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분석 프로그램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연계한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필(Park JongPil),박종률(Park JongL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영상분석 프로그램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연계한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의 선정은 K도 O시 소재한 중학교 1학년 349명(9개 학급)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비확률적 표집방법 중 편의추출 방법으로 실험집단 115명(3개 학급)과 통제집단 116명(3개 학급)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두 집단에서 활동영역(경쟁활동: 농구, 도전활동: 장애물달리기)의 특성 차이로 사후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교차계획 설계 방식(Cross Over Design)으로 운영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자기효능감, 체육수업태도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적 정보 제공과 SNS를 연계한 체육 수업이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linking the image analysis program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on the self-efficacy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this end, 349 students (9 classrooms) in the first year in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 the province K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115 students (3 classrooms) and the control group 116 students (3 classrooms) by convenience sampling in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Moreover, the cross over design was applied to solve any problems which could impact the post test caused by the difference of features in the activity fields (competition: basketball, challenge: hurdle) of both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elements of self-efficacy and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linking image analysis program with SN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the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최효근(Hyogeun Choi),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그 인식과 과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전문성을 개념화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표본추출 및 유목적적 표집을 통해 8명의 초등 체육전담교사를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적인 경험과 의미를 추출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방법의 개방 코딩 및 패러다임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총 6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 3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현상에 대한 발생과 계기를 의미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체육전담교사의 시작’이 나타났고, ‘교육환경의 변화’가 현상을 지속하게 되는 맥락적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현상의 핵심관념인 중심현상은 ‘전문성 부족경험’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인식의 변화’가 현상의 구조와 강도를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대처하기 위한 행위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지속적인 노력과 반성’으로 나타났으며 선행 과정들을 통해 ‘전문성 신장’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들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전문성 부족을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내면적 성찰과 외적인 노력을 통해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함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변화하는 교육현장에서 수업 성찰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을 통해 체육교육 전문가로 거듭나기’라는 연구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전반의 중요 내용과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대한 상황 모형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various ways and to suggest a theoretical model that can conceptualize and explain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and processes. For this purpose, 8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and nomadic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In order to extract the in-depth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pen coding and paradigm model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this, a total of 6 categories, 14 subcategories, and 36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cultivating the expertise of physical education comprehensively through internal reflection and external efforts on their classes based on the lack of expertise experienced in various changing educational fields. Accordingly, the core category of the study, Rebirth as a physical education expert through efforts to reflect on classes and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changing educational fields was derived.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로 운영한 체육입시 공동교육과정 사례연구

        이진호(JinHo Lee),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공교육 체육입시는 다양한 어려움과 한계를 지니고 있어 오랫동안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그간 이루어진 선행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복잡다단한 학교 현장의 특성상 적용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실천적 노력에 관한 연구도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 의존도를 낮춤과 동시에 공교육 체육입시를 발전시키고자 교사학습공동체와 공동교육과정의 방식을 접목하여 새로운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체육입시 프로그램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체육입시 공동교육과정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운영교사의 노력 과정과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 체육계열 입시지도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운영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선행연구 및 각종 문헌 자료 분석을 기초로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롭게 시도된 교사학습공동체의 공동교육과정 운영과정은 협동과 집단지성의 필요성에 의해 조직되어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된 체계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운영교사 경험의 의미는 실기훈련에 치우치지 않고 다방면의 진학지도를 실시하여 교육적 의무를 넘어 본인의 교육적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성취의 과정이었다. 셋째, 체육입시 진학지도를 저해하는 다양한 문제는 연구사례의 운영방식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희망과 발전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교육 체육입시 진학지도는 운영 주체인 체육교사와 교육기관의 지속적인 관심 아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한계를 타파할 수 있는 혁신적 시도의 노력이 촉구된다. The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of public education has been dependent on private education for a long time as it has various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Various methods have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o improve this,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pplication examples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the school site 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practical efforts. Thus, to reduc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nd enhance the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of public education, the study carried out a case study by combining the method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joint curriculum and selecting the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program that is being operated in a new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operational teachers’ effort process and experience for program operation and confirm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guidance by examining in depth the cases of the join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rogram that is effectively operated by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this end, operational teachers who operate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y compo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literature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wly attempted joint curriculum operation proces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organized by the need for cooper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was operated as a system developed through various trials and errors. Second, the meaning of the operating teacher experience was that it was a process of achievement in which one attempted to achieve one’s educational self-realization beyond the educational obligations by carrying out educational guidance in various fields without being biased towards practical training. Third, regarding the various problems that hinder the guidance for the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the hopes and development potential that can be overcome through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tudy case can be predicted. In conclusion, physical education entrance exam guidance of public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be developed under the continuous interes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who are the main actors, and efforts for innovative attempts to break the existing limitations are urged.

