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효율적 대응방안

        박주상,동균 한국치안행정학회 201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3

        국제해양범죄는 해양이라는 광역성, 선박을 도구로서 사용하는 수단성, 범죄가 완성되면 거대한 파급효과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시의적절한 사전예방으로 파급효과를 차단해야 하며, 주변 국가의 경제적·정치적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 국제해양범죄를 예방한다는 것은 대형화될 수 있는 국내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적 효과가 매우 크다. 해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밀입국, 밀수, 마약 등은 한건의 범죄라도 그 여파가 전국 단위로 확대되어 다른 범죄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죄들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비용·인력의 절감, 범죄예방 측면에서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해양범죄에 효율적 대응하기 위한 몇 가지 정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청은 국제해양범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외사전문인력의 증원, 전문성 제고에 힘써야 한다. 둘째, 현재 중복 및 분산되어 있는 해양경찰의 외사기능을 통합하여 21세기 해양시대에 급격히 변화하는 국제해양범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제해양범죄가 광역화·기동화·지능화·흉포화·조직화 양상을 뛰고 있어 국내유관기관과의 공조는 물론 외국해상치안기관과의 교류협력 및 범죄정보에 관한 MOU 체결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넷째, 전국 주요항만 등 외사취약요소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이고 조직적인 범죄 발굴 등 새로운 영역에 대한 외사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Maritime Crimes can be defined as criminal acts committed within a nation's maritime jurisdiction. Although many papers on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s have been released, the papers addressing criminal activities occurred in the maritime domains are rarely found. This paper is to make clear definition of International Maritime Crime and suggest effective follow-up measures to eliminate such crimes. International Maritime Crim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n that of territorial ones; The wide scope of criminal activity area, the limited availability of criminal tools, the spreading effect of the crime, and the possibility of early interdiction through precautionary actions. KCG(Korea Coast Guard), the lead agency responsible for crime prevention at sea, should maintain the enforcement capability in interdiction the International Maritime Crime. To achieve its operational goal addressing those crimes, KCG needs a variety of functional and organizational requirements. This paper is to suggest recommendations on the effective ways for suppressing those crimes. First, KCG must reinforce its personal capacity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Second, KCG must improve both overlapping and dispersion functions. Because, KCG should operate a reliable information system and establish a special intelligence team. Third, KCG is necessary both to cooperate with domestic organizations concerned and expand MOU conclusion for interactive cooperation and crime information with foreign coast guards. Fourth, KCG should intensity the capacity of dealing foreign affairs to the new areas which are to uncover chronic and systemized crime occurring in vulnerable points of foreign affairs such as national wide main port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주상,안승남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경찰공무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찰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고객지향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결과 중 확인되었던 요인들을 종합하여 연구모형을 정립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확정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경찰공무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은 서울청, 경기청, 인천청 산하의 13개 경찰서 소속 200명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기간은 2012년 1월 22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중 191부가 회수되었다. 통계분석에 사용하기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188부를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리커트(R. Likert)의 5점 척도 형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통계 패키지 및 AMOS 5.0을 사용하여 가설들에 관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Ⅰ에 대해서는 내면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면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Ⅱ에 대해서는 표면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내면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Ⅲ에 대해서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by recognizing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and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meeting the customers needs from their perspective. Among randomly selected 200 security guards who were working in police officer enterprise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were consent with this experiment, the target was set as 188 police officers who submitted their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form of questionnaire from January 22th to 29th, 2012. As the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some tools to measure the customer orientation,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 18.0 and Amos 5.0 according to this study's purpos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co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and releva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orientation had positive corelation with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e whole carrier period, the internal emotional labor(r=.44-.60, p<.001). Second, For influential factors on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influential(β=.41), and followed the carrier period(β=.25), and then the job stress(β=.24). So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could be explained as 36%. Thir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job stress, the inner emotional labor, the whole career were directly influential factors on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Tha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police officer's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

        해양경찰학개론 출제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순경 채용시험을 중심으로

        박주상,정병수 한국해양경찰학회 2022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2 No.4

        In addition to security activities at sea, maritime police are performing a wide variety of tasks such as protecting marine sovereignty, searching and rescue activities, ship traffic control activities, and pollution control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such a maritime police organization will be, above all, an excellent human resource that operates the organ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fulfill the goals of the maritime police, the maritime police are making great efforts to find talented human resources and properly exclude ineligible people. The Korea Coast Guard announced the scope of the “Introduction to Maritime Police Sciences” in 2017 in advance, and since then, the “Introduction to Marine Police Sciences” has been selected and operated as a test subject from the 3rd Marine Police Officer Ship Staff Career Recruitment Test in 2018. Since then, marine police officials have been hired through a total of seven recruitment tests for the introduction of marine police studies by the end of 2021. However, the academic diversity of Maritime police science is still not without confusion about its ident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as a test subject for the recruitment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is also lacking in systematicity.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the questions from the “Introduction to Maritime Police Sciences” in the last four years' recruitment test and identified the suitability of the questions through basic analysis, and further analyzed the trends of the “Introduction to Marine Police Science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cruitment tests. 해양경찰은 해상에서의 치안활동뿐만 아니라 해양 주권의 수호, 수색·구조 활동, 선박교통관제 활동 및 오염방제 활동 등 매우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양경찰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무엇보다도 조직을 운영해 나아가는 우수한 인적 자원일 것이다. 따라서 해양경찰은 해양경찰의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자질이 우수한 인적 자원을 찾아내고, 부적격자를 적절히 배제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해양경찰청에서는 2017년도에 「해양경찰학개론」 출제 범위를 사전에 공지하였으 며, 이후 2018년 제3차 해양경찰공무원 함정요원 경력채용 시험부터 「해양경찰학개론」 을 시험과목으로 선정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후, 2021년 말까지 총 7번의 해양경찰학 개론 채용시험을 통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경찰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없다고 할 수 없으며, 해양경 찰공무원 채용 시험과목으로서의 「해양경찰학개론」 역시 체계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4년간 실시한 해양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출제된 「 해양경찰학개론」의 기출문제를 수집하여 기본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의 적합성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해양경찰학개론」의 출제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채용시험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