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월악산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에 관한 연구 -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

        박성준(Seong-Joon Park),전용락(Yong-Lak Jeon),홍의정(Eui-Jung Hong),윤주창(Ju-Chang Yun),박서경(Seo-Kyoung Park),김병진(Byung-Jin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4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월악산 모니터링 조사 지점과 동일지구에 대해 정기적인 주 간조사를 통해 주간곤충류(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의 종목록을 확보 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태계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변화된 내용을 측정하여 곤충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조 사기간 동안 채집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65과 404종(노린재목 21과 86종, 딱정벌레목 38과 244종, 나비목 6과 74종) 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문헌조사를 포함한 결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멸종위기야 생동물 2종, 고유종 6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과 특정종 50종을 포함하여 총 72과 609종(딱정벌레목 44과 368 종, 노린재목 22과 126종, 나비목 6과 115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사지점별 분석결과 S3에서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10은 다른 조사지점과 다르게 종다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기간별 우점종으로는 2007년과 2009년도에 넉점박이송장벌레, 2008년도에는 더듬이긴노린재로 나타났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and at the same points as monitoring surveys, through regular surveys insects (Hemiptera, Coleoptera, Lepidoptera) to obtain the list, to measure and assess  Woraksan National Park ecosystem’s natural or artificial change, to provide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contents of insects. As a result of all the collections were examined, 404 species of 65 family under 3 order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of insect over each result from Woraksan National Park’s was a total of 3 orders,  72 families, 609 species including 2 Endangered species, 6 Endermic species, 10 Management of exotic species and 50 Designated species; 368 species of family Coleoptera which is the highest, 126 species of family Hemiptera and 115 species of family Lepidoptera. Site 3 had the highest indices diversity. In contrast, Site 10 indices diversity, different  from the other survey points, were significantly low. In each survey period, dominant species included Nicrophorus quadripunctatus in 2007 and 2009. In 2008, dominant species was Pachygrontha antennata.

      • 월악산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에 관한 연구 :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박성준(Seong-Joon Park),전용락(Yong-Lak Jeon),홍의정(Eui-Jung Hong),윤주창(Ju-Chang Yun),박서경(Seo-Kyoung Park),김병진(Byung-Jin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월악산 모니터링 조사 지점과 동일지구에 대해 정기적인 주간조사를 통해 주간곤충류(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의 종목록을 확보 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태계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변화된 내용을 측정하여 곤충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조사기간 동안 채집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65과 404종(노린재목 21과 86종, 딱정벌레목 38과 244종, 나비목 6과 74종)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문헌조사를 포함한 결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2종, 고유종 6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과 특정종 50종을 포함하여 총 72과 609종(딱정벌레목 44과 368종, 노린재목 22과 126종, 나비목 6과 115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사지점별 분석결과 S3에서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10은 다른 조사지점과 다르게 종다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기간별우점종으로는 2007년과 2009년도에 넉점박이송장벌레, 2008년도에는 더듬이긴노린재로 나타났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and at the same points as monitoring surveys, through regular surveys insects (Hemiptera, Coleoptera, Lepidoptera) to obtain the list, to measure and assess Woraksan National Park ecosystem’s natural or artificial change, to provide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contents of insects. As a result of all the collections were examined, 404 species of 65 family under 3 order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of insect over each result from Woraksan National Park’s was a total of 3 orders, 72 families, 609 species including 2 Endangered species, 6 Endermic species, 10 Management of exotic species and 50 Designated species; 368 species of family Coleoptera which is the highest, 126 species of family Hemiptera and 115 species of family Lepidoptera. Site 3 had the highest indices diversity. In contrast, Site 10 indices diversity, different from the other survey points, were significantly low. In each survey period, dominant species included Nicrophorus quadripunctatus in 2007 and 2009. In 2008, dominant species was Pachygrontha antennata.

      • SCOPUSKCI등재

        이온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난백에서 Lysozyme의 연속추출

        박성준,김현석,김현위,안태회,박기문,최춘언,Park, Seong-Joon,Kim, Hyeon-Seok,Kim, Hyean-Wee,Ahn, Tae-Hoe,Park, Ki-Moon,Choi, Chun-Un 한국식품과학회 199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2 No.6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Iysozyme을 난백으로부터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연속추출하였다. 사용된 수지는 지금까지 수율, 순도, 작동용이성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혀져 있는 Duolite C-464 양이온교환수지를 선택하여 $Na^+$형으로 $pH\;7.9{\pm}0.1$로 평형화하여 사용하였다. 조제용 자동 Liquid Chromatography(LC) system(column size ; i.d. 50 mm, bed volumn ; 1020 ml)에서 수지 평형화, 난백접촉, rinse, lysozyme용출 순으로 cycle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시행하고 그 재현성을 관찰하기 위해 각 cycle별 rinse끝점과 용출끝점의 UV level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rinse끝점은 19 cycle까지 30% 이하를 유지하였다. 용출 끝점은 17 cycle까지는 30%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18 cycle 이후 부터는 50% 이상으로 용출능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회수율 비교에서 17cycle까지는 90% 이상을 유지하다가 18cycle에서는 72%, 19 cycle에서는 65%로 격감하였다. 본 추출 정제 lysozyme은 전기영동상 단일 band로 나타났고, densitometer로 측정한 순도는 99% 이상이었다. Continuous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lysozyme from egg white was investigated. A weak acid type cation exchange resin, Duolite C-464, was used because of high lysozyme recovery and ease of column operation in this experiment. The resin was equilibrated at $pH\;7.9{\pm}0.1$ in Na+form. Continuous lysozyme separation was processed by repeating cycles(one cycle : resin equilibration, flow egg white, rinse, lysozyme elution) in automated preparative Liquid Chromatography(LC) system(column size ; i.d. 50 mm, resin bed volumn ; 1020 ml). At comparison of UV levels in rinse end point and elution end point of every cycle, the UV levels of rinse end point are maintained below 30% for 19 cycles and that of elution end point are also maintained below 30% for 17 cycles, stably, but was increased above 50% after 18 cycle. That indicated the eluting ability of lysozyme was reduced conspicuously after 18 cycle in continuous cycling process. The recovery of lysozyme was maintained above 90% from one to 17 cycle, but was decreased to 72% and 65% in 18 cycle and 19 cycle, respectively.