      • KCI등재

        스마트교육 기반의 신체활동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개념모형 개발

        고정길(Jungkil Koh),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는 체육 교과에서 스마트교육과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발생하는 긍정적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기반의 신체활동 프로젝트 학습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수업설계의 개념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초기 개념모형과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초기 개념모형과 설계원리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 병행해 실시하였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수정 · 개선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교육 기반의 신체활동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의 개념모형과 14개의 설계원리 및 35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개념모형은 ‘스마트 정보자원’, ‘맥락중심 학습주제’, ‘신체활동 프로젝트’, ‘자기주도적 학습’, ‘협력적 상호작용’, ‘과정중심평가’의 6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졌으며, 수업설계의 개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이 스마트교육 기반의 신체활동 프로젝트 체육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연구의 이론적 함의를 스마트교육, 프로젝트학습, 신체활동 통합 수업설계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nceptu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to effectively design smart education-based physical activity project learning based on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that occur through smart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his study applied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and developed an initial conceptu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In order to justify the initial conceptu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expert review and usability evaluation were conducted in parallel, and were continuously revised and improved by reflecting expert opin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14 design principles, and 35 detailed guidelines for physical education projects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were developed. The conceptual model consists of 6 components; smart information resource, contextual learning topics, physical activity project,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course based evalu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was visually expres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model is helpful in systematically designing physical activity project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smart educ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smart education, project learning, and physical activity integrated instruction design.

      • KCI등재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김윤영(Yunyoung Kim),박종률(Jong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체육수업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변화와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또래관계 소외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회고록, 영화감상문 등을 통해 수집된 체험 자료는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범주로 해석 및 재구성하여 체육수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체육수업을 통한 삶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중심의미와 29개의 드러난 주제, 12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소외해소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여 변화된 삶을 맞이하였다. 학생들이 경험한 체육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총 25개의 중심의미와 12개의 드러난 주제,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삶의 활력소’, ‘소외 해소의 기점’, ‘만남과 소통의 장’, ‘관계 개선의 열쇠’로 의미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과 소외현상, 체육수업의 본질에 관해 논의하였고, 또래관계 소외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life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by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eight B-grade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A-city, Gyeonggi-do, who had alienated peer relationships. Experienc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memoirs, and movie appreciation were composed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 and essential themes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he derived subject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into the categories of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proposed by Max van Manen-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to grasp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lif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total of 61 core meanings, 29 revealed topics, and 12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alien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ried to escape alienation in it, and met a changed lif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erienced by students, a total of 25 central meanings, 12 revealed topics, and 4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Students mean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the vitality of life”, “the starting point of resolving alienation”, “the place of mee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key to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a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lienation phenomen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proposed for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peer-related alienation research.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에 관한 질적 연구

