은 합법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동시에 이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군수는 처벌받고 사족들은 환포납부를 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던 사족인 宋亨純家에서는 이후에도 10여 년간 계속해서 呈訴등을 통한 권리 구제 활동을 전개하였다. 더 나아가 『庚戌錄』이라는 기록을 통해 자신들을 정당화하고, 그 책임을 향리들에게 전가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19세기 재지사족들의 위상은 나날이 약해지고 있었다. 사족들 사이의 연대도 각자의 이해관계 속에 분열되었고, 일반 백성들의 지지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조선의 재지사족들은 약화된 사회적 위상 속에서 자신들의 권익을 수호하기 위하여 모든 수단을 강구하면서 고군분투하고 있었던 것이다. Generally it is known that Pohum[corruption of local functionaries] which was caused in the process of managing province budget was committed by hyangni[local functionaries] in 19th century Chosun Dynasty. However, these kind of awareness is based on the records of Yangban who put the blame for Pohum to hyangniu. Yangban didn"t understand that Pohum was structural error caused in province budget management system at that time. Also Yangban used various ways to evade responsibility of corruption. Under the awareness mentioned above, this study examines budget management of province and Yangban"s response of Chosun Dynasty in 19th century. Especially it analyses "KyungSulRok" which shows detailed fact. "KyungSulRok" is historical source recorded real state of province Yangban who countered against administrative measure of handling arrears Whanpo [unpaid grain loan] in Bosung, 1850. This records was basically written on the side of Yangban. Yangban put whole blame for Whanpo incidents to hyangni which was caused in Bosung, 1850, but if we carefully study these records, Yangban also had considerable responsibility for the Whanpo. Also Whanpo was closely related with province budget management. Corruption was not only caused by individuals, but also related with system. Anyway, Suryung("chief") urged financial reparation to Yangban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in process of province budget management, because in province society of 19th century, Suryung"s right became stronger and Yangban"s control became weaker. At that time, under political circumstance, province Yangban was blocked to be a central government officer. These blocking made strong Suryung"s power and weak Yangban"s authority. Therefore, province Yangban used various way to keep their rights and authorities in local society. They refused Suryung"s advise and used all means they could to evade financial reparation. Firstly, they called Hyanghoe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then they went Seoul to file complaint to the king. It was out of due process procedures. After this event, they presented a petition to provincial governor and banded together with other province Yangban to protect their power. They used all ways which they could use to keep their rights and authorities. As a result, their action was failed. Their solidarity was collapsed by individual interests and they couldn"t draw public supports. They failed to draw people"s support because they tried to reconcile their rights and public benefits. This also shows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province Yangban in 19th century. Like this, in 19th century Chosun, Suryung"s right became stronger and province Yangban"s power became weaker. Nevertheless, this study found that province Yangban fought unsupported to keep their rights and authorities.

      • KCI등재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존재 실태와 청원 활동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3 No.-

        이 논문은 양진당실기(養眞堂實記) 에 실려 있는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경상도 합천 지역 사족들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특히 1728년 戊申亂 이후 재지사족들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연대하고 활동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그 중에서도 무신란의 합천(陜川)지역 주동자였던 조성좌(曺聖佐)의 가까운 친척이었던 양진당(養眞堂) 조한유(曺漢儒)와 그의 후손들, 그리고 이들과 연대한 경상도 재지사족들의 청원활동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무신란 이후 위축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와 위세를 지키고 회복하기 위하여 연대하여 청원 활동 등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1728년 무신란 이후 재지사족들은 중앙정계로의 진출이 막히고, 사회적 위세가 약해졌다. 이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위세를 회복하기 위해 상호 연대하였다. 또한 청원활동 등을 통해 자신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status of the JaejiSajok(a local nobleman). Mainly used historical data is 『YangjindangSilki(養眞堂實記) . Especially since 1728 the Musin revolt(戊申亂), I focused on JaejiSajok(a local nobleman) in Kyongsangdo Hapcheon area. And I analyzed the petition activity and their solidarity. ChoSungJoa(曺聖佐) was one of the prime mover of the Musin revolt. However, his relatives were ChoHanyou(曺漢儒) is opposed to him. As a result, the Musin revolt failed. And the government has suppressed the area. In response, the JaejiSajok(a local nobleman) had to prove their loyalty. One of these activities was the petition for ChoHanyou(曺漢儒). As a result of analysis, their political advance was blocked since 1728. And their social status was weakened. Therefore they were cooperat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regain their social status. In addition they were striving to regain their honor.

