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조준 목회 사역의 한국 교회사적 의미

        박응규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4 ACTS 신학저널 Vol.59 No.-

        한국교회사 속에서 교회성장과 발전의 전성기는 1970-80년대라 할수 있다. 이 기간에 국내외적으로 널리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영락교회의 담임목사로서, 박조준은 설교와 목회, 그리고 다양한 사역을 통하여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러나 그 시대 속에서 목회자로서걸어가야 할 길을 외면하지 않았고, 외쳐야 할 소리를 가감 없이 외쳤다. 이러한 자세로 개인적인 시련과 고난의 길을 통과해야 했지만, 한국 교회와 목회자가 지향해야 할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하게 보여주었고 함께 그길을 걷고자 노력했던 목회자들의 지도자였다. 그의 목회 사역 기간 동안경험했던 사건과 사역들은 고스란히 그 시대의 한국교회사 내용으로 채워졌으며, 아직도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다. 박조준 목사의 목회 사역이한국교회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복음전도의 우선성과 사회적 봉사를 통한 빛과 소금의 역할 감당, 복음적이고 예언자적 설교를 통한 영향력 확산의 모델 제시, 교회개혁과 교권적 장로교 제도 혁신을 통한 새로운 교회연합운동 전개, 그리고 목회자 및 설교자 교육과 갱신을 위한 헌신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The 1970s and the 1980s are often heralded as the heyday of church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mong numerous Korean pastors, Rev. Cho Choon Park played the most pivotal role through sermons, pastoral care, and various ministries, as the senior pastor of Young Nak Presbyterian Church during this period: demonstrating both local and pervasive influences. However, he did not disregard the path he had to go as a pastor in that era, and expressed unequivocally or powerfully without any hesitation or compromise what he had to say. He clearly showed what kind of goals that both the Korean church and pastors should aim for, and was even a leader of pastors who tried to walk that path together even though he had to go through personal sufferings and trials with such forward-thinking or feeling. The occurrences as well as ministries he experienced in his pastoral ministry were completely loaded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Korean churches in those days, which can be considered that they still are ongoing. The significance points of Rev. Park’s pastoral ministry in the continuous, systematic narrative of past events of Korean church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ole of light and salt through the priority of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the represented idea or plan of spreading influences through evangelical and prophetic sermons, the development of a new church unity movement through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es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and a commitment to education as well as renewal of pastors and preachers.

      • KCI등재

        시멘틱 웹 기술을 이용한 개념도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응규,Park, Ung-K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6

        Over recent decades, concept mapping has been used as a valuable Learning and Teaching tool.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a positive impact on student learning. One of the disadvantages of this technique has been that assessing them or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is time consuming. We aim here to introduce ways of reducing the complexity of using concept map techniques in online activities. Several types of scoring methods for the concept map based assessment have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assessment system that implements those techniques. We contribute a design that uses semantic web technologies for both the management and the scoring of the concept map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교회와 국가관계를 중심으로 본 3·1운동과 한국교회

        박응규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3 No.1

        한국교회가 초기부터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들 중의 하나는 강한 민족에 대한 관심과 독립적인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가 형성될 당시, 한국은 비(非)기독교 국가이자 비(非)서구 기독교 국가인 일본제국에 의하여 약 반세기 동안 식민통치를 받았다.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아시아의 다른 여러 나라에서처럼 반(反)민족주의자들로 오인 받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교회야말로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헌신하는 동반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특수한 역사적 상황이 보수적인 신앙을 지닌 한국교회로 하여금 일제강점기 동안 민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일제의 통치기간에 한국교회는 정치적 독립뿐만 아니라, 독립정신을 한국인들 사이에 널리 확산시키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교회는 민족운동을 주도해 갈 수 있는 지도자들을 양성했고,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국교회는 네비우스 선교방법을 채택함으로 자립정신을 고양시킴으로 한국인의 민족주의 사상을 배양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네비우스 선교원칙들을 통하여, 한국 기독교인들은 자긍심과 함께 자존심이 무엇인지 터득하게 되었고, 이것은 일제의 통치에 의한 굴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독립정신으로 이어졌다. 이 기간에 한국교회에게 매우 중요한 또 하나의 중요한 사안은 교회와 국가의 문제였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사역하고 있었던 미국 선교사들은 정치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중립이라는 전통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한국인들에 대한 비(非)인륜적인 처사에 대해서는 강력한 비판적 자세를 견지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은 105인사건과 1919년의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제로부터 나라를 독립시키기 위하여 가장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의 입장도 그랬거니와 보수적인 신학의 영향으로 교회와 국가의 분리개념을 견지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교회와 국가의 분리개념이 반드시 정치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관심에 무관심을 드러낸다고 동일시 할 수는 없다.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일제도 정교분리를 주장하면서, 종교적인 영역에도 많은 정치적 이슈들을 강요하는 모순을 자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라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한국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일제의 만행에 대하여 저항하는 중요한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일제 강점기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강력한 민족에 대한 관심을 지니면서 적절한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한국의 독립운동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One of main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was its strong nationalistic and independent spirit. It was non-Christian Japan and not the Christian West that colonized and ruled Korea almost for half a century, when the Korean church was being formed and established. Christians have never been suspected as being anti-national in Korea, as in many other Asian nations, because the church was an ally of every movement that f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This peculiar historical situation encouraged the conservative forces in the church to positively involve themselves in the nationalistic movement in Korea throughout the period of Japanese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chur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truggle for political liberation and in the spread of independent spirit among Koreans. The church provided the necessary leadership of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many Christians had to suffer persecution. And also, the spirit of self-support among the people, because of the Nevius mission method, fostered Korean nationalism. Through the Nevius mission principles, the Korean Christians learned self-confidence and gained a new sense of self-respect and independence of spirit which were so vital to their survival under the humiliation of foreign domin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the Korean church was the issue of church and stat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enerally speaking, American missionaries followed the traditional policy of neutrality in political affairs. However, the inhumane treatment of Koreans by the Japanese caused a strong protest among missionaries. From the early stage, the Korean church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due to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Through the Conspiracy Case in 1910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members of Korean churches were active in securing their country’s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churches tried to maintain the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due to the influence of conservative Christian faith of missionaries and church leaders. However, stressing the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needs not to be equated with the indifference to political and social concerns. As we know,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tressed the separ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and was contradicted by imposing their political agenda upon religious area, while emphasizing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is situation, Korean Christians had a crucial justification to resi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appealing to the same principle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a strong national concern, Korean churches did a great role in independence movement by applying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어린이 세례자의 성찬참여에 대한 역사·신학적 고찰과 제언