      • 음성 인식을 이용한 지능망 기반 일기예보 서비스 개발

        박성준,김재인,구명완,전주식,Park Sung-Joon,Kim Jae-In,Koo Myoung-Wan,Jhon Chu-Shik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1 No.-

        A weather forecast service with speech recognition is described. This service allows users to get the weather information of all the cities by saying the city names with just one phone call, which was not provided in the previous weather forecast service. Speech recognition is implemented in the intelligent peripheral (IP) of the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AIN). The AIN is a telephone network architecture that separates service logic from switching equipment, allowing new services to be added without having to redesign switches to support new services. Experiments in speech recognition show that the recognition accuracy is 90.06% for the general users' speech database. For the laboratory members' speech database, the accuracies are 95.04% and 93.81%, respectively in simulation and in the test on the developed system.

      • KCI등재

        터보코드의 복호화 기법

        박성준,Park Sung-Joo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4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terative decoding method of turbo code which computes the log-likelihood ratios at each MAP (maximum a posteriori) decoder in parallel in each iteration step and combines them with proper weights to produce better deci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decoding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for systems with limited number of iterations and low code rates.

      • KCI등재

        다양한 입자크기와 산성도를 지닌 MTT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촉매특성 연구

        박성준,장회구,조성준,Park, Sung Jun,Jang, Hoi-Gu,Cho, Sung June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4

        다양한 Si/Al 몰비를 지닌 MTT 제올라이트를 합성하여 methanol-to-olefin(MTO) 반응에서 촉매의 산성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i/Al 몰비를 조절하기 위해 N,N,N',N'-테트라메틸-1,3-디아미노프로판을 구조유도물질(SDA)로 사용하였으며, 알루민산나트륨의 함량을 달리하여 $20SiO_2$ : 30SDA : x (=0.25~1.25)$NaAlO_2$ : 2NaOH : $624H_2O$ 조성으로 모액을 제조한 후 433 K에서 4일 동안 수열 합성하였다. 알루민산나트륨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TT 제올라이트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산점의 양도 감소하였다. 제조한 MTT 제올라이트의 촉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673 K에서 공간속도(WHSV)가 $1.2h^{-1}$인 조건으로 MTO 반응을 수행한 결과, Si/Al 몰비가 24인 H-MTT (1.00Al) 촉매가 900분까지 90% 이상의 전환율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The influence of acidity in MTT zeolite of different Si/Al molar ratio's on the catalyst activity in methanol-to-olefin (MTO) reaction has been investigated. The Si/Al ratio was controlled with the Al content in the gel when N,N,N',N'-tetramethyl-1,3-diaminopropane was used as a structure directing agent (SDA). The gel composition was controlled to $20SiO_2$ : 30SDA : x (=0.25~1.25)$NaAlO_2$ : 2NaOH : $624H_2O$, which was subject to the hydrothermal synthesis at 433 K for 4 days. As the composition of sodium aluminate decreased, the particle size of MTT zeolite increased, and also the amount of acid sites decreased. To investigate the catalytic performance, MTO reaction was carried out at 673 K with $1.2h^{-1}$ WHSV. It was found that the H-MTT (1.00Al) catalyst with a Si/Al molar ratio of 24 maintained the methanol conversion over 90% for 900 min.

      • 분산연산 방식을 이용한 이산시간 Cellular 신경회로망의 하드웨어 구현

        박성준,임준호,채수익,Park, Sung-Jun,Lim, Joon-Ho,Chae, Soo-Ik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3 No.1

        본 논문에서는 이산시간 cellular 신경회로망(DTCNN)의 효율적인 디지털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DTCNN은 셀간의 연결 형태를 결정하는 템플릿(template)내에서 국소적이며 공간 불변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DTCNN의 특징과 분산연산 방식을 결합하여 간단한 하드웨어와 적은 연결선으로 DTCNN 하드웨어를 구현하였다. 또한 분산연산의 특징인 비트별 연산 방식을 사용하여 셀 간의 연결을 위한 넓은 버스 폭을 단일 비트로 줄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구조를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FPGA를 사용하여 가변적인 구조를 갖는 DTCNN 보드로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igital architecture for the discrete-time cellular neural networks (DTCNN's). DTCNN's have the locality and the translation invariance in the templates which determine the pattern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lls. Using distributed arithmetic (DA) and the characteristics of DTCNN, we propose a simple implementation of DTCNN. The bus width in the cell-to-cell interconnection is reduced to one bit because of DA's bitwise operation. We implemented the reconfigurable architecture of DTCNN using programmable FP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