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크론병 환자에서 강직성 하지마비로 발현한 아급성연합변성 1예

        박은경,이규선,김성희,양혜란,김지영,박기덕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1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3 No.1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SCD) is a spinal cord disorder involving posterior and lateral columns due to vitamin B12 deficiency. We report a case of 39-year-old male with known Crohn’s disease and subsequent ileocecectomy, who showed progressive spastic paraplegia. Neurologic examination revealed predominant feature of spastic paraplegia with scissor gait and bilateral hyperreflexia, associated with psychomotor slowing, poor vibration sense of both distal legs. Spinal MRI revealed high signal intensities in upper thoracic spinal cord, and tibial SEP revealed central conduction delays. VEP study showed bilateral prolonged P100 latencies. Serum vitamin B12 level was low (191.9 pg/mL). After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vitamin B12, his neurologic symptoms rapidly improved. His neurologic symptoms are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vitamin B12 deficiency due to previous ileocecectomy. Vitamine deficiency should be ruled out as a cause of neurolog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malabsortive condition even when the neurological manifestation is atypical.

      • KCI등재

        희한한 유령이야기.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로카르노의 거지노파」 연구

        박은경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유럽사회문화 Vol.- No.29

        This study examines Kleist's The Beggar Woman of Locarno as a peculiar ghost story written against the usual ghost stories of his time. The short text, which is difficult to classify as belonging to a specific genre, can be read as a fairy tale, as a novella and at the same time as a ghost story. If one compares the text with a fairy tale by Grimm, where a beggar woman also appears and dies miserably, one notices the stark difference between Kleist's text and the fairy tale. Kleist does not intend a teaching text that wants to lead people to compassionate, morally just behavior towards their fellow human beings in need. Despite the distanced, dry narrative attitude, the impressive effect of the text is even stronger. The small text also testifies to the extraordinary ability of the outstanding playwright. The tension comes mainly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the visible and the audible. The nocturnal apparition seems much more horrific and menacing because the characters cannot perceive what they hear as anything specific. The simple plot is not to be seen as a weakness, but rather as a strength of the text. The return of the eerie sound of an invisible being, repeated six times in a slightly altered form, is all the more terrifying. Here Kleist densely depicts the space where life and death intersect. The castle with its magnificent large rooms and the po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straw in the corner of the room are in clear contrast. For us modern readers, the novella has 'a sad topicality', because we are still living in different rooms, i. e. live in luxurious, in average, or in the poorest houses and rooms, sharp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ext is not only critical of the cold, violent social system, but also dissects the psyche of people in a dangerous, increasingly hopeless situation in life. What he gains from this is that he probably shows how limited and ridiculous the perspective of a person who always wants to rely only on what is visible and what can be explained can be. All this makes Kleist's mini text, which was new in every respect, still worth reading and mentioning. 이 글은 클라이스트의 「로카르노의 거지노파」가 펼쳐 보이는 다채로운 면면을 장르적, 극적, 공간적, 심리적, 인지적 관점에서 두루 살펴보며 폭넓게 포착하고 조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고정된 한 장르에 포함시키기 힘든 이 작은 텍스트는 그림 동화의 「거지 노파」와도 비교해볼 수 있고, 당대 유행했던 유령이야기에 대한 비판적 관점의 ‘거슬러 쓰기’로 볼 수도 있으며, ‘새로운 것’을 뜻하는 ‘노벨레’의 본래적 의미를 잘 충족시키고 있어 유령이야기, 메르헨, 노벨레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전혀 새로운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또한 분량이나 주제 면에서 「미하엘 콜하스」와 견주기 힘들지만 생동감 있는 극적 구성과 전개, 긴장을 늦출 수 없는 강렬한 문체로는 클라이스트의 대표작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사회구조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공간(성)의 운명을 밀도 있게 그려낸 「로카르노의 거지노파」는 호화로운 대저택에서 원룸, 옥탑방이나 쪽방에 이르기까지 그 격차가 어마어마한 주거형태 속에서 참담할 만큼 냉혹하게 구분된 채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사회의 독자에게도 ‘서글픈 현재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 소설은 잔인하고 폭력적인 사회구조를 형상화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후작의 심리를 중심으로 막다른 상황에 내몰린 인간의 심리를 예리하게 묘파하고, 눈에 보이는 것, 해명할 수 있는 것에만 의존하려는 인간의 시각이 얼마나 제한적이고 우스꽝스러운지 보여줌으로써 의외의 ‘현대성’을 획득하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 Zealand No-fault Automobile Insurance

