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 생균제 사용에 적합한 유산균주의 선발 및 면역활성 평가

        박수민,박호은,이완규,Park, Su-Min,Park, Ho-Eun,Lee, Wan-Kyu 대한수의학회 2015 大韓獸醫學會誌 Vol.5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dog intestine and identify potential probiotic strains for canine use. One hundred and one LAB were isolated from feces of 20 healthy dogs. Acid, bile, and heat resistance along with adherence to Caco-2 cel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were examined. To analyze immunomodulative effect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TNF-${\alpha}$, and IL-$1{\beta}$ was measured using RAW 264.7 macrophages. Additionally, RAW BLUE cells were used to evaluate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generation. Ultimately, three strains were selected as canine probiotics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reuteri L10, Enterococcus faecium S33, and Bifidobacterium longum B3 by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L10 and S33 strains showed tolerance to pH 2.5 for 2 h, 1.0% Oxgall for 2 h, and $60^{\circ}C$ for 5 min. These strains also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KCTC 1682,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and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 All three strains exerted better immunomodulatory effects than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a well-known commercial immunomodulatory strain, based on NO, NF-${\kappa}B$, IL-$1{\beta}$, and TNF-${\alpha}$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hree selected strains could serve as canine probiotics.

      • KCI등재

        배지의 종류와 부피가 절화 장미 ‘Red Sandra’와 ‘Little Marble’ 삽목시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종운(Jong Woon Jeong),김경희(Gyeong Hee Kim),황승재(Seung Jae Hwang),박수민(Su Min Park),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배지의 종류 및 부피가 절화 장미의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유리온실의 철재 베드에 높이 1.5m의 아치형 터널을 설치하고 습도유지를 위하여 fog(200sec./5min. or 100sec./5min) 가습하고, 삽목초기에 차광률 55%의 한랭사로 차광하였다. 실험재료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발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가지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또는 perlite와 peatmoss 1 : 1, perlite와 coir 1 : 1, perlite와 rockwool 1 : 1, rockwool과 peatmoss 1 : 1, rockwool과 coir 1 : 1, v/v)를 준비하여 삽목하였다. 발근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 및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를 각각 3가지 부피(3 × 3 × 3cm, 5 × 5 × 5cm, 7 × 7 × 7cm)에 삽목하였다. 배지의 종류를 달리한 실험은 두 품종 모두에서 Rockwool 1: Peatmoss 1 배지에서 발근과 생육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율과 모든 생육은 배지의 용적이 커질수록 좋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rooting and growth of rose cuttings as affected by medium composition and volume. Rosa hybrid a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were used as test plants. For medium composition test, rockwool,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peatmoss, coir and a commercial medium (Tosilee medium) were applied in single or mixed forms on the propagation bed with fog (200 sec./5 min.) installed to control the humidification time.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cuttings were planted in 16-cell plastic pots and 72-cell plug trays, respectively. For the medium volume test, 72-cell plug trays and 16-cell or 9-cell plastic pots were used. Cuttings with an uniform node with a five-leaflet leaf was soaked in a 500 ㎎ㆍL?¹ IBA solution for 30 sec. A fogging system installed on the propagation bed was used for (100 sec./5 min.). Rockwool 1 : peatmoss 1 (v/v) was the most effective on growth and rooting for both cultivars and high volume of Tosilee medium and rockwool were most effective media for both cultivars.

      • KCI등재

        배지의 종류와 부피가 절화 장미 ‘Red Sandra’와 ‘Little Marble’ 삽목시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종운(Jong Woon Jeong),김경희(Gyeong Hee Kim),황승재(Seung Jae Hwang),박수민(Su Min Park),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배지의 종류 및 부피가 절화 장미의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유리온실의 철재 베드에 높이 1.5m의 아치형 터널을 설치하고 습도유지를 위하여 fog(200sec./5min. or 100sec./5min) 가습하고, 삽목 초기에 차광률 55%의 한랭살 차광하였다. 실험재료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발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가지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eatmoss 1:1, perlite와 coir 1;1, perlite와 rockwool 1;1, rockwool과 peatmoss 1;1, rockwool과 coir 1;1, v/v)를 준비하여 삽목하였다. 발근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 및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를 각각 3가지 부피(3×3×3㎝, 5×5×5㎝, 7×7×7㎝)에 삽목하였다. 배지의 종류를 달리한 실험은 두 품종 모두에서 Rockwool l: Peatmoss l 배지에서 발근과 생육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배지의 부피에 따라 발근율과 모든 생육은 배지의 용적이 커질수록 좋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rooting and growth of rose cuttings as affected by medium composition and volume. Rosa hybrid a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were used as test plants. For medium composition test, rockwool,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peatmoss, coir and a commercial (Tosilee medium) were applied in single or mixed forms on the propagation bed with fog (200 sec./5 min.) installed to control the humidification time.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cuttings were planted in 16-cell plastic pots and 72-cell plug trays, respectively. For the medium volume test, 72-cell plug trays and 16-cell or 9-cell plastic pots were used. Cuttings with an uniform node with a five-leaflet leaf was soaked in a 500 ㎎ㆍ L ?¹ IBA solution for 30 sec. A fogging system installed on the propagation bed was used for (100 sec./5 min.) Rockwool l : peatmoss l (v/v) was the most effective on growth and rooting for both cultivars and high volume of Tosilee medium and rockwool were most effective media for both cultivars.

