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유미(Park Yu-Mi),최인숙(Choi In-Sook),김은아(Kim Eun-A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을 통하여 영아의 사회?정서 및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어린이집 2곳의 만 2세 영아 2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을 실험집단의 영아 13명에게 16주 동안 1주일에 2번씩 총 32회 실시하였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초기 활동은 개별 활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점차 짝과 함께하는 2인 활동, 소집단활동으로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발달영역 중 신체운동, 사회-의사소통, 사회-정서 영역,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s physical activities with peers at the age of 2 and its influences on their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26 children of two childcare centers,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3 children are observed twice a week for 16 weeks; 32 time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individual activity, couple activity and group activity,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identify that the phy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In terms of developmental areas, physical mobility, socio-communicative skills, socio-emotional aspects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infant's peer inter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일부 중소병원 행정직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코로나19 상황에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신체적 피로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진숙(Park Jin Suk),유미(Yu Mi) 한국보건사회학회 2022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병원행정직의 이직의도를 확인하고,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신체적 피로,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남 J시 지역에 있는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선별 및 안심 병원으로 지정된 6개의 중소병원에근무하는 행정직원 140명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20일에서 2021년 10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중소병원 행정직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형1에서는 급여 만족도_불만 (β=.46, p<.001), 모형2에서는 근무환경(β=-.24, p=.003), 신체적 피로 (β=.31, p<.001), 직무만족 (β =-.23, p=.001)이었다. 모형의 총 설명력은 60.9% 이었다(F=22.46, p<.001, R2=.609). 결론: COVID-19 상황에서 병원 행정직원의 신체적 피로를 줄이고 근무환경을 개선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와 관련한 보상체계 개선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본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tress, physical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administrator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40 administrative staff from 6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designated as screening and relief hospitals in the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 2021, to October 23, 2021,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the salary unsatisfaction (β =.46, p<.001) in Model 1 and working environment (β=-.24, p=. 003), physical fatigue (β=.31, p<.001), and job satisfaction (β=-.23, p=.001) in Model 2.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60.9% (F=22.46, p<.001, R2=.609).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creased workload related to quarantine, physical fatigue, and job dissatisfaction factors. Furthermore, a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additional support for manpower and a compensation system to lower turnover intention of medium-sized hospitals administrative staff in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영아의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유미(Park, Yu mi),길명자(Gill, Myeong ja),안연경(Ahn, Youn 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 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아의 발달과 흥미에 적합한 11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문학 활동 목표를 기준으로 이해 및 감상하기, 비평하기, 창작하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전시에 위치한 영아전담 어린이집 2세반 실험집단 영아를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씩 총 24회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영아의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literary activity program using picture book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o examine this, literary activities included using 11 books suitable to the infants' stage of development and interests, as well as focusing on three different literary activities, namely appreciating, criticizing and recreating the books. The subjects were 2 year olds at an infants only child care institute in Daejeon City. Tests ran from August 6th to September 28th 2012,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us, a total of twenty-four tests were undertaken. The results for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use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fants' languag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the infa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by using picture books in literary activities implement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건강 지식과 건강 행위, 건강교육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박유미(Yu-Mi Park),선미(Seon-mi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건강 지식과 건강 행위, 건강교육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과 전북 지역 소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58명을 대상으로 건강 지식, 건강 행위, 건강교육 교수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과 Welch 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일부 변인에 따라 건강 지식과 건강 행위, 건강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건강 행위와 건강교육 교수효능감 전체 및 하위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난 반면, 건강 지식과 건강교육 교수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교육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건강 행위 전체였으며 설명력은 약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ealth knowledge,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ing efficacy. For these, health knowledge,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ere measured for 258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lleges located in Chungnam and Jeonbuk.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test, Welch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knowledge,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som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and subordinate variables of health behavior and teaching efficacy,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alth knowledge and teaching efficacy. The variable affecting health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the overall health behavior,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approximately 30%.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propos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 구획실 화재 현상에 대한 수평 개구부 위치의 영향 검토

        박유미 ( Park Yu Mi ),이치영 ( Lee Chi Yo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horizontal vent position on fire phenomena in the enclos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vents was examin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Case 1 indicates the condition that the horizontal vent is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Case 3 indicates the condition that the horizontal vent is far away from the vertical vent. Case 2 indicates the condition that the horizontal vent is installed between Case 1 and Case 3.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smoke layer temperature, velocity distribution, and mass flow rate of horizontal vent flow were analyzed. In Case 2, the temperatures were lowest and the mass flow rate through the horizontal vent was largest. This is because the flame is inclined by the inflow through the vertical vent. Hence, to determine the proper horizontal vent location for the high smoke ventilation performance, the inflow through the vertical vent and its effect on flame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고대사회에서 소가 갖는 사회경제적 위상 -고고학 ·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박유미(Park Yu-mi) 한국민속학회 2021 韓國民俗學 Vol.74 No.-

