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치유를 위한 퇴계의 음악활용에 관한 소고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2

        이 글은 인간의 흐트러지고 지나치기 쉬운 감정[七情]을 치유하기 위한 퇴계의 음악활용에 대해 논한 것이다. 우선 퇴계가 필사한 『활인심방』(活人心方)에서 인간의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위하여 음악이 활용되어 온 사료를 검토해 보았다. 음악과 비장(脾臟)과의 관계가 수록된 『활인심방』의 음악관련 사료에서는 비장 그 자체가 음악을 스스로 인식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음악을 통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감정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감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비장의 기능이 건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음악이란 인간의 마음을 평안하게 하는 동시에 몸과 마음의 건강까지도 유지시켜주는 매개체이다. 퇴계가 65세에 창작한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언지〉(言志)에서는 흐트러진 인간의 감정을 음악이라는 도구를 통해 치유해나가는 ‘음악치유자’로서의 퇴계를 검토하였다. 여기에는 인간의 마음과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에 그의 음악치유법의 원리가 실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줄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사회의 부조화를 치유하는 데에도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산십이곡」에 내재된 퇴계의 ‘온유돈후’(溫柔敦厚)의 실상은 겸손함과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환경을 긍정적이고 만족함으로 받아들이는 내용과 노래 속에 권위나 근엄함이 요란하게 드러나지 않고 조용한 그만의 정감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 세상에 대한 걱정거리가 있더라도 회피하지 않고 정화되고 순화된 언어로 노래함으로서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려 갔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퇴계는 사람의 흐트러진 감정표현과 사회적 병리현상을 걱정하였고, 감정순화의 시급함을 인식하여 「도산십이곡」을 지었으며, 그것이 세상에 불리기를 바랐다. 퇴계의 음악관과 인간의 감정치유에 대한 필자의 논의는 현실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원리가 이미 우리 선조의 사상 속에 담겨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러한 음악치유법이 앞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연구되어 현대인들에게 실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musical practice of Toegye to heal the human feelings prone to be distracted and get extreme easily. For this I examined the documents describing his musical practices for the health of body and mind in Hwalinsimbang transcribed by himself. With the musical documents in the book, which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music and spleen, I concluded that spleen does not just recognize music and not functions itself, but it stabilizes by keeping easy and relaxed sentiments through good music. Music in this book functions as a medium which eases the human mind and keeps the mind and body healthy at the same time. Next, I examined Toegye in his Dosansibigok that was written when he was 65 years old, as a musical healer of the distracted human feelings. He proved the practical effects of his theory of musical healing for the health of human body and mind,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for the healing of discord. The idea of ‘Onyudonhu’(溫柔敦厚) in this book indicates: you should be humble and take the given environment positively and contentedly; songs by Toegye have no exaggerated authority and dignity but calm feeling; he enjoyed purified and refined songs under worldly concern without avoiding it and controlled his own mind. Toegye worried about troubled feelings of people and socio-pathological phenomenon, which made him compose the songs in Dosansibigok. He wanted those songs to be sung around the world. I discussed the musical idea of Toegye to prove the principle of so called musical therapy these days has already been existed in the lives of our ancestors. I wish musical therapies would be studied more deeply and could be used for moderns.

