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노동법상 근로자성 여부

        박소민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perations of the franchis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franchiser and franchisee are dependent and that the relations between franchiser and franchisee workers are dependent, too, although indirectly. However, even if the relations between franchiser and franchisee workers are dependent,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m may be different from the ‘subordinate labor relationship’ covered by the labor law. Some business types of the franchise show that the franchisees are organized into the franchiser to be dependent on the latter economically. However, the extent of such dependency differs depending on the business types of the franchise, while all the franchisees should not necessarily be protected by the labor law. In an interpretive view, the franchisees may be admitted as the workers specified by the labor law when their personal and economic dependency and the need of social protection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verall terms. First of all, in order to admit their status as workers in Labor Standards Act, users’ considerable command and supervision as well as the temporal and spacious restraint should be admitted in overall terms according to the judicial precedents. As long as the franchisees’ position as independent entrepreneur is not lost, their dependency on their franchiser cannot well be admitted despite their franchiser’s domination of them. However, in case the franchisees are operated like ‘sales people’ or ‘branch manager’, their economic independence may be deemed ‘not secured’, while their dependency is worsened, and then, they may well be regarded as the employees in Labor Standards Act. In contrast, since the recent judicial precedents tend to consider the economic and organizational dependency as important conditions for admitting the status of employees, while mitigating the criteria for dependency, it is more possible that the special type workers could be admitted as employees in th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Hence, such special type workers as ‘one-man franchisee’ or ‘non-store franchise’ may well be regarded as employee in th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judicial precedents. Here, the scope of dependency can be set limitedly with the criteria for the need of the social protection. 근로자의 개념은 노동법상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이다. 모든 노동관계법의 적용은 근로자임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고, 노동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됐을 때 비로소 당해 노동법의 보호를 향유할 수 있다. 종래 학계와 판례는 근로계약에서의 ‘종속성’에 착안하여 근로자를 보호하려는 논리를 전개해왔다. 구체적으로 판례법리는 개별법령에 규정된 정의규정에서 출발하는 외형을 갖추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종속관계를 기준으로 종속성에 대한 여러 핵심징표들을 창출하여 개별사례마다 이를 대입하여 근로자성을 판단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결국 노동법상 근로자성을 인정하는 것은 근로계약 등으로 형성된 종속관계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종래 종속노동론은 형식적 근로계약의 당사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종속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나 현대 사회의 복잡성에 따라 다양한 계약의 유형이 나타나면서 그 종속성의 범위도 함께 변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형식적인 고용계약관계가 없고 장소적인 구속성이 약하거나 지시된 일에 승낙 여부의 자유가 있는 등 인적 종속성이 희박한 근무방식을 하는 자에 대하여 어디까지 종속 노동론에 해당되고 근로자의 성격을 부과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로 제기된다. 현행법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근로자를 중심으로 노동법의 적용범위를 정하고 있기 때문에 ‘누가 근로자인가’하는 문제는 노동법의 기본이념인 사회적 보호필요성의 문제와 함께 제기된다. 해석론적인 입장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는 인적 종속성, 경제적 종속성, 사회적 보호필요성이라는 판단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노동법상 근로자성이 결정될 수 있다. 먼저 근기법상의 근로자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현행 판례법리상 사용자의 상당한 지휘·감독과 시간적·장소적 구속 등의 요건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가맹점주가 독립사업자로서의 성격을 상실하지 않는 한 가맹본부의 가맹점주에 대한 지배력에도 불구하고 사용종속성은 인정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가맹점주가 마치 가맹본사의 판매 영업사원이나 직영점주와 같이 운영되는 경우라면 가맹점주의 독립성이 거의 없거나 종속성만이 심화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근기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될 여지가 있다. 반면, 노조법상 근로자성의 문제는 최근 판례가 사용종속성의 기준을 완화시키는 한편, 경제적․조직적 종속성을 주요한 판단요소로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에게 노조법상 근로자 개념이 넓게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1인 가맹점주나 무점포 프랜차이즈처럼 사실상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형태와 같게 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에게 적용되는 현행 판례의 법리를 원용하여 가맹점주의 노조법상의 근로자성을 인정할 수 있다. 이때, 사회적 보호 필요성이라는 기준을 통해서 종속성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랜차이즈 종속관계를 노동법상 근로관계로 포섭하고 소모적인 논쟁을 피하기 위해 이들을 규율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노동관계법의 핵심적인 내용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서울시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박소민,양승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irbnb in Seoul by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Airbnb beds and the tourism behavior of foreign tourists. The GIS grid analysis and subway line accessibility analysis were applied with Dr. Tom Slee’s data and the Foreign Tourist Survey.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density areas were corresponded with popular tourist sites, such as Myeongdong, Dongdaemun Market, Gogung, Hongdae, Gangnam Station, and Itaewon. Second, the growing rate of Airbnb is high along the subway line six because the line has easy access to the airport subway line, Gyeonguiㆍ Jungang line, and also to the major tourist sites. Third, mapping a 30-minute walking range around subway stations of major tourist site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rate of Airbnb and the subway stations with high accessibility to tourist attrac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에어비앤비의 분포 및 밀도 분석을 통해 증가지역 및예상지역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외래관광객의 관광행태에 비추어 분석하는 것이다. Tom Slee 박사의 데이터와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GIS 및 지하철 노선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에어비앤비가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외래관광객이 주로 방문하는 명동, 동대문시장, 고궁, 홍대, 강남역, 이태원 등 주요관광지이다. 둘째, 공항철도,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를 이용하여 주요관광지에 편리하게 접근이 가능한 6호선 인근의 증가율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래관광객 주요방문지의 지하철역을 기준으로 30분 내 접근 가능한 지역에 대한 버퍼를 설정한 결과 에어비앤비의 증가율 상위지역과 관광지의 도달 용이성이 높은지하철역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암성 통증 관리 지침에 따른 완화병동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 적절성 평가

