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층 코어넷 다단입력 인공신경망회로의 처리용량과 사전 무게값 계산에 관한 연구

        박종준,Park, Jong-Joo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5 No.4

        인공신경망회로에서 아직도 안 풀리는 문제 중 하나는 회로의 처리용량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회로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갖은 단층 다단 코어넷을 제안하고 그 처리 용량에 관한 수식을 유도하였다. 제안된 코어넷의 처리 용량으로 p단 입력과 q단 출력을 갖는 코어넷의 처리용량(구현 가능한 함수의 수)은 $a_{p,q}=\frac{1}{2}p(p-1)q^2-\frac{1}{2}(p-2)(3p-1)q+(p-1)(p-2)$ 이며, 입력단 p 값이 짝수이고, 출력단 q가 홀수값이면 추가로 (p-1)(p-2)(q-2)/2 만큼 감해진다. 입력 값으로 3단(level), 출력 값으로 6단을 갖는 1(3)-1(6)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분석한 결과, 총 216가지의 함수 조합에서 입력 레벨링 방법으로 cot(x)를 이용하여 82가지의 함수가 구현가능 함을 보였다. 이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 80개의 함수가 수렴(구현 가능)하였고, 나머지 수렴되지 않은 함수 중에서 2개의 함수는 무게값 공간에서 무게값 좌표를 미리 계산하여 구현 가능함으로 나와, 총 82개의 구현 가능한 함수가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위 코어넷 처리용량에 의한 계산 값과 일치하였다. One of the unsolved problems in Artificial Neural Networks is related to the capacity of a neural network. This paper presents a CoreNet which has a multi-leveled input and a multi-leveled output as a 2-layered artificial neural network. I have suggested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capacity of the CoreNet, which has a p-leveled input and a q-leveled output, as $a_{p,q}=\frac{1}{2}p(p-1)q^2-\frac{1}{2}(p-2)(3p-1)q+(p-1)(p-2)$. With an odd value of p and an even value of q, (p-1)(p-2)(q-2)/2 needs to be subtracted further from the above equation. The simulation model 1(3)-1(6) has 3 levels of an input and 6 levels of an output with no hidden layer. The simulation result of this model gives, out of 216 possible functions, 80 convergences for the number of implementable function using the cot(x) input leveling method. I have also shown that, from the simulation result, the two diverged functions become implementable by precalculating the weight values. The simulation result and the precalculation of the weight values give the same result as the above equation in the total number of implementable functions.

