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omparison of Myogenous and Arthrogenous Pain Patient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박주선,김동희,정진우,Park, Joo Sun,Kim, Dong Hee,Chung, Jin Woo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12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근육성 동통 및 관절성 동통을 가진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RDC/TMD) axis II 지수 및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여 동통과 관련된 장애와 사회심리학적 상태 그리고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를 내원한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되어진 25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근육성 동통군, 관절성 동통군, 근육성 동통과 관절성 동통을 모두 보이는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한 뒤,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 우울 지수, 신체화 지수,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 등을 조사하였으며, 동통의 기간,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 등 임상적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17.5%가 근육성 동통군, 31.0%에서 관절성 동통군, 51.6%가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되었다. 성별 분포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세 그룹간의 연령 및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측두하악장애 각 통증군의 사회심리학적 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1).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혼합형 동통군에서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우울 지수 및 신체화 지수는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근육성 동통군과 혼합형 동통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3.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은 각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최대 개구량은 근육성 동통군 환자보다 관절성 동통군 환자에서 작게 나타났다(p<0.05). 4. 관절성 동통군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적은 수에서 만성 동통의 경향을 보였으며 (p<0.01), 혼합형 동통군의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5.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효과는 신체화 지수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beta}$=-0.251, p<0.0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psychological profil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between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subgroup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based on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Two hundred and fifty two patients diagnosed as TM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RDC/TMD axis I diagnostic guidelines; myogenous pain group, arthrogenous pain group, and mixed pain (both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group. RDC/TMD histo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ach patient and depression, somatization, jaw disability, pain intensity, disability days, and graded chronic pain scale were analyzed. Bruxism, clenching, insomnia, headache, and unilateral chewing were assessed in a standardized TMD dysfunction questionnaire and the duration of onset, chronicity of pain, treatment perio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symptoms also analyzed. Myogenous pain group had higher depression (p=0.002), and somatization scales (p<0.001)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Mixed pain group showed higher pain intensity (p=0.008), disability days (p<0.001), graded chronic pain scale (p=0.005), somatization (p<0.001), and depression scores (p=0.002)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Jaw dis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p=0.058). Arthrogenous pain group reported more limitation of mouth opening than myogenous pain group (p=0.007). Duration of onset showed that the arthrogenous pain group had lowest prevalence of chronicity among three groups (p=0.002). Mixed pain group patients showed lowest symptom improvements among three groups (p=0.007).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score (${\beta}$=-0.251, p=0.03).

      • 치료계획용 콤퓨터를 이용한 부정형 조사면의 선량분포에 관한 실험

        박주선,이귀원,한용문,권형철,윤세철,Park, Joo-Sun,Lee, Gui-Won,Han, Yong-Moon,Kwon, Hyoung-Cheol,Yoon, Sei-Chul 대한방사선치료학회 1987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2 No.1

        The authors have intended to measure intrinsic dose distribution by Farmer dosimeter in irregularly shaped fields such as L, M, T,-shape model in order to determine dose inhomogeneity in those models. We made 2 off-axis points in each model and measured the depth dose at 1.5,5, and 9cm below surface. The results showed $1-3\%$ dose discrepancy between 2 points. We also measured the depth dose by geometric approximation and computer calculation in those model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computer calculation using Clarkson's principle is simpler and the measurements are to the ideal data obtained by the experiment in those three models of irregularly shaped fields than those of geometric approximation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순현가 기반의 목적함수를 이용한 CO2 자극공법 주입설계 최적화

        박주선,이지호,정문식,이근상 한국자원공학회 201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1 No.2

        This numerical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optimal design of CO2 stimulation considering oil and CO2 prices. For injection design optimization, objective function associated with net present value (NPV) was defined. CMOST, the optimization tool of Computer Modeling Group, is used to determine optimum cases. Design parameters such as injection volume and soaking time, which are known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CO2 stimulation, were optimized in terms of NPV through different scenarios of oil and CO2 prices. Results from the study indicated that optimum injection volume was declined at higher cost of CO2, especially in the second cycle. For higher CO2 price, it was better to maximize production of the first cycl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jection. As oil price increases, there were no changes of injection scheme in the first cycle. Soaking time had no clear tendency related with operating condition and affected production performance very slightly. 오일 및 CO2 가격을 반영한 CO2 자극공법의 최적 설계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수치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입설계 최적화를 위하여 순현가와 연계된 목적함수를 정의하고 Computer Modeling Group의 최적화 도구인 CMOST를 이용하였다. 복수의 CO2-오일 가격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순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자극공법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주입량과 soaking 시간 등의 설계 인자들을 최적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CO2 가격이 상승하면서 주입량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두 번째 단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CO2 가격이 높을수록 주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첫 번째 단계에서 가능한 많은 양을 생산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오일 가격이 증가하면서 첫 번째 단계의 주입설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soaking 시간의 경우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으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작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