      • KCI등재
      • KCI등재

        人物史 敎育을 위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分析 硏究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인물사 교육을 위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를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 인물사란 역사적 . 인물을 통해 그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문제 제1회~31회까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분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시대별, 분야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시대는 선사시대, 고조선시대, 연맹왕국시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일제강점기, 현대로 나누었다. 분야는 크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문제로 나누었다. 유형별로는 왕과 왕족, 정치가, 군인, 민족운동가, 학자, 예술 문화인, 종교인, 외국인, 일반인, 여성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검토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역사인물 선정 기준과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등장하는 여러 역사인물들을 분석함으로서 인물사 교육을 위한 구체적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is study on Korean history Competence Test. This is for teaching of personage. History of the personage is intended to identify those epoch through a historical figure. I analyzed the Korean history Competence Test for this study. First of all, I was setting standards to this study. And I divided them by epoch, sector and type. The Age is divided Prehistoric Age, Gochosun Age, the kingdom League Age, Three Kingdoms, North-South States Period, Later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Choson Dynasty, Modern Age, Japanese occupation, Present age. I divided into sector with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tegration issues. And I divided the social status that is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politicians, soldiers, ethnic activists, academics, the arts, culture, religion, foreigners and the general public, women. I provide standards that selected the historical personang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nally, I found the specific information and plans for teaching of personage and learning of personage.

      • KCI등재

        학습자 선호 인물 분석을 통한 한국사 교육 개선 방향 연구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인물사 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한국사 교육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사 속 인물들 중 학습자가 선호하는 인물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사 관련 수업을 들은 대학생 2,430명이 제출한 보고서를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2015년 2학기부터 2017년 1학기까지 한국사 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에게 한국사 속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이 그 역사 인물을 선택하게 된 이유와 그 인물의 업적을 설명한 후 그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도록 한 보고서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한국사 인물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대적으로는 조선시대 인물들이 주로 선택되었다. 분야별로는 정치 분야 인물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유형별로는 왕과 왕족 그리고 정치가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특정 시대와 특정 분야, 특정 유형의 역사 인물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학생들의 선호에 TV나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와 지금까지의 역사 교육의 편중성이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역사 인물 선호와 인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historical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port submitted by 2,430 college students who took clas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o the first semester of 2017. First of all, I asked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to choose one of the people in Korean history. Then he have to try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the achievement of the figure, and the revaluation. Through this report,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students preferred which history characters. The analysis result of these reports is as follows. In the times, a people of the Chosun Dynasty were mainly selected. By sector, politics were the most popular. By type, king, royal, and politician were the most popular.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prefer a specific age, a specific field, and a particular type of historical personality. The preference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was influenced by TV, movies, and history education. Therefore, we sought ways to improve the problem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preference. The wa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and educate people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along with political figur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history of the general public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ruling class and women. And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and educate foreigners related to Korean history. In conclusion, diversity of learners" preferences should be more actively sought and reflected in education.

      • KCI등재

        朝鮮時代 郡縣重記와 等內重記, 解由重記와 解由文書의 比較 檢討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80 No.-

        이 연구는 중기(重記) 중에서 지방 군현에서 작성된 자료들을 살펴본 것이다. 지방의 중기자료는 크게 군현중기(郡縣重記) · 등내중기(等內重記) · 해유중기(解由重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군현중기는 특정 군현에서 규정에 따라 일정 시기에 작성되었다. 이는 각 직임의 향리들이 군현의 재정과 각종 물품 현황 등을 파악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등내중기는 군현중기 중에서 특정 수령의 재임 시기에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해유중기는 관리의 교체 시에 해유(解由)의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다. 이는 이미 작성되어 있는 군현중기를 토대로 향리(鄕吏)들이 작성한다. 이 해유중기를 가지고 후임관은 전임관의 해유문서(解由文書)를 작성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중기는 각 군현에서 매년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작성된다. 이것이 군현중기이다. 그리고 이 군현중기를 특정 수령의 재임기에 한정하면 등내중기가 된다. 이 등내중기는 수령의 교체 시에는 해유중기로 기능하게 된다. 이 중기는 각 군현에서 향리들이 작성하고 관리하였다. 그렇기에 중기(重記)는 각 군현에서 향리들이 정기적으로 작성하여 보관하는 원본(原本)에 해당하는 것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군현중기 · 등내중기 · 해유중기 등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In the Joseon Dynasty, ‘Junggi(重記)’ is a very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itu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and finance and for understand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state. This study examines the materials prepared in the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during this Junggi. Regional Junggi data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unhyeon-junggi, Deungnae-junggi, and Haeyu-junggi. First, the Gunhyeon-junggi was written at a certain perio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in a specific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is is written by the Hyangri of each office after grasping the finances and the status of various goods of the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Second, Deungnae-junggi is a summary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enure of a specific leader among the Gunhyeon-junggi. Third, the Haeyu-junggi i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haeyu in the case of a change of management. These are written by the Hyangri based on the already written Gunhyeon-junggi. The successor officer will write the resignation document of the previous officer with this Haeyu-junggi. In conclusion, the Junggi is continuously written annually or at regular intervals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is is the Gunhyeon-junggi. And if this Gunhyeon-junggi is limited to the term of office of a specific leader, it becomes a Deungnae-junggi. This Deungnae-junggi will function as a Haeyu-junggi when the leader is replaced. This Junggi was written and managed by Hyangri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erefore, there is a thing that corresponds to the original book, which is regularly prepared and kept by hyangri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based on this, the Gunhyeon-junggi, Deungnae-junggi, and Haeyu-junggi were cre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