      • KCI등재

        퇴계의 음악,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을 위한 가능성 모색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현재 한국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출발하여, 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음악교육방법론 등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과 방법들을 형성하며 발전하였고, 나아가 인간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양 음악치료학의 토대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모든 질병을 질서의 상실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았고, 음악의 사용을 통해 육체와 마음 사이의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유가(儒家)의 음악사상, 즉 우주만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유가의 사상을 수용한 조선조 선비들은 심신수양(心身修養)의 일환으로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몸과 마음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맺음과 자연과 우주만물이 하나의 유기체로 형성되어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철저하게 인식하였다. 필자는 한국의 유학자를 대표하는 퇴계의 음악관으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음악관은 고대 성현들의 음악을 지향한데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 천지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표방한다. 또한 사람의 선한 성정의 발로체가 음악이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스려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다 함께 오래살수 있도록 하기위해 『활인심방』을 필사하여 전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몸과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조화로운 감정상태가 건강을 결정지어주는 중요한 당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음악과 건강, 음악과 감정과의 관계를 여러 글에서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도산십이곡」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도산십이곡」의 창작목적은 한 개인의 성정과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에 전반적으로 확산된 음란하고 현란함이 묻어나는 정서와, 오만하고 방탕하며, 방자하게 희롱하는 공동체의 분위기, 세상을 희롱하며 공손하지 않는 정서를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독실하고 중후한 정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퇴계는 「도산십이곡발문」에서 ‘온화하고 너그럽고, 독실하고 중후한’[溫柔敦厚] 정서가 필요한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음악치유의 방법과 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언급하였다. 이는 퇴계의 음악이 치유적 측면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자의 사유를 토대로 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The theoretical basis of musical therapies now in practice in Korea is on the thoughts of ancient Greek philosophers. Accepting and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and methods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ories and musical pedagogics, Korean musical therapie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pioneers of the Western musical therapeutics, thought every disease came from the loss of order, and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body and mind should be regained by the use of music. Their emphasis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tol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and harmony. Those Joseon scholars who accepted confucianism thoroughly recognized that body and mind, social interactions, nature and all creatures are intertwined as one organism by people’s using music as a way of training their body and mind. I examined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by Toegye’s idea on music. His idea on music originated from the music of ancient saints and it stood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s, society and all creatures. He also suggested that music should manifest human being’s good will. Toegye transcribed Hwalinsimbang in order to make people keep their health, control their emotions and live long lives together. The book says that human body has a close relation with music, and harmonized emotion through music can bring in health. Not only did he menti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ealth,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many writings but he led it by personal example by creating “Dosansibigok” at the age of sixty-five. The purposes of “Dosansibigok” are: First, to change an individual’s character and trait; Second, to replace obscenity, gaudiness, pride, and debauchery with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He confirmed who needs the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and mentioned clearly the ways and effects of musical therapy in the epilogue of “Dosansibigok”. The music of Toegye could be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and could be a cornerstone for healing.

      • KCI등재

        고대 유가의 악론에서 감정조절을 위한 음악치유론의 가능성 모색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1

