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2 시민교육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foe High School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o analyze validity, pertinency and learning capability in the connection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nts of ` XⅡ. Political Life and Nation` and divides into the external system, organizational system and content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for High School is that the external system and organizational system will improve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while studying with this authorized textbook. Though the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has more positive things than the preceding textbook,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are still inadequate for validity, pertinency and learning capability because it shows a few problems. Therefore validity, pertinency and learning capability of contents have to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external system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uthorized textbooks.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ness in choosing authorized textbooks, help produce qualified textbooks, and will suggest a possibilit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5 교육인류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고등학교『사회』수업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과서 활용 방식은 수업 조직 단계에 따른 주요 상호작용과 이에 따른 교과서의 기능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의 한 사회과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는 수업에의 참여 관찰과 반구 조화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활용은 수업 조직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기능을 하며 효율적인 수업 전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관찰된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 행동은 학습가능성을 고려하는 ``인식적 조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식적 조정과정은 수업의 일상적 목표, 수업의 환경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교사 자신의 관점이 함께 조율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인식적 조정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을 교사의 ``일상 실천적 지식``이라고 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 활용을 통한 일상적 최적화 수업 행동을 보다 정련화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인식적 조정 과정``과 ``일상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사회과교육 연구에 있어서, 다른 교과와는 차별화되는 교수(teaching)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수에 대한 기본적 지식의 요소와 전문적인 기준을 개발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studies teachers utilize the textbooks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study the purpose,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social studies teacher in a local high school.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mainly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naturalistic methods. The concluding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bserved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can be explained partly by the hypothesis of instructional optimization, called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means a pedagogical adjustment, based on the criterion of "possibility of learning," that the teacher make in considering lesson target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his subject matter viewpoint. This study maintains that such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results in the teacher` "practical knowledge in everyday life". A result of this study refined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 in teaching activity through utility of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lay among the textbook material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 understanding teaching and the desirable of teacher knowledge.

      • KCI등재

        일반논문 : 사회과 예비교사의 리더쉽 향상을 위한 "Action Learning"적용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교육의 일환으로, 사회과 교사의 자질 중에 하나인 리더쉽을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법 및 교수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과 교사로서 필요한 리더쉽의 관점 및 유형으로 슈퍼리더와 민주형 리더쉽을 탐색하고, 필요한 리더쉽 기능으로 의사소통 기능, 의사결정 기능, 인간관계 기능, 문제해결 기능, 자기개발 기능, 집단활동 기능, 기획기능의 7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리더쉽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교수법 및 교수 전략으로서 ‘Action Learning’을 선정하여, 실제 담당 강의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 및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이에 사회교육과 3학년 16명을 대상으로 2010년 2학기 ‘미래사회와 시민교육’ 강좌를 통해 ‘Action Learning’을 실시하였다. 수업전략은 첫째, 사회과교육 관련 분야의 비구조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활동과 둘째, 교수의 역할은 축소하고, 학생들의 역할은 확대하며, 셋째, 자기주도 학습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넷째, 조별 활동을 통한 협동학습 환경을 강조하며, 다섯째, 평가에 있어서도 학습자중심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수업 절차는 자기 소개 → 팀별 조 편성→ 기본 지식 습득→학습 과제 및 문제 구성→ 팀별 프로젝트 수행→ 학습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효과 분석은 수업관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Action Learning’의 전과 후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통계분석 결과, 리더쉽 7개 중 5개의 기능이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의사결정기능이 가장 효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관찰 분석결과, 학생들의 명확하고 자신감 있는 발표, 능동적인 학습 태도, 적극적인 수업참여, 다양한 질문 등의 활동을 통해 이전 수업에 비해 의사소통 기능, 의사결정 기능, 문제해결 기능, 집단활동 기능 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리더쉽 교육에 있어서 ‘Action Learning’의 효과 가능성을 나타내며, 이를 기초로 앞으로 사회과 교사의 리더쉽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 및교수 전략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to effectively improve leadership, which is one of the qualities requi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s part of trainee social studies teachers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super leader and democratic leader models were studied as leadership requi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for required skills, seven factors - communication, decision-making, relationship, problem-solving, self-development, group activity, and planning skills - were suggested. Also, as a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to improve such leadership, Action Learning was selected to apply to actual lecture and estimate the effect and possibility for application. With 16 third year students in college, Action Learning was executed through ``Future Society and Civil Education``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0. The strategies were: first,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 second, to reduce the role of professor and increase that of students; third, self-directed learning was encouraged; fourth, to focus o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fifth, learner-centered approach was most important in evaluation. This teaching procedure began from self-introduction, followed by group organization, basic knowledge learning, study assignment and problems, team project, and learning evaluation,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survey on before and after Action Learning. The analysis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95 percent of reliability in 5 leadership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 had the highest effect. Also, after analyzing classroom observation, clear and confident presentation, active learning attitude, positive participation, and various questions improved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and group activity skills. The results show that Action Learning can be effective in leadership education for trainee social studies teachers and I expect there will be systematic study on teaching method and strategies based on it.

