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과채류 재배 스마트 온실 실태: 온실 환경 및 병해충 관리

        박영균,백성훈,임재성,김민중,이준호,Park, Young-gyun,Baek, Sunghoon,Im, Jae Seong,Kim, Min-Jung,Lee, Joo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1

        스마트 온실은 주로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와 같은 과채류 작물을 대상으로 보급되었다. 스마트 온실의 보급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 실태에 대한 조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 온실의 시설 규모, 재배작물, 재배방법, 발생 병해충과 실사용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 현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온실의 리스트는 각 권역별 현장지원센터로부터 제공받았으며, 모든 조사는 농가를 직접 방문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스마트 온실 농가의 약 50%가 3,300 ㎡~6,600 ㎡ 사이의 규모로 운영하고 있었다. 조사된 농가 중 97.1%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병해충을 방제하고 있었다. 조사된 농가에서 응답한 주요 식물병은 흰가루병과 잿빛곰팡이병으로 각각 54.4%, 33.8% 비율로 주로 문제가 되는 식물병이라고 응답하였다. 모든 토마토 농가에서 가루이류가 가장 문제가 되는 해충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파프리카 농가의 76.5%, 70.6%가 총채벌레류와 진딧물류를 가장 문제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스마트 온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7.5점이었다. 이 결과는 한국의 현재 스마트 온실을 관리하고 미래 스마트 온실을 설계하는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Smart greenhouses are primarily used for growing fruits and vegetables, such as sweet peppers, tomatoes, strawberries. Although the number of smart greenhouses has been increasing exponentially, no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of smart greenhous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urrent state of smart greenhouses with regard to greenhouse specifications, crop growing methods, pests, and user satisfaction in Korea. Contact information for smart greenhouses was provided by the officials of loc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each greenhouse.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50% of surveyed smart greenhouses were between 3,300 ㎡ and 6,600 ㎡. The most frequently chosen method for pest control was chemical pesticides (97.1%). Powdery mildew and gray mold comprised 54.4% and 33.8% of the crop diseases, respectively. All tomato greenhouse farmers considered whiteflies the most problematic pest. In contrast, 76.5% and 70.6% of sweet pepper farmers believed thrips and aphids posed significant threats, respectively. The mean satisfaction score was 7.5 out of 10 points, with 10 being "extremely satisfied". These results will aid in decision making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of current smart greenhouses and the design of future smart farms in Korea.

      • KCI등재

        디지털 컨트롤러 공유 및 Pseudo Relaxation Oscillating 기법을 이용한 원-칩 다중출력 SMPS

        박영균,임지훈,위재경,이용근,송인채,Park, Young-Kyun,Lim, Ji-Hoon,Wee, Jae-Kyung,Lee, Yong-Keun,Song, Inchae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9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제어부를 공유하며, 회로 동작시간의 분배 방식을 통해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SMPS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Pseudo Relaxation Oscillating 기법의 DPWM 발생기를 사용한다. 제안된 SMPS는 회로의 동작시간 분배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DPWM 발생기에서 문제가 되는 큰 면적의 디지털 로직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칩 면적과 효율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지만, 각 DPWM 발생기의 실시간 제어가 어려우며 불안정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작시간 분배 방식으로 인해 동작클록이 인가되지 않은 DPWM 발생기들의 출력전압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아 안정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실시간 전류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SMPS를 100MHz의 내부 제어 동작 주파수와 10MHz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시킬 시, 소모되는 내부 코어 회로의 최대 전류는 4.9mA이며, 출력 버퍼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모는 30mA이다. 또한 800mA, 100KHz의 load current regulation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시, 3.3V 출력전압에 대한 최대 리플 전압은 11mV, Over/Undershoot voltage는 각각 10mV, 19.6mV 이다. 코어 회로의 크기는 $700{\mu}m{\times}800{\mu}m$의 작은 면적으로 구현가능하다. 제안된 회로는 Dong-bu Hitek BCD $0.35{\mu}m$ 공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되었다. This paper suggests a multi-level and multi-output SMPS based on a shared digital logic controller through independently operating in each dedicated time periods. Although the shared architecture can be devised with small area and high efficiency, it has critical drawbacks that real-time control of each DPWM generators are impossible and its output voltage can be unstable. To solve these problems, a real-time current compensation scheme is proposed as a solution. A current consumption of the core block and entire block with four driver buffers was simulated about 4.9mA and 30mA at 10MHz switching frequency and 100MHz core operating frequency. Output voltage ripple was 11 mV at 3.3V output voltage. Over/undershoot voltage was 10mV/19.6mV at 3.3V output voltage. The noise performance was simulated at 800mA and 100KHz load regulation. Core circuit can be implemented small size in $700{\mu}m{\times}800{\mu}m$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proposed circuit, th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Dong-bu Hitek BCD $0.35{\mu}m$ technolo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성의 성찰로서 다크 투어리즘과 기획의 방향