        이글은 고대사회에서 소가 갖는 사회경제적 양상과 역할, 그 문화와 의미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으로 동물 중에서 대형인 소를 순화시키고 사육하는 행동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사시대부터 이런 시도가 지속된 이유를 이해해보고자 한다. 또한 소를 사육하게 된 사람들의 생활상이나 소를 활용한 작업, 관련된 문화가 어떤 것인지를 고찰함으로써 소 활용의 역사 속에 전승되는 소의 기능과 가치, 상징 등이 고대 사회에 어떻게 나타나고 발달되었는지를 헤아려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는 사람들에게 고기를 비롯한 가죽, 뼈, 힘줄, 기름 등의 여러 재료를 제공해줄 수 있었다. 또한 深耕과 사람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노동력은 물론이고 여러 목적의 제례의식에 필수적인 희생물로도 활용되었다. 특히,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해 많은 역할을 한 소는 이미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해서도 수행하는 기능이 상당했는데 그것은 장송의례의 공헌물 및 부장품으로서의 작용이다. 사후세계에서도 현생의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죽은 이를 위한 물품을 마련하는데 소가 쓰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은 소를 통해 많은 것을 얻어왔고 필요한 일들을 해결했다. 소가 사람과 사회에 기여한 것은 어떻게든 우리의 역사와 삶에 그 흔적이 남으므로 선사시대를 거쳐 고대사회에 이르기까지 그런 자취들은 여러 의미나 비유로 자리하게 되고 상징화되었다고 보인다. 또한 불교가 수용된 이후 종교적 성찰까지 소에 더해져 소는 사람들의 소양과 문화로서 상징화되었으며 소의 특성이나 성품이 신비로운 의미 및 사람이 본받아야 할 품성이나 자질을 뜻하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대사회에서 소가 갖는 위상은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었다. 가축들 중에 전쟁이란 특수한 상황에 활용되는 말을 제외하고 소가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특별하게 취급되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소를 통해 빚어낼 수 있는 다양한 생활문화와 의식들은 농경사회의 지속과 발전이란 측면에서 더욱 중요시되고 사람들의 삶과 밀착된 풍속으로써 우리의 전통문화를 구성하는데 일조하였다고 여겨진다.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cultural aspects and roles of cows in ancient society, and what their meanings were. Through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nderstand why such attempts have continued since prehistoric times, even though efforts to purify and raise large cattle among animals have not been easy. The article is also intended to examine how the functions, meanings, and symbols of cattle passed down in the history of cattle breeding appeared and developed in ancient society by considering lifestyles, activities related to cattle, and associated cultures. Divers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appear in the role and function of cattle in ancient society have been looked at for this purpose. First, cows were able to provide people with various materials, including meat, leather, tendons, and oil. They were used not only as a diverse workforce that could assist agriculture and people, but also as an essential sacrifice for ritual ceremonies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cows, which played many roles for the living, also played a role for those who were already deceased. Cows functioned as a funeral service contribution and burial item. Even in the afterlife, cows are used to prepare goods for the dead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lives. In this way, people have gained a lot from cows and have resolved issues. The cow’s contribution to people and society is somehow imbued with traces of the history and lives of the people of Korea. Therefore, such traces, from prehistoric times to ancient societies, have become symbols and are symbolized in many ways. After Buddhism was accepted, the cow was symbolized as part of the people’s culture, and the cow itself held mysterious meanings characteristics or qualities that people should follow. As a result, the status of cattle in ancient society was bound to be high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and it was not unusual for livestock to be treated with the most reverence. The various living cultures and rituals that can be created through cows ar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continuatio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society and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두부 제조와 판매 및 소비양상에 관한 연구

