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비교연구

        박인호,김수진,Park, Inho,Kim, Sujin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3

        Two-stage sampling allows us to estimate population characteristics by both unit and cluster level together. Given a complex auxiliary information,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would better reflect the level-wise characteristics as well as multivariate characteristics between levels. This paper explored the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methods by Estevao and Särndal (2006) and Kim (2019) through a simulation study, where the efficiency of those weighting methods was compared using an artificial population data. Two weighting methods among others are shown efficient: single step calibration at the unit level with stacked individualized auxiliary information and iterative integrated calibration at each level. Under both methods, cluster calibrated weights are defined as the average of the calibrated weights of the unit(s) within cluster. Both were very good in terms of the goodness-of-fit of estimating the population totals of mutual auxiliary information between clusters and units, and showed small relative bias and relative mean square root errors for estimating the population totals of survey variables that are not included in calibration adjustments. 이단추출은 개체와 집락 단수준별 모집단 특성을 함께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단위수준별 보조정보가 함께 주어질 때, 단위수준별 정보 및 가중치 구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칼리브레이션 가중치를 산출한다면 단위수준별 특성은 물론 수준간의 다변량적 특성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Estevao와 Särndal (2006)과 Kim (2019)이 고려한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복합보조정보를 개체화한 후 단일단계의 칼리브리이션 조정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치 평균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과 단위수준별 보조정보를 이용한 수준별 칼리브레이션 조정을 상호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도치 평균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조정전 가중치의 변동량을 크게 늘리지 않고도 수준간 다변량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락과 개체의 상호간 보조정보에 대한 총합추정의 적합도 측면에서 매우 양호하였고, 칼리브레이션 조정에 포함되지 않는 조사특성들의 총합추정에 대한 상대편향 및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 SCIEKCI등재

        소의 뇌에서 Neurosteroid Acyltransferase의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인호,조성준,조도현 ( In Ho Park,Sung Jun Jo,Do Hyun J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0 No.2

        The enzymatic properties as well as its distribution in the cerebral region and subcellular organells were investigated for the neurosteroid acyltransferase from the bovine brain, which synthesize the fatty acid esters of the neurosteroids. The cerebellum region was the highest in NSAT activity while the cerebrum was the lowest with 50% of the cerebellar activity. The NSAT was found to be mainly localized in the microsomal fractio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were 40℃ and 4.9, respectively. When ³H-DHEA was utilized as substrate, the K_m and V_(max) was 32.6 μM and 4.86 nmole/㎎ protein/h,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pregnenolone(△^5P) was a competitive inhibitor with K₁=22.8 μM and testosterone was a uncompetitive inhibitor with K₁=28.2 μM. This may suggest that the NSAT has a different conformation in the acylation of the β-hydroxyl group at C-3 and C-17.

      • 미래의 대화

        박인호,Park, In-Ho 한국건강관리협회 1974 건강소식 Vol.2 No.11

        이 단편 소설은「헨리ㆍ스틸」저「인간, 앞으로의 30년간」에서 초역한 것. 무태는 21세기에 진입하기 직전 그러니까 30년 후의 어느 날 어떤 병원 진료실에서 있을 의사와 환요의 대화를 가상적으로 쓴 것. 그러나 이 미래의 대화는 매우 과학적 분석에서 이루어진 것임.

      • 암처리한 인삼엽의 Greening 과정에서의 Chlorophyll-protein Complex 형성에 대한 연구

        박인호,홍영남,권영명,이순희,조영동,Park, In-Ho,Hong, Young-Nam,Kwon, Young-Myung,Lee, Soon-Hee,Cho, Yong-Dong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2 한국생화학회지 Vol.15 No.1