      • KCI등재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조사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사회과 예비 교사교육의 일환으로써 시행되고 있는 교육실습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원도 K대학의 사회과(지리, 역사, 일반사회) 교육실습생 56명을 대상으로 실습 이전과 이후 2번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습 전후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한글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표집 대상별 교차분석(χ²)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습생들은 교사로서의 능력 함양을 위한 좋은 기회였다는 인식과 더불어 짧은 실습기간, 형식적인 교육실습록 작성, 실습학교의 비체계적인 운영, 교과지도의 어려움 등의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에 보다 체계적인 교육실습을 위해 첫째, 성공적인 사회과 교육실습을 위해 사범대학과 실습학교는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둘째, 현행 교육실습의 실습기간, 이수 학점, 학교 배정 등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셋째, 전공과 교과내용 등의 사회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학년 및 지도 교사를 배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전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넷째, 보다 교육실습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습학교와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은 물론 보상체계 마련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actic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make an investigation into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the researcher conduct a survey to ask 56 secondary Social Studies student teachers about the operation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Practice student teaching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hi-square tests and T-tests.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drawn; First,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trained for the Practice student teaching, especially for preparing Social Studies subject teaching guidance. Second, Schools and guidance teachers need to give thorough consideration in order to accomodate student teachers and to make appropriate preparation for successful practicum. Third, Universities and schools need to develop a system in order to assign suitable major and proper numbers of student teachers to each school. Fourth, Universities need to study to provide programs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 teachers to be assign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Fifth, There should be periodic cooperative efforts to be made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 before or after the practicum and certain guidelines or standards for schools to follow. Six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develop a system to provide prope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nd incentives for schools and teachers.