        박은경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69 No.-

        Korea’s motor vehicle insurance in relation to personal injuries, insufficient compensation for victims, inappropriate compensation for insureds, and due to rising number of lawsuits by insurers regards to their compensation for damages, unnecessary social cost is disbursed. This is a limitation of tort law which is based on the negligence, and of Liability insurance on motor vehicle. Due to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nowadays transportations are traveling fast which benefits the drivers as they can save time, however, this causes accidents which brings serious injuries to victims. Accident can happen to every drivers, hereby, the current compensation scheme which is based on the negligence shell be changed to so called ‘No-fault’ system. This system helps victims who are injured from an accident to quickly receive treatment and undergo rehabilitation without finding who is at fault, so they can go back to the workforce as soon as possible. It can be a challenge for changing from a tort law based compensation scheme for physical injuries to a No-fault compensation scheme not only to victims but also to offenders as well. However, offenders shell also be seen as a member of our society. Thereby, any person who are injured from an accident can receive a treatment and undergo rehabilitation to be able to return and contribute to the society as soon as possible. New Zealand Government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o-fault compensation scheme which is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social community, have enacted Accident Compensation Act 1972 and up until today, it provides a compensations to people who are injured from a motor vehicle accident. The writer have been researching the No-fault system operated by New Zealand’s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in order to resolve and amend problems that Korea’s motor vehicle compensation scheme have. As a result, Korea’s motor vehicle compensation system can be simplified as New Zealand’s No-fault system, especially the limitation of the tort law system on the autonomous vehicles can be overcome. However, as compensations are given to injured people, victims’ right to sue against offenders shell be limited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cost arising out from the lawsuits.

      • KCI등재후보

        라이트모티프의 관점에서 고찰한 <사이코> 영화음악분석연구

        박은경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0 No.24

        영화는 영상과 음악이 상호작용하여 관객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한다. 영화 <사이코>는 처음부터 끝까지 관객들이 긴장감을 놓지 못하고 본다. 그 이유는 긴장감 넘치는 극의 구조와 히치콕 특유의 연출, 그리고 영상과 함께 하는 버나드 허먼의 음악이 있기 때문이다. 히치콕이 <사이코>를 흑백으로 찍기로 결정하자 버나드 허먼은 시각적 단일화에 맞추기 위하여 음악을 관악기나 타악기를 사용하지 않고 현악기로만 작곡하기로 하여 청각적 단일화를 시도할 정도로 영상과 음악의 조화를 생각하였다. <사이코>는 버나드 허먼이 불협화음, 반복적인 오스티나토 음형, 다운 보잉의 연주 기법, 음역의 극대화, 반음계적 진행, 복조성, sff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정서적인 불안감과 긴장감을 야기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법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된 큐들을 라이트모티프의 관점에서 분류하여 영화의 각 장면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음악으로 어떻게 잘 표현하였는지 고찰하였다. 허먼은 스릴러 영화의 공포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7화음과 9화음, 증음정이 들어가는 오스티나토 음형 등을 사용하였고, “프렐류드”에서 사용한 이 모티프들이 “도주”, “순찰차”, “폭풍우”, “수색(A)”에 지속적으로 나온다. 관음증을 나타내는 음악으로는 “도시”에 나왔던 아르페지오 같은 선율과 한숨쉬는 듯한 두음짜리 모티프가 “주차장”, “창문”, “응접실”, “옹이구멍”, “욕실”, “수색”, “1층”에 지속적으로 나온다. 정신이상을 나타내는 음악은 7도관계의 음정과 단2도 하행하는 음정으로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정신병원”에 나오는 7도-9도 관계의 “광기의 모티프”의 기반이 된다. “광기의 모티프”는 이후 정신이상과 관계있는 큐들, “늪”, “그림자”, “공중전화박스”, “현관”, “계단”, “피날레” 등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맥거핀인 돈다발과 관계가 있는 큐들인 “유혹”, “돈다발”, “호텔 룸”, “언덕”은 지속음으로 계속되는 반음계적 하행과 D-F-E-F의 16분음표짜리 오스티나토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노먼의 강박증과 관계가 있는 “사무실”, “커튼”, “침실”, “장남감”, “차”는 같은 음으로 반복되는 오스티나토 음형을 사용하여 정신이상적 강박증을 표현하고 있다. 살인과 관계되는 “살인”, “시체”, “칼”, “발견”은 한 음을 지속적으로 다운보잉으로 연주하면서 다른 성부에서 7도 관계로 한마디씩 뒤따라 부가되는 음악으로 이루어져 있어 불협화음의 긴장감, 최대한의 음역 사용 등으로 끔찍한 살인의 음향적 효과를 잘 살려내고 있다. <사이코>는 이렇게 영화의 스토리를 음악적 기법으로 잘 표현한 최고의 영화이며 현재까지도 서스펜스 영화의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 KCI등재

