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말하기 평가 구인에 관한 인식 연구

        박정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9 언어사실과 관점 Vol.48 No.-

        This article is aimed at to investigate and analyse what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is about the construct of speaking test. The TOPIK speaking is for general purpose of students. ACTFL_Speaking, TOEIC_Speaking, and IELTS_Speaking are the representative tests to evaluate general purpose of speaking ability at pres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sed core constructs from these three tests. Core constructs were categorized into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ccording to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Korean teachers answered fluency, accuracy, and pronunciation are the core construct to evaluate learners’ proficiency. It was revealed that the construct of accuracy and ability to perform task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istinguish between novice and intermediate level of students. On the contrary, fluency and the quality of discourse were the core construct of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goal of advanced level of should be set up among languag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about core construct, the definition of accuracy and fluency and subordinate construct, the way of valuing core ration compared to proficiency levels, and the construct of pronunciation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 KCI등재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연구

        박정화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the imbalance in language ability and finding out an effective instruction model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peaking ability, this study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18 and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2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aking instruction model using Dictogloss is effective in promoting learners’ interaction and improving learners’ speaking ability. Second, a group brainstorming activity, a listening-and-dictation activity, and an open form dictation material promote learners’ verbal actions. Third, a language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for beginning level whereas a role of facilitating classroom interaction is need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of student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of suggesting an effective speaking instruction model and teaching method. However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due to a matter of experimental group size and research duration. It is expected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by a follow-up study which is varied from an experimental size and learners’ nationality.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의 불균형적 발달을 해소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급의 한국어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말하기 실험 수업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촉진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소집단 브레인스토밍 활동, 듣고 받아쓰기 활동, 열린 형태의 받아쓰기 자료가 학습자 발화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효과적인 말하기 수업을 위하여 초급에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되는 반면 중급과 고급에서는 조장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본고는 실험 수업을 바탕으로 말하기 수업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과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험 집단의 크기가 작고 실험 기간이 길지 않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험 집단의 크기와 학습자 국적 등을 다양화 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더욱 심도 있는 학문적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게임만들기 수업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 즐거움 효과

        박정화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8 No.1

        게임 만들기 수업을 15차시 농구형 게임 만들기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실시하였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의 즐거움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게임 만들기 수업을 하는 연구 집단 45명(남; 24명, 여; 21명)과 일반 교육과정을 수업하는 통제 집단 51명(남; 27명, 여; 24명)에게 수업 전과 후에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2요인과 신체활동 즐거움 검사지의 5요인을 투여하였다. 수업 전후에 대한 공변량분석(집단2×성2)을 실시하였고, 효과가 나타난 창의성 요인(수업 후, 학습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하기 위하여 stepwise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 만들기 수업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초등학생 고학년은 재미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셋째, 게임 만들기 수업은 신체활동 즐거움의 창의성 요인에 효과가 있다. 넷째, 수업 후 창의성 요인은 수업 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의 건강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창의성 학습 차이는 신체활동 즐거움의 협동심과 자신감 요인의 학습 차이에 영향을 받는다.

      • KCI등재

        중증언어장애자 의사소통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정화,박수현,Park, Jung-Hwa,Park, Su-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1

        언어 및 신체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컴퓨터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시스템은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그러나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단순한 입력만으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의사소통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장애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빈출문장들을 수집하여 9개 생활언어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시하므로, 몇 번의 선택 동작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장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원하는 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천지인 자판을 제공하므로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문장을 빈출문장 그룹에 포함시켜서 다음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 속한 문장들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순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가능한 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It takes a lot of time or is even impossible to communicate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or speech impairmen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an important computerized tool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ose people to communicate. Since not only speech impaired people, but also people with other physical disability cannot use conventional computer input devices easily such as keyboard and mouse, so more simple input devices are need for them to communicate. Thus, in this paper, I designed and implemented a communication aid system, with which they can communicate with simple inputs. I collected frequently used sentences by people with disability and categorized them into 9 everyday language groups. With these categories, they can select any sentence with few simple selections. If none of these categories includes the sentences they want, ChunJiIn keyboard is provided so that they can input the sentences, which can be added to the existing language groups for later use. The priority levels of the sentences in each group is constantly readjusted based on usage frequency so that the number of inputs can be reduced.

      • KCI등재
      • 나눔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배려와 나눔의 마음 키우기

        박정화 한국미래교육학회 2013 미래교육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나눔교육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가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키우는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자의 담임학급 만5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간 생활주제에 적합한 나눔교육의 내용을 선정해 적용한 결과, 유아가 친구 뿐 아니라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실천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친구를 돕는 등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 나눔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은 유아의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키우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searched that Sharing Education program have an influence on raising a considerable and sharing mind of infants who are 4 years ol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Sharing Education program which is resonable to daily life subject were applied to 30 infants in the researcher's class. As a result, the infants got to have practical thinking that they should help friends as well as handicapped people. And their prosocial behavior were increased. In result, sustainable operation of Sharing Education program result in a positive influence on raising a considerable and sharing mind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