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조 세공 제올라이트 Y가 코팅 된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

        박서현 ( Seo-hyun Pak ),박정훈 ( Jung Hoon Park ),박찬규 ( Chan-gyu Park ) 한국수처리학회(구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2021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9 No.2

        In this study, mesoporous-zeolite-Y-coated alumina hollow fiber membranes were prepared by optimizing the synthesis conditions and using commercial zeolite Y, CTAB, as the structure-directing agent and alumina hollow fiber membranes. The removal of heavy metals was investigated using these membranes. The synthesiz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with X-ray diffractio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 heavy metal adsorption activity of these membranes was investigated with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Batch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pabilities of the mesoporous-zeolite-Y-coated membranes in removing Mn (II) and Fe (II)fromaqueoussolutions.Nitrogen full isotherm analyses confirmed that the synthesized mesoporous adsorbents were homogenously mesoporo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soporous-zeolite-Y-coated membranes exhibited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that of the alumina hollow fiber membranes. After three runs of heavy metal adsorption, there was no drop in the activity of the prepared mesoporous-zeolite-Y-coated alumina hollow fiber membranes because they were easier to separate and more durable than the conventional powdered adsorbents.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서현(Park, Seo Hyu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anguage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through the lens of the four language components of LQH: alphabet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morphology, and vocabulary. Moreover,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roup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established three latent profile group models. Group 3, ‘Language Proficiency Group’, displayed relatively superior task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Group 2, ‘Language Mixed Proficiency Group’, showed distribution similar to the average with some deviation both below and above the average in certain domains, and Group 1, ‘Language Proficiency Subgroup’, featured below-average performance in all language tasks. The majority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ffectively demonstrated average language task performance, but also a below-average performance in elision, rapid naming tasks,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Notably, Group 1 had low achievements in all language tasks, and 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use of the potential profiles for exploring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LQH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 요인인 자모지식, 음운인식 및 처리, 형태론, 어휘력을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잠재집단유형을 구분하여 각 잠재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잠재집단 모형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모든 언어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던 ‘집단 3: 언어능력 우수집단’, 평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평균 이하 또는 평균 이상의 수행수준을 보인 ‘집단 2: 언어능력 혼합집단’, 모든 언어 과제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수행 능력을 보인 ‘집단 1: 언어능력 하위집단’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아동이 평균 수준의 언어 과제 수행능력을 보였지만, 초성탈락, 사물명명-속도,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서 평균 이하의 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 ‘언어능력 하위집단’의 경우 모든 언어과제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취학 전 아동의 언어능력 잠재집단유형과 언어 영역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하이데거에게서 시간성과 전회의 문제에 대한 고찰

        박서현(Seo Hyun Park)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7

        This paper shows how the problem of temporality (Zeitlichkeit) made the turning-around (Kehre) of Heidegger. The lecture On the Essence of Truth in 1930 is the point of Heidegger`s turning-around, which made Heidegger`s earlier thought into the historical thought of Being (das seinsgechichtliche Seinsdenken). The reason why Heidegger reached this turning-around is the metaphysic of subject which is far from the historical concealment of the Being itself. The problem of this metaphysic of subject found in early Heidegger thought is the problem of the understanding of Being of human beings (Dasein) based on the temporality of human beings, i.e., the subjectivity of subject. One of the tasks of early Heidegger is to ground the understanding of Being in the openness of the human being. This task is possible by the investigation of temporality, because early Heidegger thought that the temporality makes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Being.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emporality can not ground the historical a priori of the understanding of Being. This is the reason why Heidegger reached the turning-around of his thought.

