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분석: 인공지능 규제와 기술,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박예종,이슬기 한국조직학회 2024 한국조직학회보 Vol.21 No.2

        인공지능 기술은 범접할 수 없는 속도로 우리의 일상에 침투하며, 그 기술력과 영향력은 놀라움과 위기감을 동시에 선사한다. 이에 많은 정부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주도권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상당히 부족하며, 정책에 대한 수용성을 살핀 연구들은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태도가 이를 규제하는 정책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실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양자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할은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실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기술에 대한 태도로서 기대감과 위험인식이 인공지능 규제를 지지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규제를 지지하는 데 있어서 기대감은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졌으며 위험인식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디지털 리터러시는 단일의 부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대감 및 위험인식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기대감의 부정적 영향력을 강화시켰으며 위험인식의 긍정적 영향력은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적 맥락에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인공지능 거버넌스 구축 시 어떠한 조건과 가치를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penetrating our daily lives at an unprecedented pace, and its power and influence are both alarming and threatening. In response, many governments are trying to achieve both initiative and stability in AI.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AI technologies, and few studies have examined policy acceptanc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attitudes towards AI technologies shape attitudes towards the policies that regulate them. Furthermore, the role of digital literacy in this relationship is examined exploratively. The results show that expectancy and risk perception, as attitudes towards the technolog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pport for AI regulation. Specifically, expect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support for regulation, while risk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Furthermore, digital literacy had a single negative effect. Furthermore, digital literacy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expectations and risk perceptions, reinforcing the negative effect of expectations and mitigating the positive effect of risk percept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identify public attitudes toward AI technology in the Korean context and provides a blueprint for how context and values should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I governance.

      • KCI등재

        공공부문의 혁신행동과 성과: 혁신행동의 결정요인 분석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예종,윤창근 한국국정관리학회 2022 현대사회와 행정 Vol.32 No.3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innov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keyword.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public sector. According to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innovative behavior of Korean civil servants has decreased from 3.44 in 2019 (before COVID-19) to 3.33 in 2021 (after COVID-1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novative behavior of civil servants, especially focusing on impacts of management factors (change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motivation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compensation) on innovative behavior. And also, this study analyzes mediation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anagement/motivation factors and work performance of civil serva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performance managemen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compensation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However, only the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change management. In other word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hange management does not directly affect individual work performance, but change management activates innovative behavior and can indirectly affect individual work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organizational management. COVID-19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 커진 현대사회에서 혁신은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 조직에서는 혁신적인 업무 수행보다는 기존의 업무와 관련한 규정에 얽매이는 경우가 많으며, 일선 현장에서 혁신이란 단어를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실제로 공직생활실태조사에서는 공무원의 혁신행동 평균이 COVID-19 이전 2018년(3.40)보다 최근 2020년(3.33)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value= 0.006). 이에 본 연구는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관리적 요인(변화관리, 성과관리)과 동기적 요인(보상, 공직봉사동기)을 검증하였다. 혁신행동의 영향요인 이외에도 본 연구는 혁신행동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과관리와 공직봉사동기, 그리고 보상은 직접효과와 함께 동시에 간접효과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변화관리는 간접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조직의 관리적 차원에서 변화관리는 개인의 업무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변화관리가 혁신행동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개인의 업무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의 관리 뿐만 아니라 개인의 혁신행동을 장려하는 것 역시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무원 역량과 시민참여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행정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불일치를 중심으로

        박예종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2

        In public administration, trust in government has been treated as a major research topic, and its importance has been variously proven. For example,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s capacity is a key influencing factor on trust in the government. However, trust in the government has various aspects depending on the expectations of citizens. Therefore, this study first re-examines government trust and government capacity, which have been dealt with by previous studies. Second, the role of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for public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trust and competence is explor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using the theory of expectation-disconfirmation, which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consumer studies and business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compet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the government, and specifically, public officials competency and citizen involve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addition, the inconsistency of expectation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government tru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competence and government trust was mediated. Therefore, while enhancing government capac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rusting the government,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rom a policy point of view to examine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that the public has in public services in explaining this relationship more precisely. 그간 행정학에서 정부신뢰는 주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고, 그 중요성도 다양하게 입증되어왔다. 대표적으로 정부의 역량은 정부신뢰에 대한 핵심적인 영향요인임이 드러났다. 그러나 정부신뢰는 시민들이 갖는 기대감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다룬 정부신뢰와 정부역량에 대해 재고찰한다. 둘째, 정부신뢰와 역량의 관계에서 ‘행정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만족 간 차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소비자학이나 경영학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기대불일치(Expectancy-disconfirmation)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역량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공무원역량과 시민참여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기대불일치는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역량과 정부신뢰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부역량을 높이는 것이 정부신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 관계를 보다 정교하게 설명하는 데 있어서 국민이 행정서비스에 갖는 기대불일치 정도를 살펴보는 것이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TOE 모형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기반행정수용성에 관한 연구:중앙 및 지방정부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박예종 한국인사행정학회 202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3 No.2

