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안 탐색

        박준홍(Park, Junhong),김경희(Kim, K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됨에 따라 평가 역시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하에 기존 국어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인 성취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국어과 역량이 국어과 성취도 평가 틀의 구성 요소로 기능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한 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답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는 역량 기반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성과가 부족한 상황에서 델파이 조사 결과에 한해 도출된 잠정적인 방안이었기에, 궁극적으로는 보다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별 하위 영역 비중의 차등화, 국어과 역량 설정의 타당화 및 세분화, 결과 산출 및 보고 방식의 변화를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to competency-based achievement assessment,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what the cor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d how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can function as a component in the achievement assessment framework. However, the above results were provisional improvement measures drawn in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research results on competency-based evalu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re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giving differential weight of sub-domain by school level, validation and segmentation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etting, and changes in how results are produced and reported.

      • KCI등재

        사용자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양념통 디자인 개발과 제작에 관한 연구

        박준홍 ( Junhong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비대면 방식의 업무처리와 재택근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주거공간에 대한 많은 관심과 함께 요리도구 및 주방 공간의 환경이 매우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양념통을 보기 좋고 사용하기 쉽도록 개선하는 방안과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양념 및 양념통의 의미를 정의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의 학술지 문헌과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기존연구의 방향성과 흐름을 고찰하였다. 요리에 관심이 있고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회의와 특허조사 그리고 3D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시제품을 설계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 심층인터뷰 분석을 통해 디자인의 방향성을 시인성, 심미성, 편의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웨이브 형태로 구성된 벽면을 고안하고 웨이브 벽면에 자석의 힘으로 손쉽게 부착되는 원형의 양념통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양념통 디자인의 기능이 정확하게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가 보기 좋은 제품을 실수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실무적 개발 방법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의견을 정리하여 새로운 양념통의 디자인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결과를 제시한 것에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제품의 사용성 평가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수행이 요구된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spread of non-face-to-face work processing and work from home, the environment such as cooking tools and kitchen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a lot of interest in residential spaces. With this trend, methods and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Spice jar that is often used in the kitchen so that it looks good and is easy to use. Method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meaning of spice and spice jars. and analyzed the journal literature and dissertations of the last decade. The design direction was deriv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who are interested in and experienced in cooking. Based on this, idea meetings, patent research, and 3D computer modeling were carried out, and a prototype was produced. Results The design direction was determined by visibility, aesthetics, and convenience. Through the idea meeting, a wave-shaped wall was devised, and a circular spice jar was easily attached to the wave wall with a magnet. In addition, a prototype was created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new spice jar design works accurately, and a way for users to conveniently use a product that looks good without mistakes was suggested. Conclusion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actu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meaning and value in that it presents the results of proposing a new spice jar design by analyzing users' opinions and making a prototype. However, the absence of a product usability test can be seen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refore,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연설자의 공신력 각인 발화가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준홍 ( Park Junhong ),박성석 ( Park Seongseog ) 한국화법학회 2021 화법연구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peaker's credibility-imprinting utterance affects the whole process of persuasion, an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 the contents of credibility-oriented persuasio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cept of the “speaker's credibility-imprinting-utterance” was established, and its role in the entire persuasion process including acquisition of credibility was examined through experimental treat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centered on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s a result, three main findings were drawn. First, the direct effect of “the speaker's credibility-imprinting-utterance → post-credibility” was .31, the direct effect of “prior credibility → post-credibility” was .17, and both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ssage sidedness and post-credibility was -.00, therefore the correlation of message sidedness and post-credibility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rd, post-credibility showed a direct effect of .81 only on the attitude toward speech, an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 speech subject. The cause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persuasion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용자 심층인터뷰 중심의 잠재요구 발굴에 관한 연구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중심으로

        박준홍 ( Junhong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본 논문은 복합형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디자인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해관계자들을 분류하고 사용자 심층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역할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의미와 잠재요구(Unmet Needs)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정의를 사전적, 행정적으로 확인 하였으며, 지난 10년 사이의 화재감지기에 관련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잠재요구를 분석하는 방향의 연구와 시도가 필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화재경험을 중심으로 20대에서 60대 사이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화재경보기와 안전인식에 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 그리고 의미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분석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은 화재감지기를 효율성의 목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었으며, 사용자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효율적인 형태(Form)를 기대하고 운영자는 단기 또는 장기의 이익(Profit)의 효율을 추구하며 감독자는 기술과 관리의 기능(Function)이 효율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잠재요구인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화재감지기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되는 연구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를 역할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 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와 가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정성연구로 연구의 내용을 한정한 점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은 점은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후속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를 희망하며, 연구의 결과가 화재감지기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잠재요구를 만족시킬 수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basic stud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a single-alarm type fire detect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stakeholders and conduct in-depth user interviews to derive the meanings and unmet needs that users perceive their roles.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 analyzed the domestic paper related to a fire detector and found that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user unmet need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eople in their 20s and 60s, focusing on their fire experience, to identify the stakeholder‘s safety awareness. Results Through the study, stakeholders were able to conclude that fire detectors were perceived as being intended for efficiency. the user would expect an efficient form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operator would pursue the efficiency of the short-term or long-term profit, and the supervisor would pursue an efficient the function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fire detector design,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e detailed presentation of stakeholders’ perceptions and potential needs according to their roles. However,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ly by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lack of direction for design development can be regarded a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To support this, it is hoped that the follow-up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hat will satisfy the potential needs of stakeholders.

      • KCI등재후보

        국어적 창의성 교육과 그 제재로서의 뉴스 가치

        박준홍(Park, Junho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적 창의성의 교수·학습 원리를 설정하고, 그와 같은 교수·학습 원리를 구현하는 데 뉴스가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를 논구함으로써 국어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의 한 가지 像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국어적 창의성의 교수·학습 원리를 제시하였고, 그러한 교수·학습 원리를 구현하는 데 교육 제재로서 뉴스가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를 교수·학습 원리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이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로, 첫째, 해결해야 할 과제 측면에서의 가치, 둘째, 비계 설정 측면에서의 가치, 셋째, 동기부여 측면에서의 가치, 넷째, 교실 상호작용 측면에서의 가치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국어적 창의성 교수·학습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뉴스라는 제재가 갖는 가치를 밝히는 과정을 통해 국어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의 한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material have value for Korean language creativity education. Since the problem of selecting and using material is directly linked to the formul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s,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creativity education can be of importance in the present situation.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presen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creativity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creativity, and identified the value of news as educational material in implementing such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he value of news as a material for Korean creativity education is as follows. They are the value in terms of task to be solved, the value in terms of scaffolding, the value in motivation, and the value in classroom interaction. The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material’s value that are directly linked to the formul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situation of that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enhance Korean language creativity, and suggested on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