        E. M. 포스터의 「목신을 만난 이야기」 다시 읽기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목신의 정치학

        박은경 미래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 Vol.26 No.2

        This paper examines E. M. Forster’s earlier, rather obscure short story entitled “The Story of a Panic.”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igure of Pan as a hybrid subject, and to Eustace as the embodiment of Pan.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work, often in passing, in the vein of a shallow fantasy, or have treated it simply as an allegory that satirizes middle-class English snobbery or prioritizes Hellenic freedom over modern Christian civilization. However, instead of reading this story in the frame of a simple allegory founded upon binaries, I argue that there are multitudinous ironies to be found within the narrator’s class-saturated, gender-driven, and racially-biased narrative. We can read this story in terms of Donna Haraway’s cyborg feminism and its political method, disrupting normalized heterogeneity and adopting the logic of the monster and its accrued pollution of a homogeneous community. Forster’s figure of Pan shares the disturbing force of Haraway’s figures of the cyborg and the coyote that are disseminated in various images, such as tricksters, monsters, Centaurs, or hybrid subjects. Eustace, an incarnation of Pan, emerges as a trickster artist who transgresses the boundaries of the binary oppositional structure nurtured in male-dominated society, across the dangerous border of the animal and the human. The trickster Pan with its powerful monstrosity emerg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rimitive, heterogeneous, and protean atmosphere where homosexual desire finds freedom, though obscure, and a certain challenging force constructs situated knowledge. Eustace anticipates a Harawayan hybrid monster whose power lies in reconstructing a wandering, somatic, and sensitive subject, and thus, re-imagines a borderline community, with playful ironies that operate without gender or genesis, which opens up a new political vista.

      • KCI등재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포스트모던 그로테스크를 중점으로 Focused on the Postmodem Grotesque

        박은경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images in fashion specially focused on the postmodem grotesqu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fash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stmodem grotesque fashion images in the years of 1990-2000 can be analyzed as trans-stylistic, trans-boundaries which have been set by the modem westerm white elite men group. The postmdem groteque fashion images in the years of 1990-2000 can be categorized as 1) unclear boundaries between genders: body and dress; human being and nonhuman being: life and death; wholeness and fragmentation; clear body and abject body. 2) violence to the body: mutation by simplification, exaggeration; body injury

      • KCI등재

        설문지(設問紙) 문항(問項)에서의 체질별(體質別) 응답차이(應答差異) 비교분석연구(比較分析硏究)

        박은경,박성식,Park, Eun-kyung,Park, Seong-sik 사상체질의학회 2000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2 No.1

        사상의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체질의 진단 자체가 진단하는 의사마다 차이가 있다는 체질 진단 결과의 주관성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체질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모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체질을 감별함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는 설문지 이용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즉, 임상적 진단을 거쳐 체질이 결정된 조사대상자들이 설문지에서 어떠한 응답 성향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설문지를 통한 체질 분석의 결과를 다시금 검토하고, 각 문항에서 체질별 응답 성향을 분석하여 한 체질의 분류 척도로 채택된 문항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보았다. 그 결과 현재의 설문지로써 체질을 판별하는 것은 한계를 확인하였고, 추후 간략하면서도 정확한 새로운 설문지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roblem lies in Sasang-constitution-medicine is a subjectiveness of diagnosis that the result of diagnosis varies according to the doctors. In order to supplement to this demerit, multiple approach has done to diagnose objectively. This study has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dered as a basic data to indentify constitution. By analysing the tendency of the respondents who has defined constitution by clinical diagnosis and comparing of their answers, the result of their constitution analysis by our questionnaire were re-examed. The answer of each question to each constitution were tested how it is relevent to a scale of a constitution.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there is limitation to find out constitution by the questionnaire we used, one we hope that suitable questionnaire will be developed for th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하이네와 니체의 종교비판 – 친연성과 차이