        박소민,한송이,유순호,이용화,이혜숙,오정미 한국병원약사회 2012 병원약사회지 Vol.29 No.3

        Pain that i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pain and its treatment is very important as it the one of most common symptoms in patients with canc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of the adequacy of pain control using opioid analgesics in palliative ward patients using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s. On a retrospective basis, we examined medication, information, and pain management in patients that had cancer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0; all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palliative war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in was assessed with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moderate-to-severe pain was defied as more than NRS level 4. In this review, 118 cancer patients experienced a total 2,417 events that were moderate-tosevere in pain, with a mean level NRS of 5.9. ‘Patients’mean age was 56.8 years; 56% of patients were men and, 44% of patients were women. The primary cancer diagnoses included lung, stomach, breast, and colorectal. The compatibility of use with opioid analgesics and the capacity was only 45% of the rate, since the rate of compatibility about reevaluation of pain is 13%, and the compliance rates of recommendation of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s remarkably appeared to be low, we also confirmed lack of pain relief.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alarming degree of undertreatment of pain in experienced by patients with cancer in Korea, and indicates the ne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ancerrelated pain. It is important to comply with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s towards the relief of cancer pain by doctors and to choose more effective opioid analgesics for each patient by a pharmacist.

      • KCI등재

        WTTC의 오버투어리즘 진단지표를 이용한 제주도 오버투어리즘 실증 연구

        박소민,양승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position overtourism level in Jeju Island by using the WTTC(World Travel and Tourism Council) overtourism index and to classify 59 cities named by the WTTC. The WTTC’s nine overtourism diagnostic indicators were adopted to identify Jeju Island’s overtourism level and 60 cities with all nine indicators. Jeju Island and 59 foreign c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tourism and tourist.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vertourism value of the Jeju Island was 3.89 and higher than the average of 59 cities provided by WTTC(2.93). Second, when all 60 cities including Jeju Island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convenience to local residents and to tourists and tourism, Jeju Island was found to belong to the top group. Third, Jeju Island is high score in the respect of tourist density, tourism intensity, negative Trip Advisor reviews, attraction concentration and historic site preva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여행 관광 협의회인 WTTC(World Travel & Tourism Council)의 오버투어리즘 진단지표를 활용하여 제주도의 오버투어리즘을 진단하고 WTTC에서 제공하는 59개의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를 분류하고 제주도를 포지셔닝 하는 것이다. WTTC의 9가지 오버투어리즘 진단지표를 활용하여 제주도의 오버투어리즘을 진단하고 지역주민의 불편과 관광객, 관광의 불편에 따라 제주도를 포함한 9가지 지표가 모두 다 있는 60개의 도시를 분류하여 다음과같은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WTTC의 오버투어리즘 진단지표의 9개의 항목에 따라제주도의 오버투어리즘을 진단하면 평균적으로 3.89의 값을 가지며 WTTC에서 제공하고 있는59개 도시의 평균인 2.93보다 높은 값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역주민의 불편과관광객, 관광의 두 카테고리로 제주도를 포함한 60개의 도시를 분류하였을 때 제주도는 가장상위 그룹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는 관광밀도, 관광강도, 트립어드바이저에서 부정적 후기, 관광명소, 역사유적지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