        데이터기반행정은 관련한 법제화 이후 여러 학술적・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은 연구의 다양성이나 체계성을 보장해주지 못하다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조직・환경(TOE) 모델을 통해 학술적 체계성을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데이터활용 및 데이터기반행정의 수용을 위한 여러 요인을 실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술적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용성과 기술양립성을, 조직적 요인으로는 조직준비성과 여유자원을, 환경적 요인으로는 규정적 지원과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나아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현실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가 두 기관에서 차이가 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모형에서는 기술 및 조직적 요인이 데이터기반행정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간에서는 기술, 조직,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즉, 중앙정부에서는 조직요인인 조직준비성과 여유자원이 긍정적인 유의미함을 보여주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술요인의 지각된 유용성, 조직요인의 조직준비성, 환경요인인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기관에서 데이터기반행정을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요인들이 갖는 영향력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인 만큼 데이터기반행정의 효과적인 정착과 실현을 위해서는 기관별 맞춤형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many academic and policy discussions since its enactment. However, these discussions have faced the limitation of not guaranteeing diversity or systematicity of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demonstrate various factors for data utilization and acceptance of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academic rigor through the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TOE) model. Specifically,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logical compatibility were set as technical factors, organizational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slack were set as organizational factors, and regulatory support and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s were set as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al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study verifi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and consequent factors differed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n integrated model without distinction of samples,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ll differ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slack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and in local governments,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technical factor, organizational readiness of the organization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elationship with stakeholders,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two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the influence of important factors required for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suggesting that tailored policy efforts for each institution are needed to effectively establish and realize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공무원 이직의 세대별 영향요인 비교: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그리고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박예종(朴睿種),오윤정(吳胤靜),윤창근(尹昶根)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현재 우리나라의 공무원에 대한 선호는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이직률은 높아지고 있다. 공직이 갖는 고용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입직한 신입 공무원의 이직률 증가는 조직 내 누적된 문제점이 대외적으로 표출되는 징후이며, 더 나아가 관료 조직의 위기 전초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무원의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을 살피고자 한다. 우선, 기존 문헌을 고찰하고, 유력한 선행요인으로 제시되는 직무태도(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둘째, 최근 조직학에서 주목받는 조직관성 변수를 통해 관료제 특유의 위계적 구조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요인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세대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전체 응답자 대상의 분석모형에서는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성세대(1980년 이전 출생) 대상의 분석 모형에서는 직무태도만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조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MZ세대(1981년 이후 출생) 모형에서는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성세대 모형과 비교하여 직무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세대의 이직의도의 원인이 상이하며, 특히 MZ세대 공무원들의 이직에 조직의 관성적 관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Currently, preference for public officials in Korea is gradually decreasing, but the turnover rate is increasing. Despite the job security of public office, the high turnover of newly hired and less experienced employees can cause seri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a civil servic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First,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the influence of public officials’ job attitude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s verified. Second,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ertia,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is explored. Finally, it is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he relationship to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all major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analysis model based on all respondents. In the model based on the older gener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ase of the MZ generation, the influence on job attitude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inertia is also confi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uses of turnover intentions of the two generations are different, and in particular, the inertial practices of the organization are important for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turnover.

      • KCI등재

        기후위기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윤정,박예종,윤창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7

        Public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the climate crisis are largely inconsistent. There is a high awareness of the dangers of the climate crisis,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optimistic attitude that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ional policies can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 consciousness on policy compliance to the climate crisis. First, the more recognized the damage to a specific group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the higher the individual's policy compliance. Second, the higher the benefits and costs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and the higher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the higher the individual's policy compliance. This study analyzes value and perceptual factors that affect individual policy compliance. It contributes to establishing strategies to improve individual active attitudes and policy acceptance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 KCI등재

        스마트시티의 이용 경험과 유용성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고령층의 디지털 격차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이혁규,박예종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2

        많은 지방정부에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책이 효과적으로 집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책적 난제들이 산발해 있는 현대 사회에서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는 많은 노력들 중 가장 주요한 지표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 신뢰를 제고시키는 데 있어서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이용 경험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하며,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시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민들 간의 디지털 격차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격차에서 특히 소외계층으로 여겨지는 고령층을 구분하여 인과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피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 스마트시티 이용 경험과 유용성이 지방정부 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시티 이용 경험과 지방정부 신뢰 사이에서 유용성은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령층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한 결과, 그 외 집단에 비해서 이용 경험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며, 유용성은 그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부의 민첩성, 관리역량이 재난관리 정부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방역성과를 중심으로 -

        송성우,박승규,박예종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1

        Governments striv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by finding new creative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iricall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gile government and managerial capacity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governm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gile government possesses a positive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govern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perceived flexibility, perceived speed, and perceived responsiveness of the governmen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of government performance. Managerial capacity has a positive impact on government performance as well. In particular, these results find that communication mediates the effect of agile government and managerial capacity on government performance.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identify the concepts of agile government and to explain the association with government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 KCI등재

        Prognostic Predictability of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8th Staging System for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Limited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7th Staging System

        이종우,이재훈,박예종,이우형,권재우,송기병,황대욱,김송철 대한암학회 2020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2 No.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s of the 7th and 8th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ing systems for patients with resected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PHC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48 patients who underwent major hepatectomy for PHCC between 2008 and 2015 were identified from a single center. Overall survival (OS) was estim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mpared across stage groups with the log-rank test. The concordance index was us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predictability of the 8th AJCC staging system compared with that of the 7th. Results In the 8th edition, the stratification of each group of T classification improved compared to that in the 7th, as the survival rate of T4 decreased (T2, 31.2%; T3, 13.9%; T4, 15.1%; T1- T2, p=0.260; T2-T3, p=0.001; T3-T4, p=0.996). Both editions showed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s between each N category, except between N1 and N2 (p=0.063) in 7th edition. Differences of point estimates between the 8th and 7th T and N classification and overall stages were +0.028, +0.006, and +0.039, respectively (T, p=0.005; N, p=0.115; overall stage, p=0.005). In multivariable analysis, posthepatectomy liver failure, T category, N category, distant metastasis, histologic differentiation, intraoperative transfusion, and resection margin status were associated with OS. Conclusion The prognostic predictability of 8th AJCC staging for PHCC improved slight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the 7th edition, but its overall performance is still unsatis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