      • KCI등재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가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박서현(Park, Seo-Hyun),강기수(Kang, Gi-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과 집행기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SKC에서 제공하는 4차년도(2011), 7차년도(2014), 8 차년도(2015)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 7, 8차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총 1,381명(남아 699명, 50.6%)의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집행기능의 상관관계 및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식습관 문제는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수면문제는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 만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내적요인들과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집행기능을 예측하고 개인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완화시키며, 규칙적이고 올바른 수면 및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during the childhood. an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s among them. Data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the 4th, 7th, and 8th wave of PSKC. The research focused on 1,381 young children(aged 84 to 92 month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th, 7th, and 8th wave of PSKC. The data were analyzed via SPSS 25.0 and Mplus 8.0 version. First of all, all the correlations among negative emotionality,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05. Using path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emotionality wa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via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Second, eating problem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via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Finally, sleeping problems were only 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s to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IPA 기법을 중심으로

        박서현(Seo Hyun Park),김신곤(Shin G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진로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아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관련 4개 대영역 및 7개 중영역, 총 34개 항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수준을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지속유지(강점항목), 우선지원(약점항목), 장기개선(저우선 순위) 그리고 이미 노력(불필요강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2019년 1월 9일부터 1월 2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부산 및 경남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0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인식 평균이 실행도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IPA matrix 결과, 지 속 유지 영역 1사분면(높은 중요도-높은 실행도)에는 대영역 『자기이해와 사회적 역량개발』, 중영역 「자기이해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다른 사람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나타났다. 우선 지원 영역 2사분면(높은 중요도-낮은 실행도)에는 대영역 『일과 직업세계 이해』가 나타났다. 장기 개선 영역 3사분면(높은 중요도-낮은 실행도)은 대영역 『진로탐색』과 『진로디자인과 준비』, 중영역 「일과 직업에 대한 인식」, 「직업정보의 탐색」과 「의사결정의 중요성 인식」, 「계획과 실천의 중요성 인식」이 나타났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4개 대영역 및 7개 중영역, 총 34개 항목 모두 중요하게 인식되고 교육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유아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 및 교수전략 개발과 이에 대한 연수 등을 통해서 현장에서 유아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young children’s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sig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areer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our large areas included seven sub-areas and total 34 items related to the goals and contents of young children’ career education using IPA matrix. 105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ired sample t-test and IPA matrix. From the result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career education to be higher, but relatively lower in performance. The differences in all four large areas of young children’s career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first quadrant of IPA matrix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dicating “Keep up the good work.” had『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apacity development』and the second quadrant, meaning “concentrate here” did 『understanding work and job worlds』. The third quadrant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meaning “low priority,” displayed『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It seems that all four large areas, including seven sub-areas and total 34 items should be recognized as importance and applied on the filed of education. Thus, specific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ing materials and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ovided.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s to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Polydopamine (PDA)-TiO₂ 코팅 유리섬유 직물을 이용한 VOCs의 저감 성능 및 항균성 연구

        박서현(Seo-Hyun Park),최예인(Yein Choi),이홍주(Hong Joo Lee),박찬규(Chan-gyu Park) 한국환경보건학회 2021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7 No.6

        Background: Indoor air pollutants are caused by a number of factors, such as coming in from the outside or being generated by internal activities. Typical indoor air pollutants include nitroge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from household items such as heating applianc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building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carbon dioxide from human breathing and bacteria from speaking, coughing, and sneezing. Objectives: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results, most indoor air pollution is known to be greatly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burning (biomass for cooking) and various pollutants. These pollutants can have a fatal effect on the human body due to a lack of ventilation facilities. Methods: We fabricated a polydopamine (PDA) layer with Ti substrates as a coating on supported glass fiber fabric to enhance its photo-activity. The PDA layer with TiO2 was covalently attached to glass fiber fabric using the drop-casting method. The roughness and functional groups of the surface of the Ti substrate/PDA coated glass fiber fabric were verified through infrared imaging microscopy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obtained hybrid Ti substrate/PDA coated glass fiber fabric was investigated for photocatalytic activity by the removal of ammonia and an epidermal Staphylococcus aureus reduction test with lamp (250 nm, 405 nm wavelength) at 24°C. Results: Antibacterial properties were found to reduce epidermal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Ti substrate/ PDA coated glass fiber fabric under 405 nm after three hours. In addition, the Ti substrate/PDA coated glass fiber fabric of VOC reduction rate for ammonia was 50% under 405 nm after 30 min. Conclusions: An electron-hole pair due to photoexcitation is generated in the PDA layer and transferred to the conduction band of TiO₂. This generates a superoxide radical that degrades ammonia and removes epidermal Staphylococcus aureus.

