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빈용 한약재의 진통 소염활성

        박종은,최혁재,정석희,김동현,김남재,Park, Jong-Eun,Choi, Hyuk-Jae,Jung, Suk-Hee,Kim, Dong-Hyun,Kim, Nam-Jae 한국생약학회 2001 생약학회지 Vol.32 No.4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ral herbal medicin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the antiinflammatory drugs from oriental herbal medicines. 80% Ethanol extracts of Ephedra sinica, Chaenoleles sinensis, Asiasarum siboldi, Nelumbo nucifera, Scolopendra subspinipes mutians, Evodia officinalis, Aremarrhenae asphodeloides, Bufo bufo gargarizans, Gardenia jasminoides, Piper longum, Carthamus tinctorius, Piperus nigrum, Magnolia officinalis and Siegesbeckia glabrescen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hyaluronidase, trypsin, and albumin denaturation in vitro. They also decreased the acetic acid-induced pain and vascular permeability induced by histamine in mice.

      • KCI등재후보

        말초혈액조혈모세포 채집물의 고농도 냉동보존 유용성 평가

        박종은,정혜경,박혜경,이승태,김석진,장준호,김기현,김원석,정철원,강은숙,김대원 대한수혈학회 2015 大韓輸血學會誌 Vol.26 No.1

        Background: For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he volume of infused and DMSO contained in graft are the major causes of complications related to infus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feasibility of cryopreserving peripheral blood stem cell collects (PBSCC) at high cell concentration. Methods: PBSCC from 40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or lymphoma were split and cryopreserved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NCs; one for standard concentration (SC) (2×108 cells/mL) and the other for high concentration (HC) (3×108 cells/mL). The viability of total nucleated cells and CD34+ cell count were examined before cryopreservation and after thawing. CFU-GM was examined with thawed products. Data were analyzed as two groups between good mobilizer (GM) and poor mobilizer (PM).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NC viability between SC and HC of all patients (P=0.0656) and PM (P=0.9658), however HC of GM showed significantly lower viability than SC (P=0.0314). CD34+ cell viability did not differ between SC and HC. CD34+ cell recovery was decreased in HC of all patients (P=0.459) and GM (P=0.0164), but no differences between SC and HC in PM (P=0.9658). CFU-GM clonogenic efficiency between SC and HC was not different in all patients (P=0.0635) and PM (P=0.8984), but was decreased in HC of GM (P=0.0427). Conclusion: Cryopreservation of PBSCC at 3×108 cells/mL seems to have minimal adverse effect on the quality of PBSC after thawing, particularly in PM. This approach may help to reduce infusion related complications while decreasing the cost of processing and storage of PBSCC. 배경: 자가말초조혈모세포 이식 시, 이식되는조혈모세포제제의 부피와 이와 함께 주입되는DMSO는 이식관련 부작용의 주요 원인이다. 본연구에서는 고농도로 말초혈액조혈모세포를 저장하였을 때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40명의 형질세포 골수종과 림프종 환자에게서 얻은 자가말초조혈모세포 채집물을 둘로나누어 한 군은 유핵세포의 농도가 2×108 cells/mL 인 기존농도, 나머지 한 군은 3×108 cells/mL인 고농도로 저장을 하였다. 냉동보존 전과 해동한 제제에서 각각 세포 생존율과 CD34+ 세포수를 측정하였고, CFU-GM 집락형성능은 해동 제제에서측정하였다. 가동화 정도에 따라 환자군을 Good mobilizer (GM)과 Poor mobilizer (PM)로 나누어분석하였다. 결과: 총유핵세포의 생존율은 전체 환자와, Poor mobilizer군에서 기존농도군과 고농도군간에 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656, P=0.9658), Good mobilizer군은고농도군에서 기존농도군 보다 낮은 생존율를 보였다(P=0.0314). 7-AAD로 측정한 CD34+세포 생존율은 기존농도군과 고농도군간에 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D34+세포의 회수율은 전체 환자와, Good mobilizer 군은고농도군에서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나(P=0.459, P=0.0164), Poor mobilizer군에서는 각각의 농도군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9658). CFU-GM 집락형성능은 전체 환자와 Poor mobilizer군에서기존농도군과 고농도군간에 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635, P=0.8984), Good mobilizer군은 고농도군에서 낮은 CFU-GM 집락형성능을 보였다(P=0.0427). 결론: 3×108 cells/mL로 조혈모세포제제를 냉동보관하는 것이 세포의 질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Poor mobilizer에서 미미하다. 고농도 냉동보존은 이식 시 DMSO 및 용량 과부하와 같은부작용을 줄이고 세포 처리 및 저장의 효율의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 KCI등재

        COVID-19 유행이 119 구급대의 중증 환자 이송 시간에 미친 영향

        박종은,최성혁,윤영훈,김정윤,조영덕,이지영,박성준 대한응급의학회 202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33 No.5

        Objective: A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continues, it is believed that COVID-19 may have affected the transportation time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to support this claim.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ltered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atient after the COVID-19 perio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on patients aged 15 or older who visited three emergency medical centers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20, using the 119 EMS. The primary outcome was total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secondary outcomes include activation time, response time, on-scene, and transportation time. Results: Before COVID-19, the total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s for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patients with out-of-cardiac arrest were 26.78±9.91 minutes and 27.92±8.38 minutes, respectively. Post-COVID-19, the time increased to 35.31±16.30 minutes and 32.46±14.69 minutes, respectively (P<0.001). Furthermore, the total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differed in the critical patient group with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 and 2 (26.58±10.12 minutes vs. 33.93±15.78 minutes).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total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was observed after COVID-19 in the emergency and non-emergency patient groups. An increased time interval was also determined for the activation time, response time, on-scene arrival, and transportation time for all patient groups after the COVID-19 pandemic (P<0.001). Conclusion: COVID-19 has resulted in delays throughout th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greatly impacting critical patients.

