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계해체 특성의 캠퍼스 지하 공간 활용 연구

        박소라(Park, So-Ra),우성호(Woo, Sung-H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ness dismantling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 design of underground space of university campus. Today, the contemporary society changes into that of fast fluctuation and multipl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the various fields, and its institutional, conscious source and shape get diversified as well. And, as the extension and coexistence of them are realized, it is not regarded that the single value is absolut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different functions in kind gets more required as such phenomenon influences on the modern architecture and it appears as irregular and unhierarchical space going beyond the existing fixed rela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as the integrated space not performing the fragmentation into mutually-subsumptive space that contains diversified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ness dismantling was grasped with the complexity, uncertainty, interaction, multicentric nature and continuity of modern architecture that appear due to such tend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ness dismantling was taken as the phased study that suggests it as the basic tool of future space plan of underground university campus by extracting the relation with the design of underground university campus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 through the case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ecessity of underground university campus is highlighted as the solution for insufficient space due to the increase of students and diversification of accepting space by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s currentl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영상 미디어 기반 움직이는 오브제의 시간성에 관한 예술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박소라(Park, So Ra),전지윤(Chun, Ji Yo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현대의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디지털 미디어의 확대 보급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이 용이하게 만들며 엄청난 파급력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 침투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확산으로 예술 분야에서도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하여 이전과는 차별화 되는 표현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예술 분야는 디지털 카메라 출현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의 가능해 졌으며 이후 디지털 영상 미디어를 이용한 예술 작품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진화로 인한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발전 속도에 비하여 예술적표현 도구에 대한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법적 시도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오브제의 시간성”을 디지털 영상 미디어를 활용하여 시각적 표현 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다음과 같이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먼저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운동성과 시간성이라는 주제적 접근에 있어서 예술 사조에서 일어난 시각적 표현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탐구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오브제의 시간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품〈dynamic hour〉를 구현하였다. 작품〈dynamic hour〉는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특성을 이용한 작품 사례로 향후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시각적 표현 사례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wadays development of digital techniques promotes real-time generation of information through digital media, and brings unprecedented changes in our life. Driven by such digital image media, art field also seeks to implement expression methods set apart from before by using new media. In art field, in particular, artists now can express in various perspectives owing to the appearance of digital camera, and production of art works using digital image media is easier than ever before. Nevertheles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e media at lightning speed by evolution of digital techniques, there is still no attempts effective and diverse enough to seek for artistic expression tool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ystematic approach was done to express "the time nature of moving objet" visually with the use of digital image media. First of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 media were analyzed, and the method of visual expression of mobility and time nature that occurred in the art field was examined. In the last "dynamic hour" the work that expressed the time nature of a moving object was implemented based on such theoretic exploration. "dynamic hour" is a work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 media, and this work is anticipated to be utilized as a model case of visual expression using digital media later 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무독화한 옻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소라(So Ra Cheong),김란선(Ranseon Kim),유경(Yoo Kyoung Park),백성열(SeongYeol Baek),여수환(Soo-Hwan Yeo),이충환(Choong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된 쥐를 대상으로 10주간 옻식초를 급여하였을 때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옻식초는 무독화된 옻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후 아세트산 발효를 거쳐 제조하였으며, 흰쥐를 일반식이(normal chow diet)와 고지방식이(fat 60 %kcal) 섭취군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비만 유도를 한 후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일반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CON군, 고지방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OB-DW군, 고지방식이와 1% 아세트산을 음용한 OB-AA군, 고지방식이와 1% 옻식초를 음용한 OBRV군, 고지방식이와 0.1% 카페인 용액을 음용한 OB-CF군으로 나누어 총 10주 동안 해당 식이와 실험시료를 공급하였으며, 연구 종료 후 체중, 지방 무게, 지방구 크기 및 개수, 혈액과 간 조직의 지질 profile, 지방조직의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와 lipoprotein lipase(LPL)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B-DW군과 비교하여 OBRV군에서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심장동맥경화지수(CRI), LPL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혈중 유리지방산과 분변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비만 흰쥐에게 옻식초를 음용시켰을 때 혈청이나 간의 지질 함량을 개선시키고 지질 배설을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식품소재로서 비만을 일부 개선시키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1% Rhus verniciflua vinegar (RV) supplementation in high-fat-diet (60% fat)-induced obese rats. A total of 50 4-w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normal chow diet or maintained on high-fat diet (HFD) for 12 weeks to induce obesity and were then randomized into five groups as follows: normal diet+ultra-pure water (CON), HFD+ultra-pure water (OB-DW), HFD+1% acetic acid (OBAA), HFD+1% RV (OB-RV), and HFD+0.1% caffeine (OB-CF). AA was used as a control for RV, and caffein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due to its weight reducing effect. After 2 months, body weight, organ and adipose tissue weights, serum lipids, hepatic lipids, adipocyte size, and cell number per spot level were analyzed. As a result, food efficiency ratio, abdominal adipose tissue weight,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acylglycerol, free fatty acids, coronary artery index, and fecal lip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RV treatment group.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ietary RV improved obesity by increasing lipid excretion and reducing lipogen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V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anti-obesity food.