        박유미(Park, Yu-mi)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전통시대 두부의 생산과 소비는 사찰과 관리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다가 점차 민간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 두부는 크게 공무상 쓰일 두부 제조와 민간에서의 두부 제조 및 활용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공무에 필요한 두부는 조포사(造泡寺)로 지정된 사찰의 승려들이 만들어 납부하였고 민간에서는 스스로 만들어 썼거나 두부 제조자들이 만든 것을 구입하였다. 민간에서의 제조는 주로 가내에서 이뤄졌으며, 사람들은 두부를 노인봉양이나 콩과 관련된 음식 생활의 일부로서 여러 음식으로 만들어 소비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무렵에는 기존의 두부 제조인들이 조직화되고, 두부를 만드는 회사와 공장이 출현한다. 그리하여 소규모 상점이나 가정 내에서의 직접 제작 또는 조포사와 같은 특수성 등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던 두부는 일제강점기의 두부회사나 공장 등을 통해 산업화 됐으며 대량생산 되었고 언제든 판매될 수 있었다. 또한 두부를 만드는 기계의 등장으로 ‘전문성’이라는 장벽이 낮아지게 되어 비숙련가들이 두부제조업에 다수 종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시대성을 표방하는 ‘위생’, ‘규율’ 등의 담론도 이 시기 두부의 생산과 판매에 영향을 끼쳤다. 생산자와 판매자들은 모두 이러한 담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검증하고 강제하는 행정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밖에도 행정력이 강제한 것은 중량과 형체의 표준화였다. 표준을 제정하고 규격화를 이끌어내면서 공정가격의 제정도 실현시켰다. 이러한 두부를 통해 드러나는 당대의 대중 음식문화와 일상적 음식생활의 면모는 전통시대와 크게 다르지 않게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두부에는 공무적 성격이 없어졌고, 경제성 및 효율성 제고나 과학적이며 영양학적인 정보 제시 및 판매와 구매의 측면에서도 이전 시대의 두부와는 다른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시대적 특수성이나 민족적 차원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실제적 생활상을 사람들로 하여금 경험을 하게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raditional bean curd gradually expanded from the center of temples and officials to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led the tofu food culture were aristocratic, but tofu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private sector were also common. These traditional tofu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change as we enter the modern era. Some changes occurred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after modern times, especi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xisting tofu merchants were organized and related companies and plants emerged.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tofu, which have been based on handmade manufacture in small stores or homes and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s such as ‘Joposa(造泡寺)’, could be industialized and mass produced by tofu companies or plants after modern times. The emergence of tofu-making machines also lowered the barrier of expertis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non-skilled people to engage in the tofu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several discourses including ‘hygiene’ and ‘regulations’ representing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effects on the production and even the selling of tofu. Both producers and sellers could not but be affected by such discourses, because of administrative capacity to inspect and force them. Another discours that was forced by the administrative capacity was the standardization of weight and forms.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rices was also realized, as the enactment of standards and the standardization were drawn by it. However, ordinary people’s food culture and routine food lives revealed by tofu do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previous periods. But nevertheless, The modern tofu has exhibited some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economy and efficiency, the provision of scientific and dietetic information and selling and buying, especially, it can be evaluated to allow us to experience a substantial lifestyle in terms of historical peculiarity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 SCOPUSKCI등재

        Poly(2-Hydroxyethylmethacrylate)를 포함한 공중합체 수화겔막에 대한 알콜용질의 투과특성

        박유미,김은식,성용길,Park, Yu Mi,Kim, Eun Sik,Seong, Yong Gil 대한화학회 1990 대한화학회지 Vol.34 No.4

        용매 존재하에서 2-hydroxyethylmethacrylate와 acrylamide, N, N-dimethylamide 및 methylmethacrylate를 함량에 따라 3종류의 공중합체 수화겔막을 제조한 다음 이들 막에 알코올용질의 투과 및 분배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용질의 투과 메카니즘을 논의하였다. 수화겔막에서 유기용질의 투과계수는 그 분자의 크기에 주로 의존하였다. 그러나 수화겔막 내에 존재하는 물의 함량이 낮아지면 막에 대한 용질의 용해도가 점차 중요해짐을 또한 알 수 있었다. 분배계수의 측정 결과에 의하면 수화겔막에서의 용질의 분배는 주로 막과 용질사이에 존재하는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리고 수화겔막에 유기용질의 확산은 전적으로 빈자리에 의존하며, 물분자와 용질 사이에 극성-편극성 및 수소결합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그 정도가 아주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Three kinds of hydrogel membranes were prepared by the copolymerization of 2-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with acrylamide, N, N-dimethylamide and methylmethacrylate in the presence of solvent and crosslinker respectively.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relative permeability and partition coefficient of the membranes for alcohol solutes were measur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permeation of organic solute occurs through the water-filled regions in the hydrogel membrane, and that the gpermeability coefficient of organic solute depends on the molecular size. But the permeability of organic solute was controlled by the interaction of solute-membrane at the low water content. By the partition data, it has been shown that the partition of solute is only controlled by hydrophobic interaction between solute and membrane. The diffusion coefficient data we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water-solute interac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diffusion of organic solute is determined by the free volume of water in the membrane, and that hardly depends on polarity-polarizability and hydrogen bonding ability between water and solu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