      • KCI등재후보

        강원도 다문화가정의 미취학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 조사

        박인옥(Park In-Oc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방문교육사업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미취학자녀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지원 실태를 조사 한 것이다. 강원도의 도시와 농촌 4개 지역을 사례로 그 실태를 조사한 결과, 먼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정 미취학자녀의 교육지원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매우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또한 운영기관에 따른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전시적이거나 일회성 프로그램이 많고, 육아정보 나눔터 운영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부실 운영으로 나타났다. 다음 방문교육사첩의 아동양육지원 서비스는 전문성 약화로 아동양육지원서비스 중단 가정이 증가하고 불만족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적과 평가 위주의 관리 시스템과 실효성 낮은 보수교육 그리고 지도사들의 불안정한 고용 등의 문제가 나타났으며,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서비스 내용의 방대한 범위, 서비스 기간과 교육 시간의 문제, 다문화가정 접근성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1세대에 편중된 지원사업 정책을 2세대를 위한 교육지원 사업으로 일부 전환하고 지역별, 대상자별로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마련,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인지적 · 정의적 발달을 고려하여 지속적이고 연계적인 교육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미취학자녀들의 한국어교육과 이에 대한 검사 및 교정교육, 놀이방 및 육아정보나눔터의 내실있는 운영,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방문교육 사업에 대한 지원 시스템 방식의 변화즉, 전문성 강화를 담보로 하는 운영방식, 명확한 지침 및 교재의 개발, 지역특성 및 대상자 요구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결장 · 운영할 수 있는 자율권 부여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러 정부기관 및 단체에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1세대를 위한 지원은 과다한 반면, 그들의 자녀 특히 미취학아동에 대한 교육지원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유아기가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사회성과 정체성 등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서 이들에게 적절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이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al assistance provided to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ckground,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and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of the education project through visitation in Gangwon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performed field work and case study. Using four regions in Gangwon Province as sample, the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al assistance projec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following are result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assistance provided by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to preschool children coming trom a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was determined to be severly lacking in a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respect. Secondly, there appeared to be a wide range of differences in operating projects and programs depending on the operating organization, which is not based on beneficiary demand but on the center's convenience. Thirdly, there appeared to be a great number of programs that merely provided normal or superficial educational assistance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operated by each center. Moreover,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show that the importance of beneficiary families declined, whereas the number of families who did not have access to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increased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officers-in-charge of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 Secondly, an analysis of the operating system shows that there was a lack in expertise in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management systems centering on performances and evaluation, compensation education with low effectiveness and job insecurity of officers-in- charge. Thirdly, an analysis of the service assistance system shows that child-nurturing assistance services seem to have problems arising from having too broad a range of services, issues associated with the period of the service offered and education duration and access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response to such issue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ly, to improve the educational assistance policy, assistance policies for child nurturing assistance service must be enhanced. Secondly, such assistance policies should be offered in careful consideration of Gangwon Province's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as well 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beneficiaries. Thirdly, projec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 and education project through visitation require an introduc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decision-making proces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ppropriateness of planning and completeness degree of implementation. The assistance system must also be modified operation-wise to guarantee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of visiting officers-in-charge. Fourthly, in the study, an introduction of a monitoring system was proposed due to the need for consistent management such as monitoring and consulting on the operation of the center during normal times. The proposed measures require universal implementation, which means that isolated improvement, efforts by a single organization or a region cannot address the issues associated with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thus leading to the policy improvement accompanying the efforts made by the center.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의 강원교육인증제 운영실태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003년 3월부터 강원도교육청은 전인교육 실현과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 유?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인증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강원도내의 일선 학교에서는 지역과 학교 특성에 맞게 이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인증제가 실제 일선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4개의 초등학교를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방문 조사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수?선택인증제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시킬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실제적으로는 선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학교에서 4개 영역 이상의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인증 활동과 관련된 시간은 아침 등교 후 수업 전까지의 시간과 재량이나 특별활동 시간밖에 없으나, 현실적으로 재량이나 특별활동 시간에는 성교육, 교통안전교육 등과 같은 행사로 대부분 채워져 있어 실질적으로 인증 활동과 관련된 시간은 짜투리 시간이나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사례 학교 대부분이 필수인증제(독서, 영어, 정보) 위주로만 공통 시행하고 있어서, 운영계획에서의 지역 특성과 학교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시도교육청의 최소한의 운영방침에 맞추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셋째, 현재 일부 학교에서는 인증장을 수여하는 선에서 끝나거나 인증 등급을 기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학생들은 인증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교사들도 아무런 제재나 보상이 따르지 않기에 잡무 정도로 취급하고 있다. 이상의 운영 실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방과 후 인증활동의 확대 실시, 교육청 차원에서의 외부강사 지원, 인증 단계에 따른 공식적 공인과정과 포상제도의 마련, 인증제와 관련된 교육청 차원의 평가체제 구축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강원교육인증제가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운영 취지와 필요성에 대한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으로 자발적인 운영과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is promoting an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targeting preschool,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r realization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and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is managed in the actual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and find more effective measures for management. 4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were selected as example targets and visiting inquiry and face-to-face inquiry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November of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actually operated selectively because there is no time to teach contents related to mandatory and selective certif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most of schools are carrying out a certification system of more than 3 fields, only leftover times are used for certification activities as occasions such as sex education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are filled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when only time for certification related activities are limited to time before the class starts or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 Second, as most of example schools are operating the mandatory certification system (reading, English, information), regional characteristic and state of school in operation plan are not reflected, and it is only trying to adjust to the minimum operation policy of education office of city and province. Third, students are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certification activities as some schools are only giving out a certification pater or recording a certification rating. And even teachers consider it as miscellaneous work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s or reward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xpansion of after school certification activities, support the outside teachers at the level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prepare an official process and a reward system, and establish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most of all, voluntary ope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must be done by forming bond of sympathy on purpose of operation and its necessity in order for Gangwon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to settle and achieve effects.