      • KCI등재

        모바일 AR 기반 카오스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박소라 ( Park So Ra ),최유주 ( Choi Yoo Joo ),전지윤 ( Ji Yoon Ch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현대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우리에게 손쉽게 수많은 정보를 실시간 전달할 수 있게 만드는데 이는 다변화된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 때문이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이와 같이 디지털 미디어의 보급의 확대를 통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하며 전달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엄청난 파급력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 침투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에게 전달되는 방대한 정보는 생활을 편리하게 영위하도록 만들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를 과잉된 정보로 인한 카오스(Chaos)에 빠지게 만들기도 한다. 카오스는 복잡해진 우리의 정신, 즉 현대인들의 정신적 상태로 대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실적 상태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카오스이론(Chaos Theory)의 특성을 기반으로 시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카오스이론의 특성을 분석하고 현대미술 작품에 대응하여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카오스이론은 이미 패션, 건축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미술 분야에서는 다관점 측면으로 보다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미술 작품을 카오스 이론에 적용하여 표현적 요소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작품 더 셀(The Cell)에 구현하여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작품 더 셀(The Cell)은 비평형성, 비선형성, 불안정성, 프랙탈과 같은 카오스이론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내포한 작품으로 정보의 홍수 속 혼돈된 감성 상태를 모바일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인간과 정보 데이터의 현실과 가상에 상태를 모바일 AR로 구현 및 분석하여 다변화되어가는 미디어를 예술적 표현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시도 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카오스 이론을 기초로 한 표현은 향후 카오스를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diffusion of diversified digital media, the modern digital technology has enabled us to transfer much information in real time easil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created and shared information based on the extensive diffusion of digital media, which led to easier transfer and touched the deepest part of our lives with enormous ripple effect in modern society. This had made our lives comfortable with huge amount of information, but sometimes led us to the chaos of excessive information. Chaos is represented as our complicated mind, in other words, the mind of modern people. This study attempted for visual present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chaos theory to express the emotion to the reality.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stics of chaos theory were analyzed, and corresponded to modern art works to investigate cases. Chaos theory is already applied to various genres such as fashion and architecture, but i needs to be applied further in the field of art.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contemporary art works to chaos theory to analyze expressionism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the case by applying on to < The Cell >. < The Cell > is a piece of work impl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chaos theory such as nonequilibrium, reversibility, l and fractal. Based on the chaos theory, it aimed to represent the chaotic status inside the flood of information by visualizing the AR(Augmented Reality) with visual expression elements, and utilizing the proper technology. This study attempted the methodology utilizing the diversified media as artistic expression tool based on mobile AR actualization and analysis to the real and virtual information data effectively. The expression based on chaos theory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methodology of visualizing the chaos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Amberlite에 고정화된 Lipase 제조 및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이용한 반응 특성 연구

        박소라(So Ra Park),이기택(Ki Teak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5종(AH, AK, AY, PS와 R)의 lipase들을 Amberlite XAD 7에 흡착법으로 고정화 시킨 후 각 immobilized lipase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고정화 전과 후의 단백질 함량 및 각 free lipase들과 immobilized lipase들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 반응물의 지방산과 TAG 조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immobilized lipase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reusability를 확인하였다. Free lipase의 단백질 함량은 2.22-11.41%로 AH가 가장 높았던 반면, immobilized lipase에서는 AH, PS와 AK가 mg protein/g support이 높았다. 한편, 반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카놀라유, PEE와 StEE를 기질로 하여 batch type interesterification을 진행하였을 때, free lipase의 경우 free lipase R을 제외한 다른 free lipase들은 반응시간이 1시간에서 72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총 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 free lipase AH가 반응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RP-HPLC를 통해 free lipase AK 반응물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카놀라유(0시간)에서 볼 수 있었던 57.49 area%의 OOO가 6.53 area%로 감소하였다. 이는 각 free lipase들이 PEE와 StEE를 효소적 반응에 이용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immobilized lipase AY와 R의 경우 반응시간이 1시간에서 48시간으로 증가하여도 카놀라유(0시간)의 총 포화지방산 함량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immobilized AK의 경우 48시간에서 38.3 area%의 포화지방산 함량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를 사용하여 continuous type으로 반응하였을 때 유속이 느릴수록 효소와 기질 사이의 접촉 시간이 길어져 반응물의 총 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Reusability는 immobilized AK, AH와 PS 모두에서 두 번째 반복 반응을 하였을 때, 첫 번째 반응보다 총 포화지방산이 120-196.5% 증가하였다. 그러나 bounding protein 함량이 가장 높았던 immobilized AK는 support에 흡착되었던 free lipase AK의 탈착이 일어나 2번째 반응 후부터 활성이 감소한 반면, immobilized AH와 PS는 활성이 비교적 유지되었다. Immobilized lipases were prepared by physical adsorption using lipase AK, AY, AH, PS and R on Amberlite<SUP>®</SUP>XAD<SUP>®</SUP>7 HP resin. With the immobilized lipases (10%), structured lipid was synthesized by enzymatic interesterification of canola oil, palmitic ethyl ester, and stearic ethyl ester in order to study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 lipase, the highest protein content was obtained from lipase AH (11.41%) before immobilization, while the highest levels of bound protein was observed from immobilized lipase AK (63.91%). Immobilized lipase AK had the highest interesterification activity (38.3%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Lipase AK was also used for a continuous reaction in which the slow flow of reactant resulted in increased reaction rate. Reusability of immobilized AK, AH and PS increased at the second reaction (120-196.5%). However, the activity of immobilized AK, which had the highest bound protein content (63.91%) decreased after the third reaction, while the activity of immobilized AH and PS was maintained until the sixth re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