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식량 위기론 :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 비교 분석-FAD와 FED 접근법 중심으로-

        박성열,한지만,정원희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이 글은 최근 제기되는 북한의 식량 위기론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FAD(Food Availability Decline; 식량가용량 감소)와 FED(Food Entitlement Decline: 식량획득력 감소) 이론을 활용하여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를 비교하였다. FAD는 식량의 가용량을 중시하나, FED는 식량 획득을 위한 분배체계와 시장의 식량 교환권 보장이 중요하다고 본다. 분석 결과 1990년대 대기근은 자연재해 등으로 FAD 관점의 식량 생산량 감소 탓도 있으나, FED 관점에서 배급 체계가 붕괴되고 시장에서 식량교환 획득체계가 작동하지 못한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대 식량 위기론은 대북 제재와 코로나19 봉쇄로 무역과 외부 도입이 급감하고 자연재해까지 발생해 공급량이 감소해 비롯된 것이나, 1990년대처럼 대기근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20년대가 1990년대와 다르게 국가기관과 기업소, 공장 및 협동농장, 국영농장의 공적분배체계(PDS)가 가동되고, 특히 시장의 식량교환 획득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북한 전역의 시장은 공급과 수요 논리가 작동하는 시스템으로 자리잡아 식량 부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봉쇄와 내부 통제가 장기화되면 위기론이 지속되고, 빈곤층·노약자 등 약자층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이 글은 정책적 시사점으로 단기적으로 FAD 관점의 가용량 부족에 대응해 남한 정부가 국제사회와 협조해 식량과 코로나 19 대응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FED 관점의 획득력 제고에 초점을 맞춰 북한의 농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술 지원이나 북한의 시장 및 경제적 제도개선 자문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에 대한 교사의 성별, 사용경험, 학교유형이 사용의도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차승봉,나현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의 변인들(자아효능감, 사회적규범, 시스템품질,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태도)이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과 관련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성별, 시스템 사용경험에 대한 교사의 사용의도 간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기초학력 관련 실무 담당 교사가 모집단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관련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이며, 이들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성별, 시스템 사용경험에 따라 t-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의 자아효능감, 사회적규범, 시스템품질,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태도, 사용의도 변인의 차이검증 결과, 남녀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교유형인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시스템의 사용경험 유무의 결과에서는 사회적 규범(t=-3.18, p=.00), 사용태도(t=-2.60, p=.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과 관련하여 교사의 사용의도 간 영향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지각된 유용성(β=.63, p=.00)과 사용태도(β=.21, p=.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사용에 대한 자아효능감, 사회적규범, 시스템품질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태도, 사용의도 변인 등은 평균으로 살펴보면 사용경험이 적을수록 높았다. 따라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교사에게 시스템 사용에 대한 자신감, 긍정적 인식, 유용성을 높이는 전략 마련이 시급하며, 사용경험이 없는 교사는 온라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홍보, 사용에 대한 기술적 숙련성을 높이는 방안, 나아가 활용도가 높은 교사를 선발하여 노하우 확산 등 정책적 지원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use of onlin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variables selected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i.e., self-efficacy, social norms, system quality,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Metho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using and controlling the system. Thereb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onlin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Several t-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system usage experience,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predict teacher s system usage experience.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in terms of self-efficacy, social norms, system quality,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On the other hand,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teacher s school type(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system’s use-experience, the social norms (t=-3.18, p=.00) and attitudes (t=-2.60, p=.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the effect of teachers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online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β=.63, p=.00) and attitude (β=.21, p=.0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Conclusion: Teachers self-efficacy, social norms, system quality,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the system for the online assesment and intervention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were found to be higher, who have no experience according to the mean scor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strategy to increase confidence, positive perception, and usefulness for teachers who have already used it. Teach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in using the system need to increase the technical proficiency in the use of the onlin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eek policy supports such as the selection of highly utilized teachers and use of their proliferation of know-how.

      • KCI등재후보

        위암 절제술 중 결장의 세침 흡입의 효과에 대한 무작위 전향적 연구

        박성열,김민찬,김기한,김정민,김성흔,최홍조,김영훈,조세헌,정갑중 대한외과학회 2003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65 No.3

        Purpose: Intraoperative colonic distension i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ileus, which contributes to a delayed hospital discharge. A randomized and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intraoperative needle decompression of the colon (IDC) during a radic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Methods: Fifty patients that had received subtotal or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non-decompression (n=27) or a decompression group (n=23). Prior to the main procedure, the transverse or right colon was pulled up, and a 19-gauge disposable needle connected to suction was introduced to the colon through the taenia site of the anterior wall. Any gas that collected in the colon was aspirated. The time to the first postoperative passage of flatus or feces was measured precisely in order to evaluate the restoration of bowel function. Additional measures of the outcome were the operation time, the complication rat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Demographic details, pathologic features, operation times, complication rates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 collapsed colon was required for good surgical exposure and easy manipulation. No unexpecte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were found. The average time to the first flatus was 6.8 hours sooner in the decompression group than in the non-decompression, although this result was not stati- 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technique is a simple and safe procedure for intraoperative colon decompression during a radical gastrectomy. (J Korean Surg Soc 2003;65:205-209)