        이 글은 현재 서양의 사유를 근간으로 한치우 친음악 치료의 영역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역사속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온 유가(儒家)의 사상, 특히 유가의 악론(樂論)을 통해 음악치유의 접근과 모색의 가능성을 제언해 본 글이다. 그래서 유가의 악론이 집대성된?예기 악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음악[Music]보다 세밀히 논의된 ‘성’ㆍ‘음’ㆍ‘악’이인간의 감정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피고, 더불어‘성’?‘음’?‘악’을 통해 음악 치유의 활용가능성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소리[聲]는 사람의 마음이 외부의물(物)에 감응해 움직여 생기는 것으로 단조로운 듯하나 ‘간성’(姦聲)이나 ‘정성’(正聲)과 같은 성격의 소리가 있다. 또 다양한 인간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소리가 있는 것도 밝힌다. 또한 이글에서는 종성(鍾聲)ㆍ석성(石聲)ㆍ사성(絲聲)ㆍ죽성(竹聲)ㆍ고성(鼓聲)이나 비성(?聲) 등 실제적 소리를 통해 사람의 감정변화에 의미있는 변화를 일으킨다는 이론적 근거도 제시해 봄으로써 음악치유의 활용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소리가 서로 응해 절주(節奏)를이루는‘음’(音)도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치세(治世)의 음, 난세(亂世)의 음, 망국(亡國)의 음, 정음(鄭音)?송음(宋音)?위음(衛音)?제음(齊音)?상음(商音) 등을 통해 ‘음’이라는 것이 인간의 감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음의 특징을 통해 부족하거나 넘치는 인간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성음(聲音)과 몸의 동정(動靜)으로 표현 되어지는‘악’(樂)은 인간의 좋고 싫음의 감정을 공평하게 하는데, 이는 그 감정을 치우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악’은 서로의 동질감을 증대시키고, 친하고 화락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동일한 ‘악’을 사용함으로써 서로의 간극과 긴장감을 부드럽고 화락한 분위기로 조성하기에 ‘악’ 또한 인간의 감정을 변화있게 생성하는 매개체였다. 이렇듯 성ㆍ음ㆍ악의특징을 통해 인간의 치우친 감정을 조절하는 치유의 가능성을 이 글에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tried to suggest a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in oriental Asia history which have been influenced very much by Confucian thought especially through confucian music theory out of Western music thought. So, the author reviewed the meaning of the sound, melody, and music in Lichi(禮記): record of courtesy?」?? 「Yuehchi(樂記): record of music」 which was concentrated to the music theory of Confucianism compare Sound[聲] might be monotonous but is a sense of human mind influenced by exterior materials but keeps the characteristics of ‘inconvenient giggling sound(姦聲)’ or ‘normal sound(正聲)’. Also, the Confucian theory describes various type of sounds to invoke human emotion. and this paper suggested a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by analyzing the various kind of practical sounds such as Sound of Bell(鍾聲)ㆍSound of Stone(石聲)ㆍSound of Thread(絲聲)ㆍSound of Bamboo(竹聲)ㆍSound of Drum (鼓聲) or Sound of String(?) which have influenced meaningfully to human emotion. The harmony of the sounds which corresponds each other also invokeddynamic emotion of human. The sound of ruling age(治世), sound of tumbling age(亂世), sound of collapse(亡國), sound of Zheng(鄭音)ㆍsound of Sung(宋音)ㆍsound of Wi(衛音)ㆍsound of Je(齊音)ㆍsound of Sang(商音) can relate to human emotion of living closely and the sound can control excessive or short human emotion by the characteristics. The music which was controlled by sound music(聲音) or dynamic statistical or physical motion can equalize the human emotion expressing the abhor or affection of the mind. Also, ‘music’enhance the kindred spirit of people, and invoke harmony of mind, and release stress, which become a media to create human emotion in various states. This paper reviewed a possibility of Confucian music to cure human emo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oundㆍmelody and music.

      • ‘親民’의 관점에서 본 왕양명의 음악관과 음악교육

        박정련(Park Jeong-ryen),남상호(토론자) 한국양명학회 2009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0

        Why do we perform music? Why do we and how can we teach music? People who practice music must have raised these questions. Music has a great influence on human emotions and communication. Even the ancient Chinese understood there is music of good and bad influence. Those political leaders of ancient China used music as a means of purifying manners i.e., comforting, purging and changing people’s mind and behavior. People getting nice through music become the basis of stability and peace of their society. It is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that a person’s goodness be the spark of peace and order for his or her fellow citizens, society, country, and the world, and this is where I found one of the reasons and purposes of music. But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ways of recognizing and teaching music. I will discuss two ways: one is the view of sinmin[新民], the other, chinmin[親民]. Wang Yang-Ming’s music and musical education from a view of chinmin originated from his particular understanding of chinmin in The Great Meaning.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his and Zhu Xi’s understanding, that is to say, chinmin theory of Wang and sinmin theory of Zhu Xi finally resulted in the difference of their methods and understanding of music and musical education. Wang’s chinmin refers to the attitude of being good, familiar, happy, helpful each other. It also includes the attitude of protecting others like protecting children, loving what the others love, and disliking what the others dislike. He thought of the word chin[親] as giving comfort to others. These views are based on the idea that human beings are fundamentally good, and he named the representation of human goodness as chiyangji[致良知]. Wang thought of yangji, which is the mind of natural law of pure and absolute goodness, as the source of the subject and music, and one of the self-revealing aspects of yangji is music itself. That’s why he considered music not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 suppressed but as spontaneity of human mind. Without any manipulation, only through the revelation of yangji, which means enhancing peace and virtue, manners will turn excellent and beautiful. For the specific way of encouraging yangji, Wang used drama, the most popular musical genre of that day. He found out a way to get familiar with people by loving the music they also loved. Reluctant to force them to follow, he just inserted didactic stories in drama. He never practiced any coercive, oppressive, intellectual ways when he taught children. He carefully observed and understoo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f a child, and then lead the depressed and dispersed feeling to organized rhythm and tune. So his pedagogy can make children have gentle personality by their own controlling their reason and sentiment, which also proves that his method was based on the deep affection toward children.