        최정호(Choi, JeongHo),박종률(Park, JongL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발현되는 공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교사 2명과 중학교 2학년 1개 반을 선정하여 2017년도 3월부터 8월까지 1학기 동안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참여 관찰, 개인기록물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례 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성원 간 검토 및 다각도 접근법에 의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크게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 사례와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의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 사례를 살펴보면 먼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은 ‘거울신경의 마법: 본능적으로 경험’, ‘역지사지: 교사에 초점을 두는 역할 채택’, ‘타산지석: 모델링을 통한 경험’, ‘선호와 기대: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이 효과: 비 수업 상황에서의 전이 효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가 경험하는 공감은 ‘거울신경의 마 법: 본능적으로 경험’, ‘마음읽기: 경험은 가장 훌륭한 스승’, ‘사고의 전환: 학생의 관점에서 생각하기’, ‘인간적인 과정: 관심과 사랑으로 배려하기’, ‘교사 본연의 역할: 수업 개선을 통한 경험’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의 특징은 공감의 성격, 공감 형성의 필요조건, 공감 형성 과정 이해로 분류할 수 있었다. 먼저 공감의 성격은 공감의 기능, 공감의 방법, 공감의 행동 특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감 형성의 필요조건으로 공감 구성 요소, 공감 환경, 공감 발생 기전, 공감 행동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감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공감적 관심, 공감적 이해, 공감적 행동, 지각된 공감으로 계열화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것은 학생들의 긍정적 의사소통과 친사회적 행동은 물론 올바른 인성 함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삭제)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expressed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concrete examples of empathy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was held for one semester from March to August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empathy experiences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First, if you look at the empathy experiences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 empathy experienced by the student are Magic of Mirror Nerves: Instinctive Experience , Live and let life: Adoption of a role focused on teachers , By other s faults wise men correct their own: Experience through Modeling , Preference and Expectation: Positiv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s , ’The Transition Effect: The Transition Effect in Non-Lessonal Situations. And the empathy experienced by the teacher could be categorized as follows. ’The Magic of Mirror Nerves: Instinctive Experience’, ’Reading the Mind: Experience is the Best Teacher’, ’The Transition of Thinking: Thinking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Human Process: Care with Interest and Love , ‘The Role of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Instruction Improvemen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empathy could be divided into the function of empathy, the method of empathy,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mpathy. And as a necessity condition of empathy formation, empathy component, empathy environment, empathy mechanism, empathy behavior were divided into explanations. Finall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mpathy formation, i able to explain it in a series of empathic interest, empathic understanding, empathic behavior, perceived empathy.

      • KCI등재후보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경험 들여다보기

        김문태(Muntae Kim),박대원(Daewon Park),박종률(Jonglyoul Par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이 연구는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직 경험과 경험 간 발생하는 갈등을 어떻게 적응 또는 극복해 나가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에 근무하는 초임 체육교사 2명을 선정하여, 상징적 상호작용 관점에서 그들의 교직 생활을 참여관찰하고 면담을 통해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원간 검토, 전문가간 협의, 삼각 검증법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 확보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임 체육교사가 교직에 적응할 때,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을 통해 어떤 변화를 체험하며, 그러한 변화의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내면화하는지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결과, 초임 체육교사는 교과지도 시 수업계획의 부재, 수업내용의 한정, 노력의 회피 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전문성에 대하여 스스로 의심하게 되며, 그 결과 심한 내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그러한 갈등은 ‘외적 발판(유능한 타자에 의해 도움을 받는 단계)’에서 ‘내적 발판(자기 자신에 의해 도움을 받는 단계)’으로 나아가며 극복하였다. 학생 생활지도 시에는 엄격함과 관대함 선상에서의 갈등, 학칙과 실제 지도상의 괴리로 인하여 갈등을 빚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통합적 전략을 통해 점진적으로 극복하였다. 이외에도 타인에게 조언 및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려하여 업무 시간이 늘어나거나, 행정업무를 우선시 하는 학교풍토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n in-depth inquiry into the teaching experiences perceived by newly-appointed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w they adapted themselves or overcome the conflicts occurring during th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wo newly-appointed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ir teaching profession in terms of symbolic interaction was made and in-dep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Integrity was secured for the data collected through reviews between the members, consultations between experts and trian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beneficial information about what experiences newly-appoin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in adapting themselves to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changes they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s, and how they internalize the experiences of the chan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wly-appoin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me to doubt themselves about their own expertise due to the absence of a lesson plan, limit of class and evasion of effort in teaching the subject, and as a result, they experienced severe internal conflicts. They overcame these conflicts advancing from ‘the external foothold (a stage in which they were helped by competent others)’ to ‘the internal foothold (a stage in which they were helped by themselves).’ During their instruction of student life, they had a conflict between rigor and generosity and one due to the gap between the policy and reality, which they gradually overcame through an integrated strategy. Moreover, they were reluctant to ask others for advice and a help and felt difficulties because of increasing office hours or the school atmosphere putting administrative work fir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