      • KCI등재
      • KCI등재

        VEGF and Ki-67 Overexpression in Predicting Poor Overall Survival in Adenoid Cystic Carcinoma

        박성열,남수정,김범석,김태민,전윤경,이세훈,J-Hun Hah,권택근,김동완,성명훈,허대성,방영주 대한암학회 2016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8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and had available tissu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 slides were reviewe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FGFR) 2, FGFR3, c-kit, Myb proto-oncogene protei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bet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Ki-67 was perform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termination of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In univariate analyses, primary site of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 (p=0.022) and Ki-67 expression of more than 7% (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poor DFS. Regarding OS, perineural invasion (p=0.032), high expression of VEGF (p=0.033), and high expression of Ki-67 (p=0.007)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es, primary site of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 (p=0.028) and high expression of Ki-67 (p=0.004)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oor DFS, and high expression of VEGF (p=0.011) and Ki-67 (p=0.011) showed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poor OS. Conclusion High expression of VEGF and Ki-67 were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s for OS in ACC.

      • KCI등재

        북한의 상징정치: 김정은 시대 삼지연 중심으로

        박성열,정원희,한지만 통일연구원 2022 統一 政策 硏究 Vol.31 No.1

        In December 2019, North Korea promoted Samjiyon-gun, which has a population of only 30,000, to city status, and they announced that they had completed the third phase of construction of Samjiyon City in March 2022. Kim Jong-un has expressed a special interest in Samjiyon, where he has given field guidance on 12 occasions. What does it mean for North Korea to develop Samjiyon and concentrate its resources, despite difficulties in securing construction materials due to the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even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symbolism used to highlight the legitimacy of Kim Jong-un's political power and maintain the regime, and reviews it through analysis of DPRK-sourced primary data and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migrants. Symbolic politics is mainly used in totalitarian countries as a means of securing support that is difficult to obtain with normal and rational power management. Kim Jong-un seems to be emphasizing the 'Baekdu Bloodline' and Kim Il-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battlefield by highlighting Samjiyon, the site of Kim Jong-il's birthplace, in order to gain public support. In addi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homes and the modernization of cities, Samjiyon has become one of the ideal model cities for other socialist rural areas, which is widely promoted in connection with implementing political strategies for loving the People in the Kim Jong-un era. This is part of the political symbolism of North Korea, the idolization of political leaders, which works by the people accepting the symbolism inherent in the symbolic representations. However, there are greater difficulties to making this symbolism as effective as in the past due to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Given that the top priority of the North Korean elite is securing the regime, this work to generate political symbolism is expected to continue, and properly understanding this system of symbols is essential for studying North Korea. 북한은 2019년 12월 인구 3만의 양강도 삼지연군을 시로 승격시키고 2022년 3월 삼지연시 개발 3단계 건설공사를 완료하였다고 공표하였다. 김정은은 집권이후 12차례 삼지연 현지지도에 나서는 등 각별한 관심을 표명해 왔다. 대북 제재와 코로나 19 봉쇄로 경제난이 지속되고 건설자재 확보도 어려운 상황에서 삼지연을 개발하고 자원을 집중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본 연구는 이를 김정은 유일지배 권력의 정당성을 부각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정치적 상징화로 보고 북한의 1차 자료 분석과 탈북민 면접을 통해 이를 검토하였다. 상징정치는 주로 전체주의 국가에서 합리적‧정상적 권력 운용으로는 획득하기 어려운 지지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김정은은 백두산과 김일성의 항일혁명 전적지, 김정일 생가가 있는 삼지연을 부각함으로써 백두혈통의 세습권력 정당성을 강조하고, 인민대중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살림집 건설과 도시 현대화를 통해 이상적인 사회주의 농촌의 모범도시로 내세우며 인민대중 제일주의와 연계해 선전하고 있다. 북한의 정치적 상징화는 권력자 우상화이며, 이는 인민이 상징 매개에 내재된 상징성을 받아들임으로써 작동한다. 그러나, 상징화는 경제난과 새 세대 등장으로 예전처럼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권력층의 최우선 과제가 수령체제 완성임을 감안할 때 정치적 상징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상징체계를 온전히 이해하는 것이 북한을 들여다보는 선결 요인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