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갈등 관리의 메시지 프레임 구조에 관한 연구 -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박일준,최순종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1

        본 연구는 관민갈등에서 갈등의 중심 주체인 정부, 공공기관이 전달하는 메시지 프레임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메시지 도출의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연구방법은 국내 공공갈등 관련 언론보도, 사례분석,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연구의 주된 내용으로서는 첫째, 공공갈등 발생 시 이해관계자 간 행동반응 유형 및 특성 분석, 둘째 행동반응 유형 모델에 밀양송전탑 사례를 적용하여 국내 공공갈등의 특성 및 시사점을 제시, 셋째 갈등관리 시 기존 메시지 프레임의 문제점과 적대적 관계에서 협력 관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한 메시지 프레임의 틀 제시, 넷째, 제시한 프레임에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갈등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선정 사업과 청계천 사업 사례를 통해 적용하여 시사점을 제시했다. 핵심적인 연구 결과로서는 첫째, 이해관계 충돌 시 타협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과 이에 따른 마인드 전환 필요성, 둘째, 자기중심성과 타인중심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균형적인 시각의 필요성, 셋째, 공공사업의 주체인 정부와 공공기관의 협력적 메시지 프레임 도출 역량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dicate the problem of message frame and present the methodology deriving effective message that government and public enterprise delivers in public conflict management, especially in case of conflict situ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For this, this paper reviews theories, previous studies, media reports on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analyzes some cases. Research shows that stakeholders fit into five different modes when faced with conflict and most serious conflict comes from dominating-dominating stance. We conclud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concern of self and concern of others among stakeholders to resolve serious situation and change paradigm from dominating-dominating to collaborating-collaborating.

      • KCI등재

        동북아시아 감수성 기획: 동북아 심포이에시스의 정치와 종교

        박일준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論叢 Vol.62 No.-

        Northeast Asia, in which we Koreans live, is a specter-like concept unlike our empirical commonsense. Unlike when the tribunal trade system under the name of Sinocentrism functioned well, Northeast Asia in the present is not a sympoietic community but a community of interest due to historical traumas following their respective pain and suffering from their histories. and their trauma. Thus, it is hard to say that the nations and people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have a sense of identity as Northeast Asians. In this situation, climate change, ecological crises, the pandemic, and so on firmly warn us that our common destiny will be a co-destruction, if we Northeast Asians share a sense of living and making life together. This artile examines if Northeast Asian religiosity can plait senses of symbiosis and sympoiesis into our ways of living. The four-seven debate in Joseon Neo-Confucianism says that we can cultivate a sense of becoming human through four emotional thresholds like sympathy(惻隱 之心). Although there is already and always a risk when religious sensitivity can be corrupted in its justification for a totalitarian ideology, religious concepts like sympathy in Confucianism and compassion in Christianity can help us a lot to recognize the fact that we are entangled with all other beings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on the globe, living with them and forming actor-networks.

      • 차이의 진리(차연)와 진리(의 차이): 데리다와 바디우의 접점, 주체에서

        박일준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0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1