      • KCI등재후보

        왕양명의 예술론에 대한 一試論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4 陽明學 Vol.- No.11

        이 논문에서 논의될 왕양명의 예술론은 그의 心學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특징 있는 논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왕양명의 예술론은 지금까지 연구된 왕양명의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 비해 매우 소략한 편이다. 왕양명 예술론의 한 부분인 음악론은 필자가 이미 발표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음악론을 제외한 그의 예술론 전반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왕양명의 예술론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선한 마음, 즉 선한 심성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두 번째로 예술이란 中和를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화란 다름 아닌 ‘良知’인데, 양지는 감정의 지나침과 부족함을 아는 當體이다. 중화에 이르는 것은 스스로 자신을 속이지 않고, 善을 좋아하여 스스로 만족할 줄 아는 것이다. 세 번째로 예술은 心身一體, 萬物一體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즉 몸의 표현은 자신의 어진(仁) 마음이 반드시 몸으로 드러나야 한다. 耳目口鼻와 四肢로서 표현되는 몸동작 하나하나에는 자신의 마음이 드러나는 것이며, 또한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삼아 만물을 자기의 몸과 같이 여기는 풍부한 감수성과 넘치는 상상력이 있는 예술적인 인간에 의해 발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The art theory of Wang-Yang myung(王陽明, 1472-1528) is based on his mind theory. His art theory has not drawn proper attention in contrast with his other art theories. In this study I focused only on his art theory in general except his music theory because I have already discussed it. His art theory can be summed up in three aspects. First, the purpose of art is to show the good heart of human being. Second, art should realize Chunghwa(中和), or Yangji(良知), which means an entity that understands the excess and the lack of sentiment. To reach Chunghwa, we should not deceive ourselves but like the good and be self-sufficient. Third, art should stand on the basis of knowing the unity of mind and body or the unity of things. In other words, the expression of body could be realized through the expression of generous mind of yourself. Each gesture of ear, eye, mouth, nose, and members shows the mind of yours and it should be manifested by the artistic person who has rich sensibility and splendid imagination, and thinks of the universe as his or her own body.

      • KCI등재

        풍류도의 현대적 계승, ‘참 멋’의 인간관으로-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을 중심으로-

        박정련 ( Park Jeong-rye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6 No.-

        Pungryudo(gentleman romanticism)(風流道)is the term symbolizing Korean inner world of spirit for history, which established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e study in ‘Pungryu’(風流), ‘Pungryudo(gentleman romanticism : 風流道), ‘Dongbanghak : Study on East World’(東方學) during Modern Korea by Beombu(凡父) Kim Jeong-seol(金鼎卨 1897~1966). Kim Beombu maintained his own stance in the midst of conflicting age of modern ideological thought, who attained his reputation on Korean thought and research during premodern and modern age. Beombu Kim Jeong-seol,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s through the Hwarang Punryudo in a national situation whe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were widespread. In particular, he recounted the essence and spirit of Pungryudo and discovered by reproducing representative peop;e’s figures with elegance through the Hwarang-oisa(花郞外史). The writer developed in this article that Kim Beombu’s Pungryudo is ‘my work’, which is realized as a ‘true good’, a term that is not unfamiliar to u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Pungryudo (gentleman romanticism) music is being “my work” and “a very beautiful human being” and is now being realized to us in a specific and easy way through the musical content related to the Mulgaeja(勿稽子) and the teacher Baekgyeol(百結先生).

