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드론을 이용한 영상콘텐츠 제작기법

        박성대,Park, Sung-D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3

        드론(dron)은 무인항공기(UVA : Unmanned Aerial Vehicle)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정하거나 사전에 프로그램으로 입력된 경로를 스스로 비행하는 비행물체를 의미한다. 처음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드론은 현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농업 산업을 비롯하여 여가활용, 물류 서비스, 인명 구조 분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 중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개발된 촬영용 드론은 현재 영화나 방송분야를 넘어 다양한 영상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촬영을 목적으로 하는 드론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드론의 비행이나 드론을 활용한 촬영기법에 대하여 다룬다. 특히 영상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사용되는 촬영용 드론의 운용에 대하여 살펴본 후 기존의 영상촬영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카메라 워킹을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논의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As unmanned aerial vehicle(UVA), drone means a flying object that could aviate the route entered by a program in advance or remotely-controlled when a pilot is not on board. Drone that has been initially developed for the military purpose is currently used for diverse areas such as agricultural industry, leisure activity, logistics service, and life-saving area. Out of these areas, the shooting drone equipped with a camera is actively used for diverse image contents production areas including film and broadcasting area.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rone for the purpose of shooting, and also handles the shooting techniques using drone. Especial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d discuss the methods to shoot diverse camera working used by the existing image shooting with the use of drone after examining the operation of shooting drone used for the image contents production area.

      • KCI등재

        위험 매트릭스(Risk Matrix)를 활용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위험지역 평가

        박성대,유대성 한국가금학회 2023 韓國家禽學會誌 Vol.50 No.1

        Over the last decade, avian influenza (AI) has been considered an emerging disease that would become the next pandemic, particularly in countries like South Korea, with continuous animal outbreaks. In this situation, risk assessment is highly needed to prevent and prepare for human infection with AI. Thus, we developed the risk assessment matrix for a high-risk area of human infection with AI in South Korea based on the notion that risk is the multiplication of hazards with vulnerability. This matrix consisted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poultry farms and the number of poultry-associated production facilities assumed as hazards of avian influenza and vulnerability,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HPAI in poultry farms at the 229-municipal level as the hazard axis of the matrix was predicted using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ith nationwide outbreaks data from 2003 to 2018. The two components of the matrix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us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nd multiplied, consequently producing the area-specific risk level of human infection. As a result, Naju-si, Jeongeup-si, and Namwon-si were categorized as high-risk areas for human infection with AI.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designing the policies for human infection to minimize socio-economic damages. AI인체감염증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있으므로, 사전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위험도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방역을 강화하고 사람, 동물, 환경 등 소관 부처 간 분산되어 있는 방역정책 및 관리를 원헬스 차원으로 협업․연계한다면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연계하여 AI인체감염증의 발생 위험지역을 평가하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AI인체감염증은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가금관련 산업 종사자가 가장 감염에 취약한 위험군이기 때문에, 위험 매트릭스는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평균 발생 건수와 감염에 취약한 가금 관련 축산시설 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 시․군․구별로 가금농장의 HPAI 평균 발생건수를 예측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 중 과대산포가 있는 가산자료를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시․군․구별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건수와 축산시설 수를 적용한 위험 매트릭스 분석 결과, AI인체감염증의 발생위험이 높아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전남 나주, 전북 정읍, 전북 남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I 인체감염증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는 가금농장의 저병원성AI 발생건수, 닭과 오리의 사육 밀도, 축산차량 등록 수로 확인되었다. 가금농장에서 저병원성AI가 1건 발생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1.687배 증가하고, 닭과 오리의 밀도가 1,000 두/km2 증가할 경우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각각 1.618배, 10.252배 증가하며, 축산차량의 경우 100대 증가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이 1.1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인체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HPAI의 발생주기인 2∼3년 간격으로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환경․동물․사람에 대하여 원 헬스(One Health)적 관점으로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관리한다면, AI인체감염증에 대한 방역정책 수립과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촬영용 드론 교육 방안

        박성대,한건영,Park, Sung-Dae,Han, Kun-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9

        군사용으로 개발된 드론(drone)은 관련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군사용을 벗어나 민간 영역에까지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현재 드론은 농업 분야를 비롯하여 무인 택배, 영상콘텐츠 제작, 건축 분야 등에서 드론의 사용이 활발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1년부터 드론 비행을 위한 드론 자격증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며 최대 이륙중량 2kg 이상의 드론 비행은 비행경력과 실기 시험이 요구된다. 그러나 2kg 미만의 드론은 비행경력이나 실기 시험이 필요 없이 온라인 교육 자격만으로도 운영할 수 있다. 최근 최대 이륙중량 2kg 미만의 촬영용 드론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급격히 증가하는 촬영용 드론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촬영용 드론 교육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A drone invented for the military has been increased the range of appli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echnology, and it influences to include the private area. Currently, the use of drone has been increasing in many areas, such as agriculture, unmanned parcel service, production of image contents, and architecture. In 2021, South of Korea, a drone certificate system for drone flight is introduced and on operation. In case of drone flight with the maximum takeoff weight as 2kg or up, the flight experience and practical examination are required, whereas in case of drone lighter than 2kg, the online education qualification is enough to operate it without the flight experience and practical examination. Recently, the drone related accident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rapidly supply of camera drones with the maximum takeoff weight as less than 2kg.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drone to meet burgeoning demand, and discusses an education plan for the camera dr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