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시선 데이터링크용 저피탐 안테나에 관한 연구

        박진우,유병길,정은태,박일현,서종우,정재수,Park, Jinwoo,Yu, Byunggil,Jung, Euntae,Park, Ilhyun,Seo, Jongwoo,Jung, Jaes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4 No.5

        In this paper, an array antenna for LOS datalink for mount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of low-probability of intercept is presented. For low RCS, radome was designed by conformal form, and other components were inserted into the UAV. The antenna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each composed of 12×12 array antennas, and include a beam steering function by controlling the phase of the unit element for the Uni-directional pattern and the Bi-directional pattern.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manufactured antenna,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required specifications were met, and the installing possibility of the UAV platform on low-probability of intercept in the future was confirmed.

      • KCI등재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제조를 위한 이산화규소 함유 분말의 제조 및 평가

        박진우,진성규,Park, Jinwoo,Jin, Sung Giu 한국분말재료학회 (*구 분말야금학회) 2021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powder formulation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the solidification of an extract of the herb Bangpungtongseong-san (BPTS). To develop BPTS-loaded particles for the tablet dosage form, various BPTS-loaded particles composed of BPTS, dextrin,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silicon dioxide, ethanol, and water are prepared using spray-drying and high shear granulation (high-speed mixing).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evalu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easurements of the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Carr's index, hardness, and disintegration time. The optimal BPTS-loaded particles exhibit improved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In particular, the BPTS-loaded particles containing silicon dioxide show significantly improved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the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and Carr's index are 35.27 ± 0.58°, 1.18 ± 0.06, and 15.67 ± 1.68%, respectively), hardness (18.97 ± 1.00 KP), and disintegration time (17.60 ± 1.50 min) compared to those without silicon dioxi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articles prepared by high-speed mixing can be used to greatly improve the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of BPTS using MCC and silicon dioxide.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시대의 Flex Zone 도입과 입지 최적화 방안 연구: 수정된 MCLP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박진우(PARK, Jinwoo),최우철(CHOI, Woocheol),김정화(KIM, Junghwa)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5

        전국적인 추세로 1인당 자동차 등록대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도로에서는 늘어나는 차량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 또한 이러한 노력 중 하나이며,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도입 시 이에 대응하는 도로의 개편, 정비를 통한 자율차 맞춤 도로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플렉스 존(Flex Zone)은 2017년 시애틀 도시종합계획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토지 이용에 따른 도로 이용 우선 순위를 활용한 다목적 연석 공간(Curb Space) 활용 도로를 의미한다. 시스템 기반의 자율차 통행에 필요한 도로 점유면적은 동일한 수의 일반차량이 통행하는 것 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곧 도로공간의 용량증대와 함께 여유부지의 발생이 가능토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차 시대에 발생될 수 있는 도로 위의 여유공간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기존의 다목적 활용방안인 유즈케이스를 세분화하여 자율주행시대 대응할 수 있는 플렉스 존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고, 접근성을 고려한 다목적 용도 배치를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시간대별 운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적 범위 선정 후 수집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수요 추정 데이터를 집계하였으며, 모델 구축에는 플렉스 존의 이용 수요를 최대화하는 MCLP(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를 활용하였다. 구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적화된 유즈케이스의 배치는 시간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도로 연석공간의 사용 목적이 시간대와 통과교통량 그리고 주변 토지이용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nationwide trend, the number of cars registered per capita is increasing, and numerous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vehicles on the road. Self-driving technology is also one of these efforts, and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concept of self-driving cars through road reorganization and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the introduction of self-driving vehicles. The Flex Zone is a concept that first appeared in the Seattle Urban Comprehensive Plan in 2017 and refers to a road using a multi-purpose curb space that utilizes road use priorities according to land use. The road occupancy area required for system-based autonomous vehicle traffic is expected to decrease compared to the same number of general vehicles passing through, which will allow for the creation of spare sites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road spac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Flex Zone that can respond to autonomous driving era by subdividing the existing multi-purpose Use case for free space on the road that can occur in the autonomous vehicle era, build an optimization algorithm for multi-purpose placement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check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by time. To this end, demand estimation data were aggregated using the collected image data after selecting the spatial range, and the MCLP (Maximum Covering Location Problem) that maximizes the demand for use of the Flex Zone was used for mode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rough the constructed algorithm, the optimized use case arrangement varies by time zone, an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urpose of using the road curb space could change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time zone, passage traffic volume, and surrounding land use.