      • KCI등재

        강원도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 및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박인옥(Park, In-Oc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시범운영 이후 법제화를 통해 처음 실시된 ‘수석교사제’에 관한 연구로, 강원도 지역의 수석교사제 운영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앞으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에 강원도 내 43명의 수석교사와 43개 학교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총 400개의 설문지가 학교에 배포되었으나, 회수된 설문지는 총 318개로, 318개의 설문지를 기초로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 검증,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의견과 어느 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대해 정적 성과(76.7%)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둘째, 많은 교사들이 수석교사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나, 여전히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었으며, 셋째, 법제화 이후에도 수석교사의 역할이 모호하기 때문에 역할 수행을 위해 명확한 역할 설정과 직무상의 우대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비록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되었다 할지라도 법제화된 수석교사제의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풍토 조성’과 ‘전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라는 교육적 역할은 아직까지는 미약한 것으로, 그 역할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발전 방안으로 학교 관리자 및 동료 교사와의 마찰을 막고 수석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수석교사의 명확한 직위와 역할을 설정해 줄 것과 객관적인 선발 기준과 투명한 선발 절차에 의해 수석교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할 것 그리고 교원들과 수석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의 중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a study on "Master Teacher System" that is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legislation in 20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roles of Master Teacher System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based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operating Master Teacher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 in Gangwon-do region.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43 master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f 43 schools within Gangwon-do, which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40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he school for teachers, 318 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cross-tab,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eachers show a positive opinion on outcome of the Master-teacher system.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but had a poo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hird, teachers recognized an unclear role of master teacher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et a clear role and give priority to treatment of master teacher in order to operate the Master Teacher System. Though Master Teacher System was legislated, the educational roles which are "building a climate in which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as showing the limits of the roles. Thus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measures including setting up clear position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securing qualitative level of master teachers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ster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연구