        Is it still allowable to say of the subject and Truth in this age of difference and tolerance? If possible, how can one speak of them? Does to say of the subject of truth have any difference from to do serious violence to different cultures and religions? This article seek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rough the thoughts of A. Badiou and J. Derrida. In order to meet the other, Derrida insist on the deconstruction of Truth, which builds up and absolutizes the wall of boundary of the 'we.' For the 'we' is constituted and renewed by that which is different from us. Unlike him, Badiou says that what we need in this age of difference is none other than the subject of truth. In such an age, truth does not consist in a form of absolute oneness, but it exists as many. Thus, it can be attained by the subject's rational operation of truths through the truth procedures. However, one should not think that it is fixed at any point or situation. Only one and single definition we can have of it is that it always exceeds our language. That is why the subject would vanish after it sutures to the situation the truth that digs a hole in our knowledge system. Once the situation is stablized and fixed, the subject arises again to encounter the event of truth. If one can see Badiou's subject of truth as the between, it exactly fits in the seat of Derrida's différance. This subject is not the monologuing subject of the modern reason but that which arises with the Two and always needs its partner of dialogue. ‘차이와 관용의 시대’에 주체와 진리를 말하는 것은 아직도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언표될 수 있을 것인가? 진리의 주체를 말하는 것은 ‘나’와 다른 문화와 종교에 근원적인 폭력을 휘두르는 일은 아닌가? 본고는 바디우와 데리다의 사유들을 일별하면서, 이상의 물음들에 대한 답들을 모색한다. 데리다는 우리가 타자를 만나기 위해, ‘우리’의 경계를 쌓고 절대시하려는 진리의 주체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는 ‘우리와 다른 것’을 통해 매번 새롭게 구성되어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바디우는 이 차이의 시대에 도리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진리의 주체라고 말한다. 차이의 시대에 진리는 단일하고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로서 존재하며, 그래서 다양한 진리절차들을 통해서 성찰된 진리들을 합리적으로 연산함으로서 얻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진리는 고정된 것이 아니다. 진리는 정의상 언제나 ‘초과중’(exceeding)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리의 주체는 지식 체계에 구멍을 뚫는 진리를 사건을 통해 만나 상황에 봉합하고 사라진다. 그리고 상황이 고정되고 안정되면, 다시 상황의 체계에 구멍을 뚫는 진리사건을 만나러 나아간다. 이점에서 바디우의 진리 주체를 사이(the between)로 볼 수 있다면, 그 주체는 정확히 데리다의 ‘차연’의 자리에 들어맞는다. 이 주체는 그래서 근대 이성의 독백하는 주체가 아니라, 언제나 ‘둘’(the Two)로 일어나는 주체로서 언제나 대화의 상대를 필요로 하는 주체이다.

      • 화이트헤드의 사건적 존재론: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사이-존재로서 새로운 인간 이해

        박일준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6

        The critical mind of this paper is that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n atomic individual has become a big hurdle to our intellectual effort to deal with emerging problems in our age of ‘Post-Humanism.’ Instead of disclosing the totality of the emerging problems we are facing, the individu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have had us accuse certain individual(s)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matters. This paper argues that our crisis has an holistic character and thus that it requires a profound change in our paradigm of thinking. Such a change of paradigm demands that one needs to make a pathway to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event-being or as the being-between beyond the modern paradigm of human being as an atomic individual. It is none other than an understanding of the hybridity of the bodily subject constituting the event of prehension between the mind and nature. On the basis of such a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is paper explores the murky boundary of human being which is constantly shifting in the virtual time-space and social media networks. 본고의 문제의식은 개체적이고 원자적인 인간 이해가 ‘인간-이후’ 시대의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창출해 내는데 큰 장애가 된다는 것이다. 개체 중심의 인간 이해는 우리가 당면한 문제들의 총체성을 보도록 하는 대신에 우리로 하여금 문제의 원인이 되는 책임자로서 개인을 색출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고는 우리의 문제들은 총체적인 문제이며, 그래서 우리의 사유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는 문제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한 사유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은 무엇보다도 인간에 대한 근대적 패러다임 즉 근대 이래의 개체적이고 원자적인 인간 이해를 넘어서서, ‘사건적 존재’ 혹은 ‘사이-존재’로서 인간 이해로 나아갈 것을 요구한다. 그것은 곧 정신과 자연 사이에서 파악의 사건을 구성하는 몸적 주체의 혼종성에 대한 이해이며, 이를 통해 가상공간과 소셜미디어 네트워크를 통해 변해가는 인간의 경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언택 시대의 감정의 신학 : 기호자본주의와 정(情)의 신학

