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밥제조단계에서의 김밥 주원료에 대한 위해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박신영,최진원,연지혜,이민정,오덕환,홍종해,박경진,우건조,박종석,하상도,Park, Shin-Young,Choi, Jin-Won,Yeon, Ji-Hye,Lee, Min-Jeong,Oh, Deog-Hwan,Hong, Chong-Hae,Park, Gyung-Jin,Woo, Gun-Jo,Park, Jong-Seok,Ha, Sang-Do 한국식품과학회 200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경기남부지역의 일반음식점과 김밥전문음식점으로 나누어 제조단계에 있는 김밥과 김밥의 원료를 대상으로 하여 총호기성균 오염도 분석결과, 김, 단무지, 햄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전반적으로 $5-6 log_{10}CFU/g$ 수준으로 통계적인 유의 차는 없었다(p>0.05). 대장균군(coliforms)의 경우도 계란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일반음식점과 김밥전문음식점의 오염수준은 $4 log_{10}CFU/g$ 수준으로 유의차가 없었다(p>0.05). E. coli는 일반음식점에서 65% 검출빈도에 $0.7-2.6 log_{10}CFU/g$ 수준의 오염을 보여 8.33% 검출빈도에 $0.70 log_{10}CFU/g$수준의 오염을 보인 김밥전문음식점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S. aureus는 단무지를 제외한 모든 원료, 즉 밥, 김, 햄, 계란, 오이, 우엉, 당근, 게맛살에서 $0.21-5.88 log_{10}CFU/g$수준에서 20100%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일반음식점과 김밥전문음식점간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B. cereus는 김밥 중 17-20% 빈도에 $0.7-3.4 log_{10}CFU/g$수준의 오염을 보였으며, 일반음식점과 김밥 전문음식점간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L. monocytogenes는 모든 김밥과 원료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제조된 김밥과 그 원료에 대한 위생수준은 상당히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식중독균의 정량적 분석자료는 미생물위해평가(MRA)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s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of Kimbab and its main ingredients sampled from general and specialized restaurants were compared.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counts of Kimbab samples from both restaurant typ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showing approximately $4\;to\;6\;log_{10}CFU/g$. E. coli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imbab from general restaurants ($65%:\;0.7-2.6\;log_{10}CFU/g$) than those from specialized ones ($8.33%:\;0.70log_{10}CFU/g$), whereas those of S. aureus and B. cere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L. monocytogenes was not detected in all Kimbab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hygiene of Kimbab and its main ingredients are deleterious. Contamination levels of pathogens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used as primary data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 KCI등재

        프로덕트 라인 공학의 체계적 비즈니스 케이스 분석 기법

        박신영,김수동,Park Shin-Young,Kim Soo-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4

        프로덕트 라인 공학(Product Line Engineering, PLE)은 도메인의 멤버간에 공통적인 휘처를 핵심 자산으로 만들고, 만들어진 핵심 자산을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PLE 방법론을 사용해서 제품을 개발하면, 개발 비용은 감소시키고 재사용성은 증가시킬 수 있다. 핵심 자산의 재사용성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제품 계열 공학을 위한 비즈니스 케이스 분석이 요구된다. 제품 계열 공학의 핵심 자산 영역이 지나치게 광범위하면, 핵심 자산 개발 비용은 증가하지만 재사용성은 감소할 수 있는 반면, 핵심 자산의 영역이 지나치게 좁으면 핵심 자산을 개발하는 비용은 작지만 극히 일부의 멤버만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핵심 자산의 적용성은 감소된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덕트 라인을 적용하기 위해서 도메인을 분석한 후 비즈니스 케이스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세스의 각 활동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해서 PLE 방법을 적용해서 시스템을 개발 할 경우 최대의 이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핵심 자산의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LE에서 가변성은 중요한 개념일 뿐만 아니라, 핵심 자산 개발 비용에 영향을 마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케이스 분석을 위한 프로세스에 가변성을 상세한 수준으로 반영한다. 우리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면, PLE 방법론을 적용해서 핵심 자산을 만들고 시스템을 개발할 때, 최적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roduct Line Engineering (PLE) is an effective reuse methodology where common features among members are captured into core assets and applications are developed by reusing the core assets, reducing development cost while increasing productivity. To maximize benefits in developing systems, business case analysis for PLE is essential. If the scope for core assets is excessively broad, it will result in high cost of asset development while lowering reusability. On the other hand, if the scope is too narrow, it will result in a limited applicability which only support a small number of members in the domai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for business case analysis for PLE and for deciding economical analysis of core asset scope. Then, we define guidelines for each activity of the process. Since variability often occurs in PLE, we significantly treat the variability of features among members in detailed level. By applying our framework for business case analysis, one can develop core assets of which scope provide the most economical value with applying PLE.