      • KCI등재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에 대하여

        박서현(Seo-Hyun Park) 한국철학회 2009 철학 Vol.0 No.101

        기존의 해석학에서 해석학적 순환 개념을 텍스트를 해석할 때 부분과 전체 사이에 순환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하이데거는 해석학적 순환을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 속에 위치지운다. 현존재의 자기이해의 수행 과정에서 작용하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은 이미 항상 세계에로 초월해 있는 초월자로서의 현존재가 세계내부적 존재자들과 지향적으로 관계를 맺으면서 실존한다는 사실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은 현존재의 초월과 지향성을 주제적으로 검토할 경우에만 그 전모가 드러날 수 있다. 세계에로의 초월과 지향성으로 구성되는 현존재의 존재구조로부터 존재이해가 발생하는 과정 속에 놓여있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은, 세계이해-세계내부적 존재자의 존재이해-존재자에 대한 해석이라는 이중의 순환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이중의 순환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현존재의 고유한 가능성에 근거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세계이해이다. 그리고 이 자기이해로서의 세계이해가 바로 기존 해석학의 해석학적 순환과는 다른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의 고유함이다. Heideggerian hermeneutic circle makes the hermeneutic circle of previous hermeneutists such as Schleiermacher and Dilthey an ontological one. The previous hermeneutists use the term "hermeneutic circle" to show the fact that in understaning the text there are circles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But Heidegger uses the term "hermeneutic circle" to show the circular structure of a human being's factual life. Therefore, this Heideggerian hermeneutic circle is located in the facticity (Fakitizitat) of the life of a human being (Dasein); for example, the human being always already transcends to the world and relates to the innerworldly being intentionally. So the whole aspect of the Heideggerian hermeneutic circle can be clarified only when the transcendence and the intentionality of a human being become clear. To sum up, the two fold circle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 the understanding of the Being (Sein) of the innerworldy being (Seiende) - the interpretation of the innerworldy being, constitute the Heideggerian hermeneutic circle.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se two fold circles i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is based on the human being's own possibility. So t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relates to the human being's possibility is what makes the Heideggerian hermeneutic circl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former hermeneutists.

      • KCI등재후보

        반사회적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 효과

        박서현 ( Seo Hyun Park ),채규만 ( Kyu Man Cha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2

        본 연구는 반사회적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성인 609명을 대상으로 반사회성 척도, 공격성 척도, 초기 부적응 도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반사회성과 초기 부적응 도식은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체 집단을 분석한 결과, 초기부적응 도식은 반사회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매개한 도식은 불신, 특권의식, 유기, 위험, 고립, 부족한 자기 통제, 정서적 억제, 결함, 융합, 엄격한 기준, 의존, 정서적 결핍, 복종, 실패 순이었다. 셋째, 성별로 검증해 본 결과, 남성 집단에 매개한 도식은 불신, 특권의식 다음으로 설명량이 큰 것이 고립 도식이었으며 남성 집단에서만 정서적 결핍, 복종, 실패 도식이 나타났다. 여성 집단은 위험 도식이 가장 큰 설명량을 보였고, 남성 집단과 달리 엄격한 기준 도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초기 부적응 도식을 파악하여 심리 치료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and aggression. A total of 609 participants filled out the MMPI-2 Psychopathic Deviate scale, the Aggression Question-Korean version, and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antisocial personali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Additionally,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and aggression. For male participants, schemas regarding mistrust, entitlement, and social isolation accounted for the variance in aggression the most, whereas schema regarding harm was the case. The findings imply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 should be a variable to consider, especially in designing a program whose main purpose is to reduce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