        박일준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0 No.-

        The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increase of untact meeting under the pandemic by covid-19 virus. On the one hand, we are relatively well adapted to this communication based upon digital networks, and it has its own scientific ground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emiocapitalist environment, in which one connects one’s nerve systems to the digital networks on the worldwide web, has caused some emotional problems. Franco ‘Bifo’ Berardi already persuasively warns of dangers that our biological brain cannot stand the quantity and speed of infinite information out of digital networks and that the feeling of impotence will seeks for its exit through anger and rage in the form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Now, it is the time for a theology of emotion. This paper explores in the Korean affective structure of Poong-Ryu(風流) a source for the theology of emotion necessarily needed for this untact age based on digital networks. On particular, it summons the theology of Jeong(情) in order to prepare the coming post-corona age. 본고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 아래서 언택 만남이 증가하고 있는상황에서 인간 유기체가 디지털 네트워크에 생각보다 잘 적응하는 과학적 이유들을 살펴보고, 다른 한편으로 뇌신경이 디지털 네트워크에직접 접속하며 일하는 기호자본주의가 야기하는 정서적 문제들을 조명한다. 생물학적 두뇌가 디지털 네트워크에 쏟아지는 무한 정보의양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탈진’하면서, 무기력이 혐오와 차별의형식으로 분노로 출구를 찾게 되는 일이 빈번해질 것이라는 것을 베라르디는 설득력있게 경고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감정의 신학을 위한적기일 것이다. 본고는 특별히 언택 시대 디지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감정의 신학의 원천을 한국적 집단감성구조인 풍류에서 찾아보고, 특별히 언택 시대 긴급히 필요한 신학을‘정의 신학’으로 소환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신학을 준비해보고자 한다.

      • 대화를 위한 주체성 연구: 알랭 바디우의 주체 연구- 화이트헤드적 비판 -

        박일준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1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2

        At least in two of his major trilogy, The Theory of the Subject and Being and Event, A. Badiou seems to transit from the subject of resistance and deviation to the subject of faith. First in The Theory of the Subject, he argues that the dynamical contradiction of the Two generated between the splace and the outplace is not secondary to the established order, but rather the foundation or ground of the order, for it produces the movement of the whole structure. This structure of the Two is none other than the subject. The subject of resistance shows itself with its various appearance such as the deviational movement of clinamen, the mediative function of the vanishing term and the dynamical movement of destruction and recomposition. Now in Being and Event, the subject is transited to that which uncovers the truth through interventional interpretation and faithful generic procedures out of the being of the void. Then, the subject becomes a militant savant arguing the generic truth by means of enquiries of fidelity in its local situation. Nevertheless, the subject is not a being. it is just a vanishing term mediating the event(s) by its intervention and the operation of fidelity. Can we say that dia-logue is no more than this faithful declaration of the truth and its vanishing? Given that all dialogue is nothing but the reflection of the mono-logue of desire, doesn’t it seem to be more honest and true that our communicative action towards the other(s) is not different from the action, which argues ‘my’ subjective belief in the event of the truth and then lets the other successive subjective moments choose and decide for its acceptance? The anticipation this paper feels is that any religious dialogue between religions of truth has at least to take place with the medium of this discreteness of the event of truth, with humble acknowledgment of self-limitation. 적어도 자신의 주저인 『주체 이론』과 『존재와 사건』에서 바디우의 주체는 저항과 일탈의 주체로부터 믿음의 주체로 전이한다. 배치공간(splace)과 탈배치(outplace)로 창출되는 ‘둘’(the Two)의 모순적 역동성은 저항이 질서와 체제에 부차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둘’의 모순적 역동성이 전체 구조의 운동성을 창출하고, 이러한 운동성이 질서와 체제의 토대임을 『주체 이론』은 논구한다. 그 ‘둘’의 구조가 바로 주체이다. 저항의 주체는 클리나멘의 일탈 운동으로서, 사라지는 항의 매개적 기능으로서, 그리고 파괴와 재구성의 역동적 운동으로서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 『존재와 사건』에서 이제 주체는 공백으로서의 존재로부터 ‘사건’ 이후 개입과 충실성의 연산을 통해 진리를 노출하는 주체로 전향한다. 보편적 혹은 유적인 진리를 주체가 처한 국소적 상황 속에서 충실성의 탐문 절차를 통해 논구해 나가는 투사적 학인(a militant savant)이 주체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체는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사건(들) 사이를 개입과 충실성의 연산으로 매개하는 사라지는 항이다. 대화(dialogue)란 선언과 사라짐의 반복적 운동 아닐까? 모든 대화는 욕망의 독백(mono-logue of desire)임을 기억할 때, 타자를 향한 소통의 몸짓은 결국 내가 믿는 진리 사건의 믿음을 일관성 있게 논구하고, 그리고 다음 주체 계기들에게 그의 승계를 위한 선택과 결단을 맡기는 행위 아닐까? 적어도 진리의 종교들 사이의 대화는 이 사건의 불연속성을 매개로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라는 예감을 본고는 논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