        박은경 한국독어독문학회 2019 獨逸文學 Vol.60 No.3

        Scharfe Kritik am engstirnigen deutschen Nationalismus, herbe Religionskritik, kämpferische Rhetorik und eine eigentümliche, aller Systhematik entlaufende Schreibweise - bei der Betrachtung des Denkens und Schaffens von Heine und Nietzsche findet man überraschenderweise viele verwandte Züge. Die vorliegende Studie versucht, die Konturen der geistigen Verwandtschaft zwischen den beiden umstrittenen Autoren möglichst klar zu zeichnen. Dabei wird der Schwerpunkt auf ihre kritischen Stellungnahmen gegenüber der christlichen Religion gelegt. Heine und Nietzsche haben auf sehr ähnliche Art und Weise den Tod Gottes verkündet, das lebensfeindliche Christentum als Krankheit bezeichnet, sich gegen die einseitige Betonung des Geistes und für die Rehabilitation des Leibes, der Natur bzw. der Sinne eingesetzt, für die Befreiung von der heuchlerischen christlichen Moral Stellung genommen, immer wieder auf den dionysischen Rausch, der vom wilden Tanz und Lachen begleitet wird, hingewiesen. Jedoch liegen zwischen ihnen, trotz aller auffälligen Parallelen in der Denkweise und Argumentation, unüberbrückbare Klüfte. Heines Religionskritik, die auf der kritischen Stellungnahme zur rückständigen politischen Lage Deutschlands basiert, ist eng verknüpft mit seinem lebenslangen Kampf für die Demokratie. Er redet vom unterdrückten Körper, von der verteufelten Sinnenfreude, um der Materie ihr ursprüngliches Recht wiederzugeben. Heine wollte die Deutschen zu „[den] Erlöser[n] Gottes“ und dadurch zu den willkommenen ,Weltherrschern‘ avancieren lassen, d. h. er wollte vor allem dem erniedrigten Volk das Recht zum Leben verschaffen. Nietzsche dagegen, der den Menschen zum ,Mörder Gottes' drängt, hält sich von aller Art Fortschrittsgedanken fern. Er spricht stets von der Selbst- und Zeitüberwindung und beschäftigt sich mit Kunst, Kultur und Schönheit, aber „die große Suppenfrage“ liegt ganz außerhalb seines Blickwinkels. Die Wege von Heine und Nietzsche, die beieinander laufen zu scheinen, treffen sich nie in einer Richtung, weil das Herz des Einen für das Existenzrecht aller Menschen pocht und das des Anderen für das Schweberecht erlesener geistiger Aristokraten über Sklaven und Pöbel. 하이네와 니체는 각자 지향하는 바가 판이하면서도 또 서로 묘하게 닮은 구석이 많은 작가들이다. 이 글은 크리스트교에 대한 날선 비판을 중심으로 양자의 정신적 친족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신의 죽음을 선언하고 공포하는 방식, 크리스트교를 질병으로 규정하고 생동하는 삶을 찬미하며 새로운 건강의 시대를 희구하는 논조, 크리스트교에 의해 폄하된 몸/육신의 복권을 통한 자연/본성/관능의 회복을 주장하는 양상, 사제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함께 종교를 ‘만중의 아편’(하이네)이라, ‘선한 것’을 ‘미래의 대가로 현재가 사는 마취제’(니체)라 일컬은 점, 크리스트인과 그리스인이라는 인간 및 가치유형의 대비, 종교비판을 토대로 그려놓은 새로운 시대의 형상에 이르기까지, 하이네와 니체를 연결시키는 지점은 생각보다 많고 흥미롭다. 그러나 이 모든 정신적 친족 성에도 불구하고 하이네와 니체는 결코 가까워질 수 없는 상극의 면모 또한 지니고 있다. 하이네의 저술에서 크리스트교의 절대적인 정신주의로부터의 해방은 사회적, 정치적 해방과 접한 연관을 갖는다. 그러나 민중의 살 권리, 먹을 권리 따위는 니체의 안중에 없다. 양자의 향력이 상이한 것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과 감수성의 차이가 양자를 선명히 갈라놓는 지점인 것이다. 니체의 크리스트교 비판은 민주주의, 사회주의 비판과 같은 맥락에 놓여 있으며, 고고한 정신의 영역에 초대될 수 있는 소수만을 향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