      • KCI등재후보

        관광규제 혁신과 규제샌드박스

        박종준 한국행정법학회 2023 행정법학 Vol.25 No.1

        관광 분야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불필요한 규제를 혁신하여 관광 산업의 본격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적 개선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관광규제 혁신을 위하여 관광 분야의 주요 규제이슈에 대하여 규제샌드박스를 적용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내・외국인 공유숙박 서비스, 이동형 가상현실(VR) 체험서비스, 관광택시를 중개하는 플랫폼 서비스, On-Off 해외여행자 보험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투어 플랫폼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이처럼 관광 분야에 있어서 적지 않게 등장하고 있는 규제샌드박스가 관광규제 혁신의 본격적인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관광기본법」과 「관광진흥법」을 중심으로 한 관광 분야 주요 법제에 대한 규제법적 차원에서의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규제신속확인・실증을 위한 규제특례・임시허가를 대표적인 수단으로 하는 이른바 한국형 규제샌드박스의 법제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관광 분야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이유로, 첫째, 관광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문화된 규제샌드박스 운용이 요구된다는 점, 둘째, 관광 분야의 경우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관광진흥법」이나 게임산업법 등에 있어서 핵심적인 규제권한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규제샌드박스 주무부처와 규제부처를 일원화하여 관광 분야 규제샌드박스의 성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 셋째, 개별 분야별로 규제샌드박스 입법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관광 분야에 있어서도 전문성을 가진 전담조직이 규제샌드박스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크다는 점, 마지막으로 ICT 규제샌드박스의 적용을 받고 있는 도심 내 내・외국인 공유숙박 서비스 사례처럼, 규제갈등이 첨예한 이슈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는 관광 분야 유관 주체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관광규제 혁신을 위하여 관광 분야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야 할 필요성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으나, 다만 관광 규제샌드박스의 법제도적 근거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은 현행 규제샌드박스 관련 법제도의 규율 현황을 고려할 때 그리 적절한 방안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규제샌드박스와 관련된 규율의 수요가 양적으로 그렇게 많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관광 규제샌드박스의 독자적 정립을 위한 법제개선은 현행 법률 중 관광 분야와 가장 밀접한 규율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관광진흥법」을 일부개정하여 관광 규제샌드박스의 도입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신설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할 것이다. 규제샌드박스의 본질이 결국 일종의 사후적인 규제평가에 기반한 입법적 피드백을 통하여 법규범과 법현실 간의 간극을 좁혀나가기 위한 것에 있다고 한다면, 관광 관련 행정을 직접 선도해 나가야 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관광진흥법」을 기반으로 하여 관광 규제샌드박스의 운용에 있어서 중추적인 구심점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은 입법정책적으로 매우 타당한 요청이다. 이에 더하여 관광규제 혁신을 위한 관광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정립 및 운용은 본질적으로 관광 서비스를 ... As the government intensifies its efforts to foster the substantial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by innovating and reforming unnecessary regulations hindering its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pay attention to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regulatory sandboxes in addressing key regulatory issues in the tourism sector. Notable examples include home-sharing service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travelers, mobile virtual reality (VR) experience services, platform services for taxi intermediation in the tourism sector, On-Off international traveler insurance services, and blockchain-based smart tour platform services. Recognizing the need for legal evaluation at the regulatory level, primarily focused on the Framework Act On Tourism and the Tourism Promotion Act, in support of the advancement of tourism regulation sandbox initiatives, this analysis delves into the legal framework of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Korean-style regulatory sandbox.” In light of these findings, several reasons necessitating improvements in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system are presented. Firstly, it emphasizes the need for specialized regulatory sandbox operation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sector. Secondly, considering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the responsible authority, exercises significant regulatory authority in key areas such as the Tourism Promotion Act and the Game Industry Act, it suggests the consolidation of regulatory authorities to maximize the outcomes of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in the tourism sector. Thirdly,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legislative enactments for individual sectors under the regulatory sandbox,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having dedicated organizations with expertise to systematically execute regulatory sandbox tasks in the tourism sector. Lastly, for effective responses to issues marked by regulatory conflicts, such as those seen in cases of ICT-based home-sharing service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travelers, it calls for an expansion of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stakeholders in the tourism sector.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not unreasonable to assert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a regulatory sandbox system specifically applicable to the tourism sector to promote tourism regulation innovation.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law for securing the legal basis of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may not be the most suitable approach, given the current regulatory landscape related to regulatory sandbox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a high quantitative demand for regulations related to the sandbox. Therefore, considering these aspects, the most rational approach may involve partial revisions to the Tourism Promotion Act,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s in the tourism sector, to introduce the necessary provis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If the essence of the sandbox is ultimately rooted in legislative feedback based on retrospective regulatory evaluations, it is quite reasonable to reques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must take the lead in advancing tourism administration, to actively play a central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based on the Tourism Promotion Act.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ourism regulation sandbox system for tourism regulation innovation should fundamentally be oriented toward fulfilling the diverse desires and expectations of the general public, the consumers of tourism services. This approach should cater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their enjoyment of tourism experiences.

      • 무선 센서 네트워크 노드 미들웨어 기술

        박종준,이인환,조현중,주성순,홍상기,박상준,Park, J.J.,Lee, I.H.,Cho, H.J.,Joo, S.S.,Hong, S.G.,Park, S.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2 No.3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을 목표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드 미들웨어 기술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혹은 상위 응용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 기술로 이에 대한 IPR 확보 및 지능화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노드 미들웨어 기술의 특징과 기술에 대한 국내외 동향 및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NMLGR에 의한 코어넷(입력3단, 출력7단 2층 신경망회로)의 구현가능 함수 개선에 관한 연구

        박종준 서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1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6 No.-

        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number of implementable function is largely restricted. In a Core-Net(p-levels of an input node and q-levels of an output node with 2 layers) with multi-level input and output values, I suggest a new grading rule NMLGR(New Multi-Level Grading Rule) for the input level using radian values of [0, π]. For a simulation of 1(3)-1(7) model(3 levels for the input and 7 levels for the output values), the suggested NMLGR method increased the number of converged function(implementable function) as 118, while the MLGR(Multi-Level Grading Rule) gives 115 conversions.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NMLGR method gives better result than the MLGR method from various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