      • KCI등재

        『樂學軌範』에서 12律名의 의미가 갖는 생명인식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8

        이 논문의 목적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담긴 12율려(律呂)의 의미를 통해 우리나라 음악문화의 전통적 사유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악학궤범』에 언급된 12율려의 의미는 동양사상의 기반이 되는 12지지(地支)ㆍ12절기(節氣)ㆍ12괘(卦)와도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음악이라는 한정된 영역에 갇히지 않고 동양사상의 근저를 이루는 한 축이면서 포괄적이고 확대된 동양의 사유를 지닌다. 즉 12율려가 12지지(地支)ㆍ12절기(節氣)ㆍ12괘(卦)와 ‘생명’이라는 유기체적 관계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아가 인간 삶의 방식까지도 제시하는 핵심적인 사유라는 말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악학궤범』에서 언급하는 12율려의 의미를 하나하나 검토하였고, 이 내용이 어떤 문헌에서 근거하였는지를 밝혀보았다. 그런후에 동양사상의 토대를 이루는 12지지와 12절기ㆍ12괘가 갖는 의미를 12율려의 그것과 관련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12율려ㆍ12지지ㆍ12절기ㆍ12괘가 상징하고 의미하는 동양사상의 유기체적 생명의식으로 귀결되고, 『악학궤범』에 담긴 12율려의 의미 또한 동양사상의 오래된 생명인식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hought through the 12 Yuleo(律呂: rhythm) meaning in Akhakguebeom(『樂學軌範』). Also, the meaning of 12 Yuleo in Akhakguebeom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oriental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sexagenary cycle(地支)ㆍ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節氣)ㆍthe 12 divination sign(卦), which do not limited within the music itself but have inclusive and expanded oriental thought as an axle of the thought. That is, the 12 Yuleo forms core thought to direct human way of life by constituting organic network of ‘Life’ with the sexagenary cycle(地支)ㆍ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節氣), and 12 divination sign(卦). To define the meaning of 12 Yuleo, the author examined Akhakguebeom and the root of the contents in literature. Finally, the correlation among the basis of oriental thoughts in the sexagenary cycle,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and 12divination sign with 12 Yuleo was surveyed. The result of the study conclude the meaning and symbol of 12 Yuleo, the sexagenary cycle,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and 12divination sig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nsciousness of organic life in oriental thought, which have the same meaning of 12 Yuleo in Akhakguebeom as an old descended recognition on life within the criteria of oriental thought.

