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산재사망의 관례화에서 범죄화로 -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 과정을 중심으로

        박상은 비판사회학회 2024 경제와 사회 Vol.0 No.142

        중대재해처벌법은 제정 3년이 지난 지금도 논란의 한가운데에 있다. 안전보건의무를 위반한 경영책임자를 상대로 엄벌을 촉구하는 노동안전보건운동의 모습은 이들이 처벌의 효과를 과대평가하고 다른 예방책이나 구조적 해결방안은 도외시한다는 인상을 강화한다. 그러나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을 사회운동이 처벌을 통한 사후 예방책을 최우선한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논문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과 노동안전보건운동의 주요 요구를 교차해 보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논한다. 첫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은 처벌법 제정이 제한적 역할만을 할 수 있으며 예방정책을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처벌 그 자체보다 규제 준수의 매개로서 범죄화를 요구했다. 둘째,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운동 과정 내내 노동자 권한 강화를 통해 안전보건규제를 작동시키려는 다양한 시도 역시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는 세월호 참사나 구의역 사고 등 중대재해 사건을 거치면서도 유지되었다. 셋째,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 등 제도적 성과가 후퇴할 전망 속에서 범죄화 요구는 강화되었으며, 경영책임자 처벌과 동시에 기업의 조직적 책임을 물으려는 사회운동의 의도는 국회 협상 과정에서 약화되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노동자 참여 등 민주적 규제 기반이 취약한 한국에서 오랜 저규제 상태를 극복하고자 한 노동안전보건 운동의 제한된 선택지였다. Three years after its enactment,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remains controversial. The OHS movement calls for severe penalties against management who violate their obligations. This reinforces the impression that the movement overestimates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and neglects other preventive measures. However,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s not the result of social movements prioritizing reactive prevention through punish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reasons for this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emphasized that punitive legislation can only play a limited role and cannot replace preventive policies, and called for criminalization as a means of compliance rather than punishment per se. Second, throughout the movement, various attempts to mak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work through worker empowerment were simultaneously underway. This was maintained even after major disasters such as the Sewol ferry tragedy and the Guui Station accident. Third, calls for criminalization intensified as the movement’s gains were expected to be rolled back, and the movement’s intention to hold corporations accountable was weakened during the parliamentary negotiations. Criminalization was a limited option for the OHS movement to overcome a long history of under-regulation in South Korea, which has a weak democratic regulatory base.

      • KCI등재

        청소년의 금융이해력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탐색

        박상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financial literacy(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 shortened version of International Network on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survey for adults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70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knowledge and attitude scores were low, whereas behavior score was high. It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an OECD INFE’s survey on adults. Second,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low financial literacy group, high financial literacy group and high behavior group with low knowledge and attitude. This finding suggests the need of individualized and group-specific financial education for adolescents. Third, the low financial literacy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financial fraud awareness. However, financial fraud awareness between the other two group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is suggests that for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education the focus should be on the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s.

