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조성 신앙 재검토

        박수진(Park, SooJ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4 美術史學 Vol.- No.48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造四⾯佛像, 보물)>은 높이 약 3.3m의 자연암석 4면에 8구의 불·보살상이 부조, 환조, 선각의 기법으로 조각되어 있고, 그 크기 또한 다양하다. 특히 서면의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다른 3면에 비해 월등히 크고 강조되었고, 경덕왕대 아미타 관련 사료와 조상들이 집중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사면불상에서 아미타신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8세기 아미타신앙의 우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길 수 있는지, 불상의 서면은 왜 강조된 것처럼 크게 표현하였는지에 대해 특정 신앙의 유행이 아닌 불상이 조각된 자연암석의 공간과 배치라는 관점에서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각 존상들을 살펴보면 8세기 전반에서 중엽 조성된 상들과 양식을 공유하고 있어 조성시기는 719년 <감산사 아미타여래입상>, <감산사 미륵보살입상> 보다는 늦고, 751년 <석굴암> 본존상보다는 이른 8세기 전반으로 판단했다. 또한 8구의 존상들은 동시 계획 하에 조성된 것으로 조성 순서에는 큰 시기 차이는 없다고 여겨지는 데 이는 석주형 사면불상이 봉안된 전각에서 불상의 주위를 돌면서 예경하는 요잡의 공간과 관련된 것이다. 8세기 신라에서 아미타신앙과 함께 다양한 신앙이 전개된 만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에도 아미타신앙, 변화관음신앙, 약사신앙과 같이 여러 신앙의 대상이 표현되었다. 조각의 방법 및 크기가 다양한 이유는 자연암석의 생김새를 인위적으로 변형하지 않고 최대한 있는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산의 능선으로 인해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진입로는 서쪽으로 마련되었고, 산을 오른 예배자들은 가장 먼저 서면을 마주했을 것이다. 이러한 예배자의 시선, 자연암석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 조각가의 의도 등을 고려한다면 서면에 조성되는 불상은 다른 면보다 크게 조성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8세기 전반 유행하였던 다양한 신앙들의 총집합체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의도에 따른 결과로 서면이 강조된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해석했다.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慶州 掘佛寺址 ⽯造四⾯佛像, Treasure) is a 3.3-meter-high natural rock with eight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on four sides, carved in relief, Vollplastik, filigree techniques, and varying in size. In particular, th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n the west side is much larger and more pronounced than the other three sides. It is known to represent the Amitabha belief in Buddhas in four directions from the fact that discoveries of Amita-related texts and statues are concentrated in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whether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can be considered a work that shows the dominance of Amitabha belief in the 8th century and about the reason why the west side on the Buddha statues was emphasized as large as it w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and arrangement of the natural rock on which the Buddha statues were carved, rather than the prevalence of a particular belief. An examination of the statues of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reveals that they share a style with statues dating from the early to mid-eighth century, suggesting that they were constructed around the mid-eighth century, later than the standing stone Buddha of Gamsansa Temple and the Maitreya statue of Gamsansa Temple made in 719, and earlier tha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made in 751.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eight statues were created under a simultaneous pla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quence of creation. The statues are supposedly related to the space of the ceremony of walking and worshipping around Buddhas which are enshrined in a house for the stone-typ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s various faiths developed alongside Amitabha in Silla in the 8th century,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represented multiple faiths such as Amitabha, Avalokiteshvara Belief, and Bhaisajyaguru Belief. There are various carving methods and sizes because natural rock formations wer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rtificially altering them. Due to the mountain ridge’s shape, the approaching route to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was located to the west, and worshippers who walked up the mountain would have met the west side. It may have been from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of the worshippers and the sculptors intention to make the most of the natural rock that the statue on the west side was larger than the other sides.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therefore, can be seen as a synthesis of the various faiths in vogue around the middle of the eighth century. The seeming emphasis on the west side can be interpreted as a testament to the sculptor’s ingenuity in utilizing space efficiently.

      • KCI등재

        독거노인을 위한 구조·구급 ‘안심카드’및 ‘안심상자’개발의 필요성과 디자인 제안

        박수진(Park, Soojin),최윤정(Choi, Yunj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3

        연구배경 인구의 고령화는 노인의 건강과 안전문제에 관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노화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이 더해진 독거노인의 경우 위급상황 시 신속한 판단을 내리거나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해 생명의 피해로 이어지기 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급상황과 같이 독거노인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에 노인이 스스로 또는 구조, 구급 인력이 반드시 챙겨 나와야 할 필수품과 평소 행동수칙을 파악하고, 그것들을 보관, 식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참고문헌과 정부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여 국내 노인 및 독거노인의 건강실태와 취약성을 이해하고, 노인의 구조·구급 상황과 관련한 기존의 안전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독거노인 돌봄인력인 사회복지사, 생활지도사, 방문간호사 및 구조·구급대원과의 심층면담, 독거노인 복약습관 및 보관 행태에 대한 관찰조사, 그리고 복약안전을 위한 기존의 지원사업 사례조사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니즈와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도출한다. 이상의 자료와 조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 전략을 수립하고, ‘안심카드’와 ‘안심상자’를 개발한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적, 신체적 특수성과 사회적, 경제적 취약성을 고려한 개발 전략을 수립한다. 독거노인의 안전한 구조·구급을 위해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공감하는 실행 수칙을 수립하고 정보의 시각화를 통해 공유하며, 개인 건강정보를 기재할 수 있는‘안심카드’와 구급 시 필수적인 복용약과 보호자 연락에 필요한 핸드폰 및 작성된 ‘안심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안심상자’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결론 구조·구급 ‘안심카드’ 및 ‘안심상자’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위급상황에 특히 취약한 독거노인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데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울러 디자인을 통한 사회복지 문제해결 연구의 시도는 사회복지학과 디자인학의 융합연구라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둘 수 있다. Background The aging population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regarding health and safety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with economic difficulties and social isolation along with aging, it is likely to lead to life damage because they cannot make quick judgments or take proper measures in case of an emerg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cessities and usual rules of conduct that the elderly must bring out on their own, paramedics or rescue worker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determines the surviva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lso It suggests a way to store and identify essentials. Methods First, by referring to references and government statistical data, the current status and vulnerability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understood, and the existing safety system related to the rescue and emergency situation of the elderly is identified. It will then draw key elements necessary for the needs and development of stakehold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life instructors, visiting nurses and rescue and paramedics, observation surveys on medication habits and storage behavior. Based on the above data and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an implementation strategy is established, and a "safe card" and a "safe box" are developed. Result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that considers the cognitive and physical specificity and social and economic vulnerabiliti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e safe structure and first aid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mplementation rules that all stakeholders sympathize with are established and shared through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nd we propose the design of a "safe card" that can recor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 "safe box" that can store cell phones and written "safe cards" necessary for contacting guardians, and essential medications for emergency. Conclus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afe cards" and "safe boxes"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alleviating the damage to the elderly living alone, especially vulnerable to emergencies.In addition, the attempt to solve social welfare problems through design can be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convergence study between social welfare and design studies.