        박인옥(Park In-oc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본 연구는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수업 포트폴리오의 활용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강원도 춘천시의 B초등학교 L교사의 6학년‘사회’수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2006년 2학기-2007년도 2학기 동안 1학기당 대단원 10-15차시 분량을 관찰하고, 교사와의 면담은 필요에 따라 실시하였다. 교사의 수업실행능력에 초점을 두어 수업조직, 수업수행 및 전략 그리고 학습 분위기 및 환경 조성의 세 가지 영역과 관련하여 수업 분석 요소를 총 38개 항목으로 개발하여 2006년 수업을 분석한 결과, 1차시 내의 모둠활동, 다양한 활동 그리고 학습 자료 수의 과다로 인해 수업시간 부족과 개별학생의 이해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수-학습에 대한 자신의 철학과 관점, 수업계획서, 계획점검표, 수업자료와 목록, 학생들의 수업행동과 수업전략을 수시로 기입한 수업노트, 자신의 수업분석 자료, 학생과의 면담 자료 그리고 교수 경험에 대한 반성 등으로 구성된 수업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였다. 활용 후, L교사의 수업은 모둠학습과 발표활동을 하되, 단어말하기, 빙고게임, 퀴즈 등 비학문적인 수업활동이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며, 학습과제에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과제지향적 수업활동 위주로 활동 수를 줄이고 학생들의 활동상황과 반응을 수시로 점검하여 기록하는 등 보다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수업을 조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 포트폴리오가 초등 교사에게 사회과 교수 능력과 관련된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또한 비판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매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것으로 앞으로 수업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수업 포트폴리오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to find theoretically a practical use of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ability of a social studies class. So the researcher goes to see deeply the changing process how the teaching ability will be improved in actual lessons through the process that a teacher utilize teaching portfolio. For this research problem, a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a teacher selected elementary schools and the releva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ivided largely into document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in this research. Thi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done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06 to the second semester of 2007, and the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often conducted whenever need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as the analysis for the lessons during 2006 of the practical research teachers, the problems such as a lack of lesson time and an inefficient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udent were caused by the group activities, the various activities and the oversupply of studying materials in the lessons carried out by L teacher of B elementary school. Second, L teacher showed some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lessons with respect to the lesson formation and lesson strategy after the social studies teachers had utilized the teaching portfolio. In particular, L teacher formed the lesson in systematically organized level, minimized unacademic activities or interactions such as word-speaking, bingo game and quiz in group study and presentation activity, usually took the studyoriented activities closely connected with coursework reducing the activities, and often checked and noted down students’ actions and reactions in the progressing of lesson. In conclusion, teaching portfolio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her teaching abilities to a social studies class, and performed a role as a vehicle to promote a critical rationality. That is, the promotion of reflectional thoughts with utilizing the teaching portfolio increases the critical rationality as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 considerably affect its behavior, operating in the inside of lesson behavior.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professional lessons as well as a method to evaluate teacher’s efficiency.

      • KCI등재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3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to find theoretically a practical use of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ability of a social studies teacher. So the researcher goes to see deeply the changing process how the teaching ability will be improved in actual lessons through the process that a social studies teacher utilize teaching portfolio. For this research problem, a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a social studies teacher selected middle schools and the releva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ivided largely into document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done according to this research method, and this researcher had observed and recorded on video tape the portions for 10~15 chapters per semester of C teacher`s social studies lessons for second graders of S middle school located in Guri city, KyungKiDo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06 to the first semester of 2008, and the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often conducted whenever need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focusing on the lesson accomplishment ability of C teacher, the factors and standards for lesson assessment and lesson analysis were itemized in total 38 with respect to the three parts of lesson formation, performance and strategy of lesson, promoting of studying atmosphere and environment, and they were utilized as the standards for analysis of social studies lesson after that. Second, as the analysis for the lessons during 2006 of C teacher, the problems such as an inefficient understanding for students, a lack of lesson efficiency and an excessive stress of examination were caused by the standardized and teacher-oriented lesson performance and the irregular lesson formation in the lessons carried out by C teacher of S middle school. Third, the four elements of social studies teaching portfolio developed to complement thess problems from the lessons were education objective, teaching, assessment and reflection, and he has consisted of personal philosophy and view on teaching-studying, teaching plan, checking list, lesson materials and their list, lesson note noting down often student`s action in lesson and lesson strategy, personal lesson analysis data, data of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reflection on teaching experience etc. and utilized in lessons hereafter. Forth, C teacher showed some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 lesson with respect to the lesson formation and lesson strategy after C teacher had utilized the teaching portfolio. C teacher reduced the standardized and teacher-oriented lesson performance, and increas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n the lesson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made an endeavor to structuralize the teaching-studying activity with checking the teaching plan and the checking list often. Besides, some positive changes were gradually showed in the question raising and the studying atmosphere. In conclusion, teaching portfolio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his teaching abilities to a social studies teacher, and performed a role as a vehicle to promote a critical rationality. That is, the promotion of reflectional thoughts with utilizing the teaching portfolio increases the critical rationality as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 considerably affect its behavior, operating in the inside of lesson behavior.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eaching portfolio as a plan to develop professional lessons as well as a method to evaluate teacher`s efficie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