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 제작에 도입된 기술과 인공지능에 관한 역사적 관점에서의 고찰

        박재록 ( Park Jaerock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연구 Vol.33 No.-

        음악과 기술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시대를 관통해왔다. 2019년 현재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인공지능이다. 이미 실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었고, 또 시도되고 있다. 음악과 관련해서도 많은 실험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몇몇 상용 제품과 서비스들이 등장하였다. 이 연구는 음악과 관련된 인공지능기술들이 어떻게 수용될 수 있고, 기존의 음악적 일을 대체할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경영정보시스템 분야의 기술수용모델이라는 이론에서 다루는 기술수용의 요인과 미디어 연구 분야의 대체와 보완의 개념을 도입하여 역사적 관점에서 과거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음악 제작에 있어서 어느 정도 도입이 되었고 향후 어느 수준까지 실제 사람을 대체하게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논문의 제한점은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여러 가능성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 가능성은 현재 음악을 하고 있는 사람들과 음악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 그리고 음악을 듣는 사람들 앞에 놓인 가능성이며, 이 연구는 이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 대한 도입으로 의도되었다. Music and technology have penetrated each other and influenced each other. Currently, the most notable technology as of 2019 i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now being applied and tried in many parts of real life. There are also many experimental studies on music, some commercial products, and services using AI. This study mainly discussed how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ed to music can be accepted and how to replace existing musical work. To this end, the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in the theory of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e field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the concept of substitution and complementation in the field of media research were introduced, and the historical cases of the past were analysed from the these perspective. And I discussed how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ntroduced in music production and how far it will be able to replace musicians’ work. Although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iscussed, this is only one of many possibilities and this i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But it's a possibility that's in front of the people who are doing music, who are trying to do music, and who are listening to music.

      • 멀티터치 인터페이스 거문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구현

        박재록(Jaerock Park),안준석(Junseok An),유리나(Rina Yu),이돈응(Donoung Lee)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거문고는 백악지수(百樂之首)라 하여 예로부터 선비들이 음악의 도를 닦는 그릇으로 소중히 여겨온 한국의 전통 현악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멀티터치 스크린에 거문고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인터페이스의 관점에서 연구했다. 거문고에 익숙한 사람과 거문고에 문외한인 사람 모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연구하고 기존에 나와 있는 스마트폰용 악기 어플리케이션과의 차별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The Geomungo is a traditional Korea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of the zither family of instruments with both bridges and frets. In this paper, a small multi-touch screen smart phone appli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geomungo mainly studied from point of view of the interface. Professional players and ordinary person will be able to easily use this smart phone application interface. And we studied What is different from other smart phone applications that are simulated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K-LIDM 모형을 이용한 불투수유역 내 투수면적비 산정에 관한 연구

        박재록,김재문,백종석,서용재,신현석,Park, Jaerock,Kim, Jaemoon,Baek, Jongseok,Seo, Youngjae,Shin, Hyunsuk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1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수재해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관한 연구와 도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LID 기법은 도시 내 우수유출수를 저감시키며 돌발 홍수등 다양한 수재해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제어하고, 도시 물순환 체계를 자연 물순환 체계로 회복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LID 기법을 통한 우수유출수 저감의 정량적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 포장을 활용하여 구도심의 불투수 유역면적에 대하여 강우(25 mm/hr, 50 mm/hr, 100 mm/hr)의 지표유출 저감시 필요한 투수면적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5 mm/hr에 대하여 전체면적대비 7.14~12.63%의 투수면적이 필요하며, 50 mm/hr에 대하여 15.79~26.97%, 100 mm/hr에 대해 30~55.81%의 투수면적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물순환 회복을 위한 우선관리유역 선정 방안에 대한 연구

        김재문,백종석,박재록,병우,신현석,Kim, Jaemoon,Baek, Jongseok,Park, Jaerock,Park, Byungwoo,Shin, Hyunsuk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0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유역 물순환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에서는 물순환 왜곡현상을 억제해 줄 수 있는 저영향개발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적용을 하기에 앞서 물순환 왜곡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요소 P, S, R값을 산정하여,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148 소유역별 PSR 지수를 산정하였다. PSR지수는 토지피복도 1975년을 기준으로 2019년 현재까지의 불투수면 변화율을 나타내는 압력지수 P, 기준에서 현재까지 각 소유역별 물순환 변화율을 나타내는 현상지수 S, 현시점에서 저영향개발 적용가능 면적 대책지수 R을 산정하여, 표준거리 d값 산정을 통해 PSR지수를 산정한다. PSR 지수값이 낮을수록 우선 관리 유역에 해당하며, 물순환 회복 우선 관리 유역으로는 1(서낙동강A), 2(낙동강하구언), 87(신천하류), 90(금호강하류), 91(진천천), 147(서낙동강B) 등 순으로 산정되었다. 대권역내 소유역별 물순환 우선관리 순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저영향개발요소를 적용하면 물순환 왜곡현상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LID 시설로서 벽면녹화 시스템의 저류 효과 분석

        문지현(Jihyun Moon),박재록(Jaerock Park),권순철(Soonchul Kwon),김재문(Jaemoon Kim)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3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produce distortions in urban water circulation. This issue can be resolved using a stormwater management technique called Low Impact Development (LID), which mimics natural processes and restores the hydrological state as it was befor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ID facility and calculate the runoff reduction and delay effect. The test-bed is a green wall of the Korea GI & LID Center. Scenarios for 30 mm/hr, 50 mm/hr, and 70 mm/hr were set based on the percentile of rainfall events from 2012 to 2021 in Geumjeong-gu, Busan. By setting an impervious surface as the control group, runoff reduction was found to be 91%~94% of 30 mm/hr, 50 mm/hr, and 70 mm/hr. The total outflow time increased by 47, 88, and 58 minutes, respectively, demonstrating the effect of reduced runoff and delayed time. 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constructed to evaluate this effect quantitatively. Verification and correction were done using the experiment results. R2 was 0.96~0.98 for the test and 0.93~0.94 for the correction. This paper thus verified the retention effectiveness performance of a green wall and analyzed its quantitative effect through a SWMM. The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test parameter-wise hydrological performance of the model.

      • 키넥트를 활용한 3차원 프레이즈 시퀀서 제작 기법 연구

        김신일(Shinil Kim),박재록(JaeRock Park),이승연(Seungyon-S. Lee)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해서 작동하는 3차원 프레이즈 시퀀서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시퀀서와 키넥트(Kinect)를 사용하는 음악용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특성을 분석한 뒤, 음표를 객체로 다루는 동작 인식 시퀀서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이후 이 설계를 바탕으로 키넥트와 맥스포 라이브(Max for Live) 언어를 이용하여 3차원 프레이즈 시퀀서를 제작한다. 기존의 동작 인식 음악용 소프트웨어는 음을 직접 제어하지 않고 음을 제어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식이어서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살리지 못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3차원 프레이즈 시퀀서는 손으로 음표를 상징하는 객체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동작 인식 음악용 소프트웨어보다 더 직관적인 사용성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3-dimensional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music software.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equencers and music softwares that use the Kinec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laysis, this paper proposes a new design for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objectification of musical notation and complete construction of that design in Max for Live language with Kinect. Most of existing gesture-based music software is not appropriate for gestural interface because they controls device that control musical note rather than musical note itself. 3-dimensional phrase sequencer that is proposed on this paper serves more intuitive usability than its existing competitions by controling objects that representing musical no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