      • 영국 지분형 주택 분양 제도-주택 보유 형태 다양화에 크게 기여

        박신영,Park, Sin-Yeong 한국주택협회 2008 주택과 사람들 Vol.214 No.-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제시한 지분형 주택 분양 제도에 대해 궁금해하는 수요자가 증가하고 있다. 서민에게 저렴한 가격에 집을 공급한다는 취지의 지분형 주택 분양 제도는 이미 영국에서 오래 전에 시행되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

        박신영,임선아,Park, Sin-Young,Lim, Sun-A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4

        The study on the used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 Based Survey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ffect the oral health with subjective depression experience of adolescent. The dependent variable included oral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symptom experien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subjective depression experienc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ffect the subjective depress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depression experience were tooth brush times(one day), tooth brush times after lunch and sealant experience among oral health behavior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depression experience were tooth break, pain, periodontal bleeding and bad breath among subjective symptoms. As a result, it appears to the depression experiences related to oral health factor, so it is consider psychological factor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구강건강행태와 자각증상경험으로 구분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주관적 우울경험으로 구성하였다.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요인으로 구강건강행태에서는 하루 칫솔질 횟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란트 유무는 주관적 우울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고, 자각증상경험에서는 치아 깨짐, 음식섭취 시 아픔, 잇몸출혈 유무, 구취 유무에서 주관적 우울이 없는 경우 보다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울과 구강건강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심리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융합연구

        박신영,임선아,Park, Sin-Young,Lim, Sun-A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1

        본 연구는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통해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따른 구강건강 증진행위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하루 칫솔질 횟수는 식생활 모두 유의하였고, 에너지음료, 식습관교육경험은 구강건강증진행위와 모두 유의하였으며, 구강보조위생용품은 과일, 채소의 섭취, 실런트 경험은 과일, 패스트푸드, 채소의 섭취, 스켈링 경험에서는 과일섭취,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는 과일,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채소의 섭취가 유의하였다. 구강증상에서는 외상은 과일,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통증과 출혈은 에너지음료, 패스트푸드, 채소섭취와 식습관교육경험, 구취는 과일, 에너지음료, 채소섭취와 유의하였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증상의 관리를 위해 식생활이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oral symptoms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of adolescents through the 15<sup>th</sup>(2019)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study, the number of tooth brush(day) was significant with all dietary life, caffeine and eating habit educa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 with all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use of oral health device was significant with fruit, vegetable, sealant experience was significant with fruit, fastfood, vegetable, scal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 with fruit and oral educat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 with fruit, soda, fastfood, vegetable. Toothbreak was significant fruit, soda, fastfood, pain and bleeding were significant with caffeine, fastfood, vegetable, eating habit education experence, bad breath was significant with fruit, caffeine, vegetable. Therefore, dietary lif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oral symptoms of adolescents.

      • KCI등재

        비만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증상경험 관련 요인

        박신영,Park, Sin-Young 한국치위생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with subjective oral symptoms experience of obesity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targeting 8,139 obesity adolescents and 55,601 non-Obesity adolescents who completed 2016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ependent variables were subjective oral symptoms experiences of fracture teeth, pain, throbbing pain, periodontal pain & bleeding, mucosal disease and bad breath.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ral health behaviors,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Results: Obesity adolescents were 12.8% with 61.9% subjective oral symptoms experience. Regarding the related factors of subjective oral symptoms experience of obesity adolescents, the factor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school (OR=1.72) compared to middle school, learning achievement was higher in middle (OR=1.09) and lower (OR=1.31) compared to high, economic status was higher in lower (OR=1.09) compared to high, sealant experience (OR=1.10) and scaling experiences (OR=1.12) responded no were higher compared to responded yes, smoking experiences responded yes(OR=1.08) were higher compared to responded no, sweet drink (OR=1.14) and fastfood (OR=1.13) consumption were higher in consumption compared to non-consumption and females (OR=0.46) were higher than males. Oral symptoms experience were lower that father and mother's level of education were under high school graduation (OR=0.86) compared to unknown, economic status was in case of middle (OR=0.93) compared to high, tooth brushing was lower in under 1 time (OR=0.76), 2 times (OR=0.61) compared to more than 3 times,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responded no (OR=0.75) were lower, compared to yes, vegetable consumption was lower in non-consumption (OR=0.68) compared to consumption. Conclusions: Subjective oral symptoms experiences were identified higher in obesity adolescents than non-obesity adolescents. It would be useful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educe oral symptoms and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obesity adolescents.

      • KCI등재

        Recent Progress in Conductive Polymer-based Membranes

        박신영,라즈쿠마 파텔,Park, Shinyoung,Patel, Rajkumar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2021 멤브레인 Vol.31 No.2

        깨끗한 물에 대한 수요는 우리 사회가 인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점점 더 진보되고 수준 높은 기술을 개발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현대 사회에 존재한다. 그러나 지구 기후 변화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더욱 극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폐수를 처리하거나 인체 건강에 해로운 박테리아, 미생물, 바이러스 및 기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고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폴리아닐린(PANI),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막은 잘 구축되어 있고 막의 특성과 성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합성막을 전류에 전도성 있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물질로 막을 도핑하거나 탄소 동소체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막 표면에 통합함으로써 기공 크기의 조정 가능성, 더 나은 방오성과 항균성을 허용함으로써 이러한 막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총설에서는 현대의 전기 전도성 막을 기존 막과 비교하고 전기장 하에서의 성능 향상과 물여과 및 폐수 처리 응용 분야에서의 잠재력에 대해 논의한다. The demand for clean water is virtually present in all modern human societies even as our society has developed increasingly more advanced and sophisticated technologies to improve human life. However, as global climate change begins to show more dramatic effects in many regions in the world, the demand for a cheap, effective way to treat wastewater or to remove harmful bacteria, microbes, viruses, and other solvents detrimental to human health has continued to remain present and remains as important as ever. Well-established synthetic membranes composed of polyaniline (PANI),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other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to gather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membrane, but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aking these synthetic membranes conductive to electrical current by doping the membrane with another material or incorporating conductive materials onto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uch as allotropes of carbon, have shown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se membranes by allowing the adjustability of pore size, improving antifouling and making the antibacterial property better. In this review, moder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ranes are compared to conventional membranes and their performance improvements under electric field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ir potential in water filtr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