      • KCI등재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삼킴장애 위험실태와 관련인자

        박수진(Sooji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삼킴장애 위험군을 선별하여 위험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가운데 과반수(53.50%)가 삼킴장애 위험군으로 판정되었고 삼킴장애 위험점수는 평균 13.17점으로 국내외 선행연구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노인의 삼킴장애 위험도는 65~74세군보다 75세 이상군에서 높았고, 의치를 하는 경우와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삼킴장애 위험군과 비위험군에서 노인의 식품섭취 문제와 그에 따른 향후 섭취 문제 위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삼킴장애 위험군은 비위험군보다 식욕부진, 식사량 감소, 잦은 결식, 입맛이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향후 섭취 문제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재가노인의 삼킴장애 실태는 간과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향후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isk and prevalence of dysphagia as well as related factors among free-living elders. Subjects were 419 elderly men (116) and women (303) aged 65 years and older (74.49±4.70 y)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area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hi-square test. Prevalence of dysphagia was 53.50% among participants. Risk of dysphag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P<0.001), use of dentures (P<0.05),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05). Moreover, dysphagia risk group had significant food intake problems, including poor appetite, smaller portions to reach satiety, frequent meal skipping, as well as poor taste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ccompanied by high risk of weight loss as assessed by simplified nutritional appetite questionnaire (P<0.01). Taken together, risk of dysphagia was more prevalent in older people, affecting the majority of those living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This could indicate an association with undernutrition due to factors affecting food intake.

      • KCI등재후보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커뮤니티기반 기부 콘텐츠 개발

        박수진(Park, Sooj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1

        경제와 교육 수준의 향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회 참여활동에 관심을 갖게 한다. 그 중 기부활동은 초기 오프라인에서의 모금행사나 TV, 라디오, 신문 등의 대중매체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그 세력이 확장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 기부 프로그램들은 보편적으로 기부 홍보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웹 배너나 이벤트 창을 통한 기부 유도, 기부 커뮤니티를 통한 관심 그룹의 형성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잠재기부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고 한국적인 기부성향에 부합되는 콘텐츠 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기부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커뮤니티 기반의 기부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한국형 인맥 기반 커뮤니티인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미니홈피가 갖는 독특한 네트워킹 구조를 활용하여 일촌들에 의해 스스로 확산되는 기부 콘텐츠를 제안해 보았다. 제안된 싸이월드의 기부 아이템 ‘Wish Bottle’은 아이템의 구매와 함께 기부 활동이 시작되고, 홈피 주인은 물론 일촌들의 적극적인 관여 즉, 기부칭찬, 기부동참 등의 활동으로 마치 육성게임과 같이 지속적인 기부 유도가 가능해 진다.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의 사회적 활용에 관한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 기부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사회단체의 디자인 제안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The economic growth and higher education make people concerned about social activities. An act of donation as a social activity is made rapid progress from off-line donation campaign and th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to on-line environment. Usually the existing on-line donation programs are devoted to persuade people to donate through web banners and event windows and form the group of people with donation community. However we need more various researches to induce potential donators to active participation and work out of strategy which is coincide with Korean propensity to donation. This paper is for developing a community based donation content to establish and spread on-line donation culture in Korea. There is a proposal of donation content which is spread itself by ‘Ilchone,’ the closest members, using the unique network structure of ‘Minihompi’ on Cyworld that is typical Korean personal networking community. ‘Wish Bottle’, the donation item of Cyworld, starts to work for donation activity as people purchase the item. Not only the activities of Minihompi owner but also participation of Ilchones such as applause, joining donation can make this donation item grow continuously like an upbringing game. This study is a part of a series of researches about social availability of on-line networking. And It will be proposed as a content design for a social work organization which needs to develop a donation content.

      • 고신뢰도 통합항전시스템에 대한 추세 분석 및 인증에 대한 고찰

        박수진(SooJin Park),이재용(JaeYo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A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의 개발은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경험이 없는 분야이다. 국내에서는 군수용 항공기의 항법전자장치의 국산화 개발은 일부 추진되었으나, 민수용 항공기 분야에서는 전무하다. 세계 시장에서 민간 항공기의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을 국내에서 개발하고 시험, 인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비행/항법 등의 계기를 통합하는 항공전자 연구개발의 필요성, 세계적인 흐름과 핵심기술의 확보를 위하여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 개발에 관련한 국내/국외 기술수준 및 산업 동향,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항전시스템 인증의 필요성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