      • KCI등재

        퇴계의 국악치유 방법에 관한 모델 연구 -『활인심방(活人心方)』의“거병연수륙자결(去病延壽六字訣)”과 “장부(臟腑)운동법”을 중심으로

        박정련 ( Jeong Ryen Par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8 No.-

        이 글은 퇴계의『활인심방』(活人心方)을 바탕으로 국악과의 접목을 통해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구체적 치유방법에 대한 모델을 제시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고대 중국의 의학서인 『황제내경』에서 오행론과 오장, 오행감정과의 긴밀한 상관관계와, 고대유가의 악론인『예기』『악기』에서 오행감정과 성음(聲音)과의 연관성을 우선적으로 살펴 보았다. 이를 토대로 퇴계의 『활인심방』의 오장을 치료하기 위한 ‘거병연수육자결’과 ‘장부운동법’에서 오장의 치료는 곧 인간의 오행감정을 다스리고 조절하는 맥락과 통하며, 인간의 감정은 성음(聲音)과도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거병연수육자결’과 ‘장부운동법’의 호흡법과 몸동작을 국악기의 성음(聲音)과 장단(長短), 국악의 특징을 연관시켜 봄으로써 국악을 이용한 치유방법의 구체적 모델을 나름 제시해보았다. This study suggest a model therapy to recover human health physical, spiritual way by appl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basis of Toegye`s 『Hwangjae-naegyeong』(活人心方: A method to activate human health). Before developing a theory for the study, the close relationship were examined between Ohaeng-ron(五行論: Theory of Fundamental Five Elements) and Ojang(五臟: Five Inner Organ) in Chinese classic medical textbook of 『Hwangjae-naegyeong』(黃帝內經: Emperor`s testament for human organ), and relationship between Five Elements Emotion in 『Akgi』(禮記: Description on art order) 「Akgi」 (禮記: Description on music) in ancient Confucian music theory and Vocal sound(聲音). The result of the study found that human emotion was closely related to vocal sound by the context of controlling human Five Elements Emotion to cure human inner five organs which indicare a method in Geobyeong-Yeonsu-Yukja-gyeol(去病延壽六字訣:(Six letter method to cure disease and live long) and Jangbu-Undong-beob(臟腑連動法: Organ exercise) in 『Hwalin-simbang』(活人心方).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a new model method to recover human health by applying Korea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vocal sound or beats with breath or body motion in Geobyeong-Yeonsu-Yukja-gyeol and Jangbu-undong-beob.

      • KCI등재후보

        왕양명의 음악교육사상으로 본 현대음악교육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이 논문은 왕양명의 음악교육론과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나타난 음악교육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 인간의 본성[양지], 인간 가치의 회복을 위하여 우리나라 음악교육이 어떻게 성립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해본 글이다. 양명의 음악교육은 ‘아동의 양지발현을 위한 무언(無言)의 교육’이며, ‘아동의 정신을 화창하게 드러내고, 심기(心氣)의 화평을 위한 것’이며, ‘개인의 음악적 재능과 공동체의 조화를 중시하는 교육’이다 현재 시행되는 우리나라 제7차 교육과정의 최종목표인 「21세기의 세계화ㆍ정보화시대를 주도할 지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은 한시적인 시대의 흐름에 대응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다. 물론 교육은 다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하는 역할 또한 필수적인 요건이겠으나, 교육의 최종목표는 인간의 가치, 인간의 본성[양지]을 회복하기 위한 인간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한시적 영역에서 인간 본성의 회복을 위한 목표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고 음악교육은 아동 ‘나름의 덕’이 뿌리를 내려 더욱 견고해지도록 교육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음악교육의 목표중 하나인 「아동의 음악성 개발」은 아동의 음악지식의 척도에 따른 ‘심미적 안목의 형성’에만 편중되어 있고, 도덕ㆍ덕성교육을 전제로 하는 ‘바람직한 가치관의 형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아동의 음악성 개발」교육이 성취되기 위해서는 아동의 마음을 양육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이 필요한데, 이를 양명의 음악교육론에서 제시해보았다. This writing compares the musical education theory of Wang Yang-Ming(王陽明, 1472-1528) with the current Korean musical education, and argues what a musical education should be for the recovery of human values. The musical education of Wang involves 'the silent education for a child's nature', 'the brilliant and peaceful manifest of a child's mind', and 'the education for the musical talents of an individual and harmony of communities'. 'Raising spontaneous and creative Koreans who can lead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f the 21th century',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7th education course, means the bringing up individuals who can successfully confront the world shifting everyday.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the human education for recovering human values and human nature although education also has to be ways and methods for confronting today's changing world. For this reason the current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changed for restoring human nature and securing child's virtues. Moreover, 'a desirable formation of values' based on moral and virtue education is still far off since the current education is confined to musical knowledge. Therefore a concrete and practical method is necessary to nurture a child's mind, which has been suggested in Wang's musical education theory. This writing presents the way a music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r human education.