      • KCI등재

        노래굿 「공장의 불빛」의 문화사적 의미 연구 ― 문화운동 1세대의 특수성과 공연성을 중심으로

        박상은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3

        「공장의 불빛」공연 녹화본이 보여주는 현대성은 당대 진보적인 연행적 생산물들의 생산 주체였던 대학생 집단의 위치적 특수성과 이들이 ‘민족’과 ‘민중’으로 대변된 사회의 민주화된 사유들을 전유하고 현장과의 만남을 시도한다는 것이 발생시켰던 다층적인 문화적 의미들을 다시 사유하게 해준다. 이에 본고는 「공장의 불빛」을1970년대를 중심으로 한 문화운동의 맥락 위에서 살피면서 그 속에 나타난 문화운동1세대의 특수성과 공연 녹화본이 보여주는 모던한 공연 형식의 의미를 논구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 「공장의 불빛」의 창작자인 김민기와 녹화본 공연의 연출 및 안무를 담당한 채희완을 중심으로 한 문화운동 1세대가 탄생하는 장면을 재조명하면서 그들의 특수성이 예술적 기량과 민중 지향성 사이에서 만들어 지고 있음을 분석한다. 김지하와의 만남 속에 이루어진 문화운동 1세대의 민중적 지향은 이후 그들의 활동에서 일종의 강박과도 같이 작용한다. 특히 이 과정 속에서 초창기 문화운동에서 분명한 존재감을 드러냈던 전문적인 기량과 예술적 자질들이 이후의 작업 속에는 당사자들에 의해 ‘민중’으로 대표되는 사회 참여와 이념의 문제에 대한 강조에 가려진다. 이후 3장에서는 1978년 공연 녹화본에 나타난 연극성의 지표들을 동작과 소리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것이 동시기 전위적인 공연들이 지향하고자 한 현대성과 비교하여 예술사적 위치를 재조명한다. 공장의 불빛」공연 녹화본은 특별한 무대 장치와 대사가 없이 노래에 맞춘 배우들의 춤과 마임이라는 비언어적인 표현 양식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녹화본의 동작은 심리적인 상태를 형상화하거나 기계화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춤과 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특정 행동을 과장하고 왜곡하는 표현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이를 통해 연극성을 높이고, 비인간적인 노동환경을 극대화시켜 보여준다. 「공장의 불빛」에서 배우들의 몸짓을 통해 구현되는 연극성은 서구의 현대 무용들이 추구하고자 한 현대성의 지표와 당대 드라마센터 출신 연출가들의 행로와도 겹치며 이 공통성은 둘 사이의 거리가 반드시 ‘예술적으로’ 반대의 입장에 있었던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공장의 불빛」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대학에서 출발한, 연행예술을 중심으로 한 문화운동의 생산물들에 나타난 아비투스의 연속성과 흔들림이 지닌 다층적인 문화적 의미에 접근한다. 음원과 공연 녹화본이 보여주는 형식적 현대성은 민중을 ‘향한’ 실천 속에 그들이 의식하지 못했음에도 계층/계급적 차이에 기반한 아비투스들이 존속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채희완의 탈춤과 임진택의 연극적 기량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970년대 문화운동의 연행적 성과에서 대학이라는 학습자본과 예술적 기량이라는 문화자본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공장의 불빛」의원 작자인 김민기가 카세트테이프라는 매체를 선택한 것, 그리고 국악의 기법으로 만들어진 <두어라 가자>가 노동자들의 공연에서 차용되는 과정은 문화운동 주체들의 예술적 기량의 문제가 현장적 전환, 실질적인 노-학의 ‘만남’을 통해 특히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공장의 불빛」이라는 하나의 문화적 생산물은 대‘학’생 출신 창작자와 ‘노’동자들의 아비투스의 차이가 서로를 매혹하고 변화시 ... The video-recorded theatrical performance of Kim Min-ki’s 1978 musical play Lights of a Factory demonstrates such modernity that enables us to revisit the unique 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back then as producers of progressive-minded folk performances, while also guiding us through the multiple layers of cultural meaning arising from the students’ role as the bastion of democratic discourses represented by the concepts “nation“and “people“ and their attempt to engage with the people on the ground in a society that was still languishing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is light,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activism, a trend especially prominent in the 1970s, I explore the uniqueness of first-generation cultural activists and the meaning of the modern format in the recorded performance. I begin Chapter II by revisiting the emergence of first-generation cultural activists, for which Kim Min-ki, the author of Lights of a Factory, and Chae Hee-wan, who directed the play and oversaw its choreography, played a leading role.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the two figures’artistic prowess and orientation towards the people situate them in a unique position. The people-focused mind set among the first-generation cultural activists, formulated through Kim and Chae’s meetings with Kim Jiha, became something of an obsession in the former two figures’ future activities. As aresult of this process, their professional capacities and artistic talent, once clearly manifest at the initial stages of cultural activism, were over shadowed by their emphasis on socialengagement and ideology, as represented by the focus on the people, in their later works. Then, in Chapter III, I examine the indices of theatrical qualities in the video-recorded performance from 1978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motions and sound and simultaneously cast renewed spotlight on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 by comparing its modern qualities with