      • KCI등재

        행복궤적과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Veenhoven의 논의와 장애 유무에 따른 탐색

        박종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정말 줄어들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행복궤적을 추정하고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가 UN장애인권리협약 비준 국가인 상황을 고려하여 행복궤적 및 영향요인을 장애 유무에 따라 탐색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11,844명이다. 종속변인인 행복궤적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총 4년간 매년 추적 조사된 주관적 행복지수를 활용하였다. 행복궤적의 예측요인은 출발점인 2017년 기준의 변수들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 성별, 교육 수준, ln가구원소득, 배우자 유무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Veenhoven의 논의에 근거하여 선정한 개인요인(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및 사회요인(사회적 관계만족도,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을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 분석을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행복궤적은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투입한 예측요인 중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를 제외한 요인들이 행복궤적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및 비장애 집단 간에 행복궤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예측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 및 장애 인구 집단의 행복 증진을 위한 함의와 후속연구를 논하였다.

      • KCI등재

        트위터 사용자와 팔로워들 간의 실시간 메시지 교류 시스템 개발

        박종은,권오진,이홍창,이명준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9

        Recently, as smartphones have rapidly come into wide use and various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grown, people perform a variety of interactions through the virtual and real world based on them. Usually, such services focus on easy formation of social links among users, supporting the exchange of simple messages among users on the networks. Twitter, one of such services used worldwide, supports short message service named Tweet and has over 200 million members signed up. n this paper, we propose techniques for supporting real-time group messaging based on the social network of Twitter and describe a smartphone group messaging system developed with the techniques. The system automatically forms a group that include a Twitter user and the followers of the user, supporting real-time group messaging among the group members. The developed system is composed of an XMPP protocol-based messaging server and smartphone client applications which perform real-time messaging based on the social network of Twitter. Twitter users can easily use the system utilizing Tweet messages, exchanging real-time messages with their followers within the groups instantly established on the XMPP server. 최근 급속히 보급된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발전은 가상 세계와 실세계를 보다 밀접하게 연결하여 사람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쉽게 구성하는 방법에 치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과 단순한 정보 교환 기능을 지원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인 트위터는 정보 교환 기능으로 트윗이라는 단문 메시지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2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그룹 채팅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반영하여 트위터 사용자와 그 사용자의 팔로워들이 참여하는 그룹을 자동적으로 형성하고 그룹 구성원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그룹 메시징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은 XMPP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징 서버와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메시징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트위터 메시지를 이용하여 손쉽게 메시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XMPP 서버에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그룹을 통하여 자신의 팔로워들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권친화적 서비스 경험이 정신의료기관 입원 정신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료 보장 상태에 따른 다집단 분석

        박종은,강상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2

        One of the experiences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evitably have in the process of their recovery is inpatient treatment at psychiatric institu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uman rights-friendly service (HRFS) experi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dmitted to psychiatric institu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at the effects of five HRFSs suggested by the WHO Quality Rights Tool Kit (i.e., adequate living and privacy, mental and physical health, self-determination, freedom from abuse and violence, and community integration services) on inpatients’ life satisfaction. It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effects of HRFS on life satisfaction vary depending on the status of health care coverage.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ed SEM and multi-group analysis on the data of 228 in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Committee's Survey in 2022.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patients’ life satisfaction increases with more services for ensuring “adequate living and privacy”, “self-determination”, and “freedom from abuse and violence”. Second,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s of all five HRFSs on inpatients’ life satisfaction vary depending on the status of health care coverag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inpatient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KCI등재

        정신장애인 바리스타 훈련 프로그램 참여와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박종은,강상경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1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ideology and human rights related to psychiatric services, the goal of psychiatric services has also changed from treatment to recovery that emphasizes self-reliant social integration of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IP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much less is known about the recovery process of program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cusing on the recovery process of psychiatric service consumers participating in barista training programs(BT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five case studies involving five IPD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BTP. Main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involve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vailable records of IP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e Stake's (1995) analysis framework and the Glaser's (1992) process analysis meth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PD participating in BTP experienced various limitations due to disability, but they were able to develop meaningful self-identities as individuals with careers. Second, through participating in BTP able to deal with their life, build confidence,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through participating in BTP, IPD were able to manage their life in the community as a community member with meaningful social ident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not only the need for our mental health policy to change from treatment to recovery perspectives but also the importance of expanding recovery-oriented intervention programs. 정신건강서비스 관련 이념이나 인권 개념의 변화의 영향으로 서비스의 목표도 치료에서 당사자의 주체적 사회통합을 강조하는 회복으로 변화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참여자의 회복과정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바리스타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참여하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바리스타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질적자료수집 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문서기록 등이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의 분석틀과 Glaser(1992)의 과정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스타 훈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해 다양한 제약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훈련 참여를 통해 노력하며 바리스타라는 의미 있는 자기 정체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바리스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며 나를 다루고, 자신감을 느끼며, 다른 사람과 관계 형성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바리스타 훈련 참여 정신장애인은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지역사회구성원으로서 주변을 둘러보며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힘을 키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정신건강 정책환경의 회복 관점으로의 변화 필요성과 회복지향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 확충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