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자존감 변화 분석

        박수억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Using data from the SELS(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addressed changes in self-esteem of students over a three-year period from 10th to 12th grades and explored the influence of type of high school attended on initial self-esteem levels and changes in these leve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analysis methodology for individual growth model.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elf-esteem increase gradually during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 autonomous private and special purpose schools reported higher initial self-esteem, while those who attend vocational schools reported lower initial self-esteem, compared with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For rates of changes in self-esteem, however, students from autonomous private and special schools experienced a sharper decrease after controlling for academic achievement. It indicates that attending academically competitive schools may be negatively related to intraindividual self-esteem growth.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자존감이 성장 과정에서 변화하고 있다는 가정에서 시작한다. 자존감의 변화 궤적(change trajectories)이 진학한 학교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3년간의 학교생활을 거치면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사회적 비교 이론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고등학교 패널의 1∼3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다수준 분석을 통한 개인 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들의 평균적인 자존감은 조금씩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학초기의 자존감 수준에서 나타나는 개인간 차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 유형별 비교 결과에 따르면, 자사고와 특목고 재학생들의 초기 자존감 수준은 높았으나, 변화율에 있어서는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특성화고 학생들의 낮았던 초기 자존감은 고등학교 재학 동안 점점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자존감 변화율에서 자사고 재학생의 하락 경향은 학업성취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학업 경쟁이 치열한 학교에 재학하는 것이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 『전문계 고등학교 다양화·특성화 정책의 영향: 취업률과 진학률을 통해 본 전문계 고등학교의 분화』에 대한 토론

        박수억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5 No.-

        고등학교(교육)에 대한 교육학자들의 관심은 대학 진학을 염두에 두는 일반계 고등학교(이하 일반고)에 집중되어 왔다. 전문계 고등학교(이하 전문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이다. 이 연구는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전문고 체제의 변화에 관심을 두었다는 점만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문고의 분화 과정에 대한 탐색은 향후 중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에 대해 다양한 시 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교육기대의 변화에 대한 성별 차이 연구

        박수억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2

        Under an assumption that adolesc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change as they mature,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and how those changes a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background, experiences, and school factors. For those relationships, gender differences were explored as well. This study used the third and fifth waves from KYPS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indicating 10th and 12th grade, respectively, and utilized OL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ctations decreased from 10th to 12th grade. Socioeconomic backgroun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expectations. Specifically, students with a mother who has a high educational level or is a homemaker seemed to increase their earlier expectation level. For significant others, parents and peers had relatively higher effects than teachers on students’ changing expectations. Educational expectations of students who attended a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ignificantly cooled out. It was clear that there was gender gap for the effects of variables of interest on change in educational expectation.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were more affected by mother's educational level than father's level. The number of sibling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pectation level of female.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교육기대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성장함에 따라 변화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교육기대의 종단적 변화의 경향성을 확인하고, 기대의 변화가 개인배경, 경험특성, 학교요인들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탐색했다. 또한 관련요인들의 영향력에 있어서 남녀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2학년 패널들에 대한 3차(고등학교 1학년 시기)와 5차(고등학교 3학년 시기)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년들의 교육기대는 상승하기보다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회경제적 배경은 교육기대변화의 중요한 변인이었으며, 특히 어머니가 전업주부이거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들의 교육기대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 있는 타자들의 영향력 가운데, 부모와 친구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전문계 고등학교의 재학은 학생들의 교육기대를 유의미하게 냉각(cooling-out)시키는 경향이 강했다. 교육기대의 변화과정에서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에서 남녀간의 차이는 뚜렷했다. 특히 여학생들은 동성인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제자매가 많을수록 초기의 교육기대수준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 산업단지 폐열이용 실증분석 사례

        박수억,이덕기 대한설비공학회 2002 설비저널 Vol.31 No.5

        본고에서는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열의 에너지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폐열 활용에 대한 실증분석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가 불평등 수준과 청소년들의 교육 기대와의 관계에 대한 국가 간 비교

        박수억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0

        Adolescents’ higher education expectations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economic inequality in countries. This is because intention or idea for going to college is influenced by not only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social factors. Using PISA 2018 data, this study examined how different the proportion of 15-year-old adolescents expected to enroll in a four-year college depends on the country’s Gini coefficient. Results analyzed through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follows. First, the wider the income gap between the classe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ished to go on to a four-year university. Second,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educational expectations are more affected by the level of inequality in society than by the educational system. Third,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of female students and youths from immigrant families are more easily cooled-out in unequal countries. Based on theses results, I considered why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of young people in the unequal society are higher, and discussed ways to cultivate the educational ambitions of underprivileged youth and to realize their ambitions. 청소년들의 고등교육에 대한 기대는 국가의 경제적 불평등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다. 대학에 진학하려는 의도나 생각은 심리적 요인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PISA 2018 자료를 이용하여, OECD 국가의 15세 청소년들 가운데 4년제 대학에 진학하려는 비율이 국가의 지니계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다수준로짓회귀모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간 소득 격차가 심한 국가일수록 4년제 대학으로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 비율이 높았다. 둘째, 개인의 교육 기대는 교육체제보다는 사회의 불평등 수준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이나 이민가정 청소년들의 교육 기대는 불평등한 나라에서 더 쉽게 냉각(cooling-out)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한 사회에서 청소년의 교육 기대가 더 높은 이유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고,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교육적 야망을 함양하고, 그 야망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울 방안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