      • KCI등재

        온실 내 위치에 따른 온도 환경과 착색단고추 생육과의 관계

        박수민(Su-Min Park),김호철(Ho Cheol Kim),구양규(Yang Gyu Ku),김상욱(Sang Wook Kim),배종향(Jong Hyang Bae)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6

        본 연구는 착색단고추 재배온실 내의 위치에 따른 온도 환경 차이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지상부의 온도는 중앙부가 북측부보다 일평균 온도가 1.6℃ 정도 높게 측정되었으며, 근권부의 온도도 중앙부에서 2.2℃ 높았다. 착색단고추의 초장, 절간수, 경경 등은 온실 내 중앙부에서 북측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정식12주 후 초장은 중앙부에서 153cm/plant로 북측 127.2cm/plant보다 길었으며, 절간수는 2개 더 많았고, 경경 또한 1.5mm/plant 더 두꺼웠다. 또한 순광합성속도도 중앙부에서 북측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확된 상품과의 수량도 중앙에서 49.1개/5주로 북측의 40.5개/5주에 비해 20% 정도가 증대되었다. 온실 내 위치에 따른 온도 환경 차이는 착색단고추의 생육 및 광합성률에 영향을 주어 생산량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growing areas in the greenhouse on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responses and yield attributes of the ‘Cupra’ sweet pepper. Two growing areas of the greenhouse were as follows, central part area (CA) and north part area (NA). Daily average temperature of the CA was 1.6℃ higher than those of NA. Plant height, number of internode, and SPAD value in the C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A both six weeks and twelve weeks after planting. Net photosynthesis of the sweet pepper leaves of the C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A. The total fruit yield of the sweet pepper was 20% higher in plants grown for CA than that of 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ir temperature in the greenhouse influenc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net photosynthesis and total yield of sweet pepper whether pepper plants were grown as CA or as NA.

      • KCI등재

        국가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수민(Park, Su-Min),하윤주(Ha, Yun-Ju)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감염병 환자를 간호하는 국가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과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국가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184명의 설문지를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관련 특성,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국가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감염병 환자 간호업무 프로토콜 및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근무부서 등 직무 관련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감염병 환자 간호업무 수행과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preparation of intervention measures for preventing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burnout in nurses who work at nat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by elucidat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burnout.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6.0 program on questionnaires distributed 184 nurses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The results burnout of nurses in nat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were job stress(β=.38, p<.001), resilience(β =-.27, p<.001), position(general nurse)(β=.21, p<.001), work department(general ward)(β=.18, p=.002), social support(β =-.16, p=.007), and gender(female)(β=.13, p=.030), the explanatory power was 44.0%.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infectious disease patient nursing protocols an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s to decrease burnout of nurses in nat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 KCI등재

        VANET 프라이버시 보장 아키텍처 설계

        박수민 ( Su-min Park ),홍만표 ( Man-pyo Hong ),손태식 ( Tae-shik Shon ),곽진 ( Jin Kwa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6

        VANET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자동차의 속도, 위치, 교통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여 차량 안전 주행 확보 및 교통 체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ITS 구현의 핵심 기술이다. 이처럼 VANET 환경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성 증진과 효율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끊임없이 차량 간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주고받는 데이터에는 차량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만약 VANET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장 방안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식별 개인정보가 피해 받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공격자로부터 표적이 될 수 있으며, 정보의 오류 및 왜곡 등을 유발하여 생명과 재산에도 큰 피해를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통신 환경에서의 도청을 통한 프라이버시 정보 노출 및 공격자의 악의적인 위장 공격을 통한 정보 갈취 등의 위협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위협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VANET 프라이버시 보장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VANET is one of the most developed technologies many people have considered a technology for the next generation. It basically utilizes the wireless technology and it can be used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location and even traffic control. With sharing those information, VANET can offer Cooperative ITS which can make a solution for a variety of traffic issues. In this way, safety for drivers, efficiency and mobility can be increased with VANET but data between vehicles or between vehicle and infrastructure are included with private information. Therefore alternatives are necessary to secure privacy. If there is no alternative for privacy, it can not only cause some problems abo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also it allows attackers to get location tracking and makes a target. Besides, people`s lives or property can be dangerous because of sending wrong information or forgery.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be information stealing by attacker`s impersonation or private information exposure through eavesdropping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Privacy Assurance Architecture for VANET to ensure privacy from these threats.

      •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국내외 현황 및 주요 보안 표준화 동향

        박수민(Su-Min Park),곽진(Jin Kwak)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情報保護學會誌 Vol.25 No.5

        지능형 교통시스템은 기존 교통체계에 정보통신, 제어, 전자 등의 기술을 접목시킨 차세대 교통시스템으로써 단순히 빠르게 이동하는 환경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IT 기술과의 융합으로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보안 위협의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C-ITS에 대한 보안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국내외 현황 및 주요 보안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