      • ‘향당교주’ 아명(雅名), 중국 악곡명과의 비교 검토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2 No.-

        이 글은 지금까지 알려진 『향당교주』가 한 악곡명, 또는 향악기와 당악기의 혼합편성이라는 점, 나아가 조선후기 정재의 반주곡이라는 특징 외에, 또 다른 이면의 실체를 찾아보고 아명이 붙여진 배경을 문헌을 통해 검토해보는 것이다. 1828년 2월 자경전 내진작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한 『향당교주』의 39개 아명을 중국문헌과 비교하여 검토해 본 결과, 자경전 내진작의 『향당교주』의 아명은 중국의 악곡명과 동일한 경우, 중국의 악곡명을 소략적으로나마 개칭한 경우, 새로운 악곡명을 창제한 경우가 있다. 그 중에서 이 글에서는 1828년 자경전 내진작에서 중국의 악곡명을 개칭하여 사용한 아명을 중국의 문헌을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즉 개칭된 아명곡은 『만년락지곡』ㆍ『금전만년환지곡』ㆍ『앵천류지곡』ㆍ『염외화지곡』ㆍ『헌천하지곡』ㆍ『경선화지곡』ㆍ『장생락지곡』ㆍ『수제천지곡』ㆍ『경수락지곡』ㆍ『천선자지곡』ㆍ『유초신지곡』ㆍ『승평악지곡』ㆍ『수연장지곡』ㆍ『청평악지곡』ㆍ『장생보연지악』ㆍ『수천춘지곡』ㆍ『요계락지곡』ㆍ『경방춘지곡』ㆍ『희신춘지곡』ㆍ『만화신지곡』 이상 20곡인데, 이 아명들의 출처와 용도, 그리고 연향의 성격을 통하여 『향당교주』에 사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1828년 2월, 자경전 내진작에 사용된 『향당교주』 아명은 중국의 악곡명을 수용하고 이를 새롭게 변화시키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나아가 『향당교주』에 대한 객관적이고 폭넓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Hyangdang-gyoju」, which shows one song title name, but mixture of national music instrument and chinese Tang music instrument, furthermore which revealed late Choseon dynasty Jeongjae accompaniment music and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the music as the title in the literatu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itle 39 music titles in 「Hyangdang-gyoju」 which have been explosively increased the title name in Feb. 1828 in Jagyeongjeon Naejinjak with Chinese music title, the name of 「Hyangdang-gyoju」 name in Jagyeongjeon Naejinjak renovated Chinese music literature but was created as new music Korean music note. The newly titled anme of music as of 1828 Jagyeongjeon Naejinjak were 「Ohun-Gayuk-yongjigok」ㆍ「Seongunmuwon-jigok」ㆍ「Hwangsangkil-jigok」ㆍ「Ungnyeon-jigok」ㆍ「eosan-jigok」ㆍ「aepyeong-chunjigok」ㆍ「uhilhqa-jigok」ㆍ「ansu-jangrak-jigok」ㆍ「ongchui-jigok」 or more than 90 musics, which have meaning of ceremony at the time. The renovated name of the music title from Chinese music were 「Mannyeon-jirakgok」ㆍ「eumjeon-mannyeon-jigok」ㆍ「ngcheonryu-jigok」ㆍ「eomyoihwa-jigok」ㆍ「eoncheonha-jigok」ㆍ「yeongseonhwa-jigok」ㆍ「angsengrak-jigok」ㆍ「ujaecheon-jigok」ㆍ「yeongsurak-jigok」ㆍ「heonseonja-jigok」ㆍ「uchoshin-jigok」ㆍ「eungpyoungak-jigok」ㆍ「uyeonjang-jigok」ㆍ「heongpyeongak-jigok」ㆍ「angsengboyeon-jiak」ㆍ「ucheonchun-jigok」ㆍ「ogaerak-jigok」ㆍ「yeongbangcun-jigok」ㆍ「uishinchun-jigok」ㆍ「anhwashin-jigok」 as 20 musics. These title of music were reviewed in the origination,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 the 「Hyangdang-gyoju」.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illustrated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music in Feb. 1828, 「Hyangdang-gyoju」 in Jagyeongjeon Naejinjak music tide, which revealed mixture of the existing name and new name as 「Hyangdang-gyoju」 for more deep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