        암처리(暗處理)한 인삼엽(人蔘葉)을 greening시키는 과정에서(광도 ; 2,000 lux연속광 ; 온도 $25^{\circ}C$;상대습도, 66%) 형성되는 chlorophyll-protein complex의 전기영동 패턴, 각(各) complex의 엽록소조성 및 흡수스펙트럼 양상을 조사하였다. 광하(光下)에서 자란 인삼엽(人蔘葉)의 thylakoid membrane을 5% SDS-PAGE로 분리하였을 때 6개의 chlorophyll-containing band를 볼 수 있었다(CP1a, CP1, LHCP1, LHCP2, LHCP3 complex, free pigment zone). Chlorophyll a-rich CP1 complex와 chlorophyll a/b-rich LHCP complex는 676nm와 670nm에서 각각 흡수극대를 나타냈으며, chl. a/b-rich LHCP complex는 652nm에서 minor한 peak를 나타내었다. 암처리 인삼의 greening과정에서 CP1 LHCP complex는 12시간의 광(光)처리후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으며, CP1 complex의 chl. a/b ratio와 각 complex의 chlorophyll함량은 greening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광(光)에 의해 유도되는 CP complex분자의 생합성 및 기능적으로 활성을 갖는 PSI과 PSII의 형성이 광(光)처리 12시간내에 나타난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formation and chlorophyll composi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were investigated in the etiolated ginseng leaves during greening under continuous white light(2000 lux, $25^{\circ}C$, 66% relative humidity). Six chlorophyll-containing bands (CP1a, CP1, LHCP1, LHCP2, LHCP3, free pigment zone) were separated by SDSPAGE from ginseng leaves(grown under light). Chlorophyll a-rich CP1 complex and chlorophyll a/b-rich LHCP complexes reveal their maximum absorption peaks at 676nm and 670nm, respectively. And chlorophyll a/b-rich LHCP complexes have another minor peak at 652nm. CPI and LHCP complexes have already formed in the etiolated ginseng leaves after 12 hr light treatment. And chlorophyll a/b ratio of CP1 complex and the percentages of chlorophyll contents of each complexes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gree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ght-induced biosynthesis of CP complex molecules and the formation of functional PSI and PS II could occur within 12 hr of illumination in the etiolated ginseng leaves during greening.

      • KCI등재

        가구조사를 위한 이단추출 표본설계에서의 집락선택

        박인호,Park, In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2

        우리나라 가구조사는 흔히 통계청의 조사구를 집락으로 사용한 이단추출의 자체가중 표본설계의 형태로 진행된다. 집락구조는 모집단내 개체변동성을 집락간과 집락내 분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이와 연관된 표본집락수와 집락내 표본수의 결정은 표본추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조사구의 규모, 노후화, 가구명부 접근불가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집계구와 같은 대안적 집락선택이 고려되기도 한다. 또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부터는 전통적 가구방문조사 방식에서 행정자료를 이용한 등록센서스 형태로 바뀜에 따라 기존 조사구의 형태나 규모의 변경되어 구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락추출을 반영한 설계효과식을 통해 계통적 혹은 내포적 구성을 갖는 집락들의 선택이 주는 분산식 차이를 유도하고, 주어진 표본크기에서 동일한 분산을 갖는 집락구조별 표본할당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 매릴랜드주 앤어룬델 카운티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조사구와 집계구와 다소 유사한 사례연구를 포함하였다. 조사변수별로 집락통합이 주는 동일성 계수의 변화는 같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집락구조에 따른 표본할당이 집락표본수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wo-stage sample designs are commonly used for household surveys in Korea using as clusters the enumeration districts (EDs). Since clustering decomposes the population variation into within- and between-cluster variations, the sample sizes allocated in stages can affect the overall precision. Alternative clusters are often considered due to diverse reasons such as the EDs' limitation in size, being out-of-date, and in-assessibility to their household lists. In addition, the EDs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by the Statistics Korea as an joint effort toward their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practice to the register census from 2015. We present an approach for evaluating the difference in the precision of the mean estimators of the sets of the cluster units in between a hierachical and nested form, where the design effect is used to reflect the effect of the clustering and the sample allocation. We also demonstrate our approach using the U.S. Census counts from the year 2000 for Anne Arundel County in Maryland. Our research shows that the within-cluster variance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urvey variables and thus the choice of cluster units and the associated sample allocation scheme should reflect the corresponding variance decomposition due to clustering.

      • KCI등재

        설계효과모형을 통한 설계요소의 유용성 이해

        박인호,Park, Inho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6

        조사자료분석에 있어서 표본추정량에 대해 설계요소가 갖는 효율성은 단순확률추출과 비교한 복잡표본설계의 의한 표본추출이 주는 분산의 상대적 크기인 설계효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설계효과의 유용성은 복잡설계요소의 함수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때 극대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층화다단추출의 표본설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설계효과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설계효과모형은 기존 다단추출을 위한 Gabler 등 (1999, 2006)의 모형을 일반화한 것으로 층구조, 표본할당, 집락추출 및 불균등가중치 등의 설계요소들이 정도수준에 갖는 영향력을 함수식으로 명확히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활용하면 사전에 기술된 추정정도를 얻기 위해 설정한 표본크기가 줄 수 있는 설계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후적으로 표본설계의 개별 설계요소들이 표본추정량에 대해 갖는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Survey research, data is commonly collected through a sample design with complex design features that allow the relative efficiency on the precision of an estimator to be measured using the concept of the design effect compared to simple random sampling as a reference design. This concept is most useful when the design effect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various design features. We propose a design effect formula suitable under a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 by generalizing Gabler et al. (1999, 2006)'s approaches for multistage sampling. Its use can either guide improvement in the design efficiency when in design stage or enable the evaluation of the adopted design features after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