        박응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e sacrament of the Lord’s Supper is a means of grace, which Christ is pleased to use by His Spirit to nourish the faith of believers and to strengthen their fellowship with Him and those who are members of His body, the church. In recent years, more concerns and controversies have been developed regarding the proper recipients of this sacrament. In a number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proponents of the admission of believing children who have been baptized to the sacrament have aggressively argued for a change in the practice of the churches. According to these proponents of what is known as “children communion,” the inclusion of such children in the covenant grace requires that they be admitted to the Lord’s Table. Failure to admit such children, constitutes a serious inconsistency in the covenant theology that undergirds the practice of the baptism of the children of being baptized and of believing parents. By having communion, baptized children would be blessed by spiritual benefits from being united with Christ and with the body of Christ 성찬이라는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말미암아 신자들의 믿음을 장려하고 그리스도와 신자들과의 교제뿐만 아니라, 그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인 신자들끼리의 교제도 강화하기를 기뻐하시는 은혜의 방편이라 할 수 있다. 누가 성례에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들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고, 최근 들어서 성례 참여자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었다. 다수의 한국 장로교단들에서 어린이 세례자들의 성찬 참여를 지지하는 자들은 교회 안에서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어린이 성찬”으로 알려진 제도를 지지하는 자들에 의하면, 어린이 세례자들은 언약의 은혜 속에서 포함되어 있으므로 성찬을 허락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한 어린이들에게 성찬을 허락하지 않는 것은 어린이 세례를 받거나, 믿는 부모의 자녀로서 세례를 받은 어린이들이 하나님의 언약백성임을 인정하지 않은 심각한 모순이 발생하고 만다. 성찬을 통해서 어린이 세례자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하며 그의 몸이신 교회와의 하나 됨을 통한 귀한 영적인 유익들로 복을 누리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구원론을 중심으로 본 미국 북장로교 내의 근본주의 對 현대주의 논쟁 연구

        박응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00 ACTS 神學과 宣敎 Vol.4 No.-

        우리는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토대로 몇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논쟁의 결과로 야기된 미 장로교단의 분열, 새로운 신학교와 선교부의 설립 등을 메이천을 비롯한 근본주의 신학에 동조한 자들로 인한 부산물이라고 간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 이런 결과를 원치 않으면서도, 그들이 주장했던 내용들이 과연 교회의 분열이라는 결과로 인하여 부정시 되고 그 반대편에 있었던 자들은 정당화 되는 논리보다는 논쟁이 진행되었던 동기와 의도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논쟁의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면 미 북방장로교 안에서 진행되었던 논쟁의 주된 핵심은, 지금까지의 연구가 그러했듯이, 교회론의 시각차 이에서 빚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기까지 논쟁을 집요하게 이끌어 나가는 메이첸의 의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면 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에 충실한 구원론적 관심이 그 뿌리에 놓여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즉, 메이첸의 주된 관심은 현대주의의 도전으로 인하여 교리적 토대가 없는 교회는 결국은 그리스도 없는 교회로 전락할 것을 우려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