      • KCI등재

        일본의 패전과 천황의 전쟁 책임

        박진우(Park Jinwoo)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패전을 전후하여 일본에서는 쇼와 천황에 관한 두 가지 신화가 창출되었다. 하나는 천황은 원래 평화를 사랑하는 평화주의자였다는 것이며, 또 하나는 천황의 성스러운 결단, 즉 성단으로 비극적인 전쟁을 종결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신화는 전후 7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되풀이해서 재생산되어 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일본의 우익교과서, 천황의 실록 공개, 옥음방송의 원반 공개 등을 통하여 쇼와 천황을 미화하는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천황의 성단 신화와 평화주의자 이미지는 패전 당시 천황제 존폐가 가로놓인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서 천황제를 존속시키고 천황의 전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창출된 신화에 다름 아니었다. 이 글에서 검토한 내용의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전을 앞두고 천황과 일본 지배층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집착한 것은 ‘국체호지’, 즉 천황제를 유지하는 일이었다. ‘성단’은 ‘국체호지’를 위한 최후의 결단이었던 것이다. 둘째, ‘성단’의 결과 일본의 전쟁을 자존과 자위를 위한 전쟁으로 정당화하고 나아가 국체를 지키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종전의 조서’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왜곡된 역사인식의 뿌리가 되었다. 셋째, 1946년 1월 1일 천황의 ‘인간선언’은 평화주의자 천황의 이미지를 고도로 미화한 결정판이었다. 그것은 또한 천황이 입헌군주로서의 원칙에 충실했다는 논의와 함께 자애로운 천황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에 관해서는 특히 천황이 사망한 1989년 이래 새로운 사료의 발굴, 공개 등을 배경으로 1990년대부터 연구가 심화되어 왔다. 필자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패전 직후 천황제가 전쟁 책임을 추궁당하지 않고 면책되었던 배경에 천황, 천황제를 일본의 점령정책으로 이용하려는 미국, 특히 맥아더 사령관의 역할과 패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황에 대한 존숭심을 버리지 않았던 일본 민중의 동향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논한 바 있다. 또한 이제까지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전후 일본 사회에서 천황의 전쟁 책임 문제가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를 일본 정부와 궁내청, 언론의 역할, 그리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서 분석한 바 있다. 그런 점에서 패전 직후 천황과 일본 지배층이 천황제 존속을 꾀하고 천황의 전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성단’ 신화와 평화주의자 천황의 이미지가 창출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추적한 이 글은 앞선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post-war period in Japan, there were two myths fabricated regarding the Showa Emperor. One myth posits that the Japanese Emperor was a peace-loving pacifist; the other myth relates that the termination of war was made possible with the Emperor’s sacred imperial decision. These two myths have persisted and been reproduced to date. It is notable that the glorification of the Emperor’s achievements has been revived at this time through the public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Emperor during the post-war period.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se widely held myths were introduced so to maintain the Emperor system and save the Emperor himself from being accountable for his actions during the war. The following points will be addressed in this study. First, the Emperor and the elites prioritized the safeguarding of the Emperor system toward the end of the war. The propaganda of the “imperial decision” served as a last resort in order for them to save their ruling system. Second, this paper argues that the decision made by the Imperial leader offered the basis of the self-satisfying justification of the war as well as the root cause of the distorted view of history that continues to endure. Third, the Emperor’s Humanity Declaration on January 1, 1946, was the most crystallized form of the propaganda of the Showa leadership by claiming him to be a noble pacifist. As the Emperor’s fallible role as a constitutional monarch was associated with the image of the benevolent Emperor, such a belief is found to have had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ical view of the post-war Japan.

      • KCI등재

        유튜브 채널과 관련한 현행 공직선거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박진우(Park Jinwoo)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31 No.2

        지난 몇 년 동안 한국에서 이용자 수와 이용시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미디어 매체인 유튜브 채널은 정치적 영향력 면에서 지상파 방송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도 신문은 물론 방송·인터넷언론과 비등하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수준에까지 다다랐다. 하지만 유튜브 채널은 비교적 최근에 주목을 받고 급성장한 매체이기 때문에 기존 매체인 신문, 방송 및 인터넷언론과 달리 공직선거법상의 규제와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방송에 견줄 수준의 영향력을 가진 유튜브 채널이 신문 등 기존 미디어매체가 부담하는 공직선거법상의 각종 의무와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법적 지위를 가지는 것은 선거의 공정성 확보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결코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선거의 공정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유튜브 채널의 경우 사적인 표현의 장으로 마냥 방치할 것이 아니라 공적 영역으로 끌어들여 공정보도의무, 실명확인의무 등 공직선거법상의 각종 의무와 규제의 적용을 받도록 하는 입법적 개선책이 요망된다. YouTube channels, a media that has seen explosive growth in the number of users and usage time in Korea over the past few years, have continued to grow to threaten broadcasting in terms of political influence, and the influence on elections has reached a level that is comparable to or rather superior to that of broadcasting and Internet media as well as newspapers. However, since YouTube channels have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and have grown rapidly, they are located in areas free from restriction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unlike the existing media, newspapers, broadcasting and Internet media. It should never be considered reasonable in terms of a fair election that YouTube channels, with comparable influence to broadcasting, have legal status free from various duties and regulation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hich is borne by newspapers and other existing media. Therefore, to the extent of achieving the fair election,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in the case of YouTube channels that meet certain requirements to bring them into the public domain and subject them to various duties and regulation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uch as fair reporting obligations and obligations to authenticate real-na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