        박영균(Park, Young-Ky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5

        다크 투어리즘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있다. 하지만 이 글은 다크 투어리즘이 현대사회에서 주목받게 된 사회-역사적 맥락에 주목한다. 현대의 다크 투어리즘은 20세기의 산물로, 현대를 만들어 온 현대성의 파국 및 이에 대한 성찰이라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다크 투어리즘의 해방적 기능은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이나 포스트 모더니즘처럼 현대성에 대한 성찰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든 다크 투어리즘이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 기술-산업적 인프라와 대중의 소비 욕망을 결합시키는 핵심 주체는 자본과 국가이다. 따라서 자본과 국가는 ‘다크’를 재영토화한다. 따라서 이 글은, 현대성의 성찰로서 다크 투어리즘이 되기 위해서는 자본과 국가의 재영토화에 대한 도주라는 ‘차이 남’의 반복으로서 ‘기획’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글은 이런 기획의 방향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공간의 다수성을 활용하여 차이화함으로써 그 지역의 로컬리티가 가진 특이성과 독특성을 드러내는 탈구축 전략이다. 둘째, 동정이나 연민이 아니라 공감에 의한 정동의 윤리학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셋째, 트라우마의 전이를 벗어나 탈동일시에 근거한 성찰적 극복하기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획에도 불구하고 재현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반복되어야 할 것은 어두운 기억과 장소들의 재현불가능성 속에서 국가가 봉합한 ‘사건’의 공백을 되풀이함으로써 반국가의 정치를 수행하는 후사건적 주체의 충실성이다. 따라서 이 글은 현대성의 성찰로서 다크 투어리즘이 ‘후사건적 주체의 자리’를 고수하면서 ‘탈구축’과 ‘공감’, ‘성찰적 극복하기’라는 기획을 충실하게 반복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dark tourism.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ocial-historical context in which dark tourism has become a hot topic in modern society. Modern dark tourism is a product of the 20th century, with a background of catastrophe of modernity and reflection on it. Thu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mancipatory function of dark tourism lies in reflection on modernity, such as Ulrich Beck’s theory of risk society and post modernism. However, not all dark tours are successful. In modern society, a capital and state are the key players that combine technology-industrial infrastructure with the people’s desire for consumption. Thus, capital and state re-territorialize the ‘dark’.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in order to become a dark tourism as a reflection of modernity, it should be a ‘project’ as a ‘repeat of differentiation’ of the flight of the re-territorialization of capital and state.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s for this project. First, it is a deconstruction strategy that reveals the singularity and uniqueness of the locality by making differentiate with the multiplicity of place. Second, it is to operate the ethics of affection by empathy, not by sympathy or compassion. Third, it works to a reflective overcoming based on dis-identification over the transfer of trauma. However, despite such a project, representation is bound to fail. What needs to be repeated here is the fidelity of the post-event subject that carries out anti-state politics by repeating the void of the ‘Event’ sealed by state based on the impossibility of dark memories and place’s representation.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dark tourism as reflection of modernity should be faithfully repeating the project of ‘deconstruction’, ‘empathy’, and ‘reflective overcome’ while adhering to the ‘post-event subject"s position’.

      • KCI등재

        북의 국가담론: 봉건적 가부장에서 젠더화된 민족국가로

        박영균 ( Park¸ Young-ky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0 시대와 철학 Vol.31 No.4

        담론은 학교, 교회 등의 물리적 장치를 가지고 객관적 관계 및 그것에의 동일화를 통해서,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는 주체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물질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북의 국가담론에 관한 연구도 이런 세 가지 지점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체제의 강고함은 억압의 정도가 높을수록 떨어지며 자발성이 높을수록 올라간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연구들은 주체사상의 지배 이데올로기적 기능 및 국가장치를 통한 강제 또는 세뇌에 맞추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의 국가담론을 생산하는 학교, 당-인민위원회 등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들에 관한 연구 및 그것의 수행적인 힘들에 관한 연구보다 북의 국가담론이 객관적으로 근거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와 그것에 자신을 상상적으로 동일화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북의 국가담론이 봉건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나 유교적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국가를 젠더화한 담론이라는 점을 ① 사회주의대가정론과 ②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 있다. 또한, 이런 분석에 근거로 하여 ③ 젠더화된 국가담론이 작동할 수 있는 상상적 동일화의 자원으로서 역사적 경험과 문화적 자산, 그리고 객관적인 삶의 조건들을 다루고 있다. 북의 젠더화된 국가담론은 유교가 아니라 ‘민족’이라는 토양 위에서 식민과 분단의 트라우마를 중핵으로 하여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자산을 전유하고, 민족을 가족적으로 국가화함으로써 정치적 아버지인 수령에 대한 충성이라는 상징체계를 만들어냈다. 따라서 이 글은 북의 젠더화된 국가담론에 대한 연구가 이들 물질성의 해체 및 균열에 관한 연구 뿐만 아니라 남의 (여)성에 대한 구조적-문화적 폭력에 대한 해체 및 몸의 해방을 포함한 (여)성해방의 차원까지 나아가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iscourse has a materiality in that it based on objective relationships and identification with them, physical apparatuses such as schools and churches, and produces subjects that perform specific action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n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a study on the three points. The strength of the system decreases as the degree of repression increases, and increases as the spontaneity increas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compulsory or brainwashing by the state apparatus and ideological ruling function of Chuche Ideology. Thus, this paper is not a study on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 such as schools, Party-People’s Committee, etc. that produce the North’s state discourse, but focuses on the social relationships on which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objectively based and the mechanism that imaginatively identifies with it.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the North’s state discourse is not a feudal patriarchal and Confucian ideology, but a discourse in which the state is gen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① theory of the large socialist family and ② theory of social-political life. Also, based on this analysis, it deals with historical experiences, cultural assets, and objective life conditions as resources for imaginative identification in which ③ the gendered national discourse can operate. North’s gendered state discourse is not Confucianism, but on the soil of ‘nation’, it created a symbolic system that loyal to the leader as a political father with the trauma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as the core, appropriating the historical asset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making the states as a family. Therefore, this article assert that the study of the North’s gendered national discourse not only studies on the dissolution and cracking of these materiality but also the resolution of structural-cultural violence, the women’s-sexual liberation Including body’s liberation.

      • KCI등재

        장애학생 교육실태 및 개선방안

        박영균 ( Young Kyoon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이 논문은 우리나라 장애학생의 교육에 관해 실태를 파악하고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서비스의 개선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사업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주관하고 있다.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특수교육정책으로 지난 수년 동안 괄목할만한 진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장애학생 교육활동이나 체험활동에 관해서는 아직 지원 실적이 미흡하다. 장애학생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교내외 활동 지원은 교육복지 사업에 비해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학생의 교육 실태와 장애학생 교육에 관한 요구분석을 통해 장애학생 교육정책에 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가로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국민의 복지나 교육의 미진한 부분을 개선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다. 장애학생을 비롯한 소외계층의 모든 아동과 학생을 위한 교육 사업에 대해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국가의 책임과 준비, 그리고 시행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paper was prepared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roposed goal, survey was done on the current states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needs. According to the survey, 80.4%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urrently receiving school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diverse activities of students who have disabilities, 51.1%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students do not receive education-related services outside school. A total of 67.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upport on educ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anted the government to establish more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pondents consider vocation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st respondents also repor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more schools. They considered special classes a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 certain degree. About inclusion, 9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It is a kind of basic right of the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to receive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abilities. This right is also guaranteed in the National Constitution and described more in detail in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The author suggested some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proceed toward the direction of full inclusion. It is another urgent task to find out the correct numbers of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It is also important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appropriate education for the students.

      • KCI등재

        논문 : 통일의 인문적 비전 -소통으로서 통일론-

        박영균 ( Young Kyu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3

        본 논문은 기존의 통일 방안 중심의 통일론들이 국가 중심의 기능주의 적인 체제통합 및 국가통합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본질적으로 ‘국가우선적 시각’에 빠져 있다는 비판에서 출발한다. 국가 우선적 시각은 민족의 통합을 두 국가의 통합 차원에서 보기 때문에 자신들의 관점에서 각각의 가치들을 서열화하고 그런 가치들을 중심으로 통일한(조선)반도의 미래상을 관념적으로 추상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남이나 북은 모두다 통일 방안에서 ‘민주’라는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둘은 서로 같은 가치를 공유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북과남이 내세우는 ‘민주’의 ‘의미’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남과 북은 서로에 대해 자신의 ‘민주’만이 진짜고 상대의 ‘민주’는 가짜라는 점을 들추어내고자 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대립과 적대를 생산한다. 바로 이런 점에서 남과 북의 국가가 지향하는 가치들을 인정하고 그것을 서로 나누는 ‘소통’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소통을 “가르치고-배우는 비대칭적 관계”로 규정한다. 그것은 남과 북이 각가 가지고 있는 ‘평화’, ‘자유’,‘평등’, ‘민주’, ‘인권’, ‘생태’와 같은 인문적 가치들의 의미를 괄호 속에 묶고 서로 가르치고 배움으로써 소통 속에서 통일한(조선)반도의 미래규칙‘을 생성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depart from criticism that a existing theories of unification centered reunification plan has fallen into ‘state-centric view’ by doing focus a national integration and functional system integration. The state-centric view is order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own and ideally abstracting the future of a unified Korea found such values. For example, north and south Korea have proposed a value of ‘democracy’ in the unification scheme. It appears to both is share the same value. However, ‘meaning’ of ‘democracy’ proposed north and south Korea different. Therefore, it produce a hostile confrontation as reciprocally unmasking the point that false democracy of the opponent and only real their own democracy. At this point exactly, a north and south nation is need to accept the values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e share their`s values. This paper is defined the communication as ‘to teach-learning asymmetrical relationship’. It is to create the future rule of a unified Korea unified in the communication as a teach-learning process from each other by means of enclose in parentheses the meaning of the humanities value such as ‘peace’, ‘freedom’, ‘equality’, ‘democracy’, ‘human rights’, ‘ecological’.

      • KCI등재

        디지털 컨트롤러 공유 및 Pseudo Relaxation Oscillating 기법을 이용한 원 - 칩 다중출력 SMPS

        박영균(Young-Kyun Park),임지훈(Ji-Hoon Lim),위재경(Jae-Kyung Wee),이용근(Yong-Keun Lee),송인채(Inchae So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1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제어부를 공유하며, 회로 동작시간의 분배 방식을 통해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SMPS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Pseudo Relaxation Oscillating 기법의 DPWM 발생기를 사용한다. 제안된 SMPS는 회로의 동작시간 분배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DPWM 발생기에서 문제가 되는 큰 면적의 디지털 로직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칩 면적과 효율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지만, 각 DPWM 발생기의 실시간 제어가 어려우며 불안정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작시간 분배 방식으로 인해 동작클록이 인가되지 않은 DPWM 발생기들의 출력전압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아 안정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실시간 전류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SMPS를 100MHz의 내부 제어 동작 주파수와 10MHz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시킬 시, 소모되는 내부 코어 회로의 최대 전류는 4.9mA이며, 출력 버퍼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모는 30mA이다. 또한 800mA, 100KHz의 load current regulation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시, 3.3V 출력전압에 대한 최대 리플 전압은 11mV, Over/Undershoot voltage는 각각 10mV, 19.6mV 이다. 코어 회로의 크기는 700㎛×800㎛의 작은 면적으로 구현가능하다. 제안된 회로는 Dong-bu Hitek BCD 0.35㎛ 공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되었다. This paper suggests a multi-level and multi-output SMPS based on a shared digital logic controller through independently operating in each dedicated time periods. Although the shared architecture can be devised with small area and high efficiency, it has critical drawbacks that real-time control of each DPWM generators are impossible and its output voltage can be unstable. To solve these problems, a real-time current compensation scheme is proposed as a solution. A current consumption of the core block and entire block with four driver buffers was simulated about 4.9mA and 30mA at 10MHz switching frequency and 100MHz core operating frequency. Output voltage ripple was 11 mV at 3.3V output voltage. Over/undershoot voltage was 10mV/19.6mV at 3.3V output voltage. The noise performance was simulated at 800mA and 100KHz load regulation. Core circuit can be implemented small size in 700μm x 800μm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proposed circuit, th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Dong-bu Hitek BCD 0.35μm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욕망의 정치경제학과 현대 도시의 위기

        박영균(Young-Kyun Park)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2

        현대 도시는 자본의 정치경제학을 따라 구축되었다. 자본의 정치경제학은 생산과 소비의 이원적 구조를 통해서 ‘생산-기계’이자 ‘소비-기계’로서의 인간을 생산하였다. 도시공간의 사적 공간, 공적 공간, 사회적 공간의 분할은 이런 자본의 정치경제학을 따라 이루어졌다. 오늘날 현대 도시는 생산-소비의 메커니즘을 자본 축적의 메커니즘으로 코드화하고 영토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자본에 의한 생산의 포획은 임노동이라는 자본의 외부를 자본 내적 축적으로 코드화하면서 노동자를 ‘생산-기계’로 생산한다. 반면 자본에 의한 소비의 포획은 노동자를 ‘욕망의 정치경제학’으로 흡수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소비혁명은 세 번에 걸쳐 일어났다. 첫 번째는 기계제 대공업과 ‘대량생산-대량소비’ 시스템의 구축, 두 번째는 복지국가의 편입을 통해서 일어났으며 세 번째는 ‘다품종대량생산’-유연생산전략 시스템을 통해서 일어났다. 그러나 이런 현대 도시의 스펙타클을 창조하는 흐름의 공간, 네트워크적 사회의 구성은 노동의 사회화, 사회적 협력의 가치를 사적으로 전유하는 과정이며 소비욕망을 통해서 자연의 생명적 에너지를 ‘자본의 가치 증식 욕망’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현대 도시의 위기는 ‘화석에너지시스템’과 자본이 코드화-영토화하는 ‘욕망의 정치경제학’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바로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① 자본의 욕망이 포획하는 소비욕망에 삶의 욕망을 대립시키고, ② 자본이 영토화하는 소비공간-생산공간으로서의 도시를 자신의 생명을 생산하는 ‘자기가치화의 운동’, 즉 ‘자치적 생산-소비 공동체의 건설’로 바꾸며, ③ 자연과 인간의 내적 교통-교감의 메커니즘을 회복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A contemporary city is formed by the political economy of capital. The political economy of capital produced a human being as ‘production-machine’ by way of a dualistic structure of spa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 divided city as private space, public space, social space is formed by the political economy of capital. Today, A contemporary city go through a process of accumulation of capital that codify and territorialize a mechanism of production-consumption. A capture of space of production by capital make a ‘production-machine’ of a wage worker by a mechanism of capital accumulation which codified a working force as the outside of capital. On the other hand, A capture of space of consumption by capital go through a process that a working man is absorbed into ‘political economy of desire.’ The consuming revolution is third. First revolution spring from a machinery industry and system of mass production-mass consumption. Second revolution is concurred with a welfare state which state is incorporated into a part of capital accumulation. Third revolution concurred with a system of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But a space of flow being creative of spectacle, a newly formed network society grab the property from a socialization of labor, value of collaborative work and replace the vital power of nature with propagational desire of capital. So what we are suggesting we think that the fossil energy system and political economy of desire bring forth to the crisis of contemporary city. So, for deal successfully with the crisis of contemporary city, this article propose that point: 1. being based on the vital power and holding out obstinately against a consuming desire seized with capital, 2. being replace the city as space of production-consumption territorialized by capital with the self-government community of production-consumption that give out the vital power of self, 3. paradigm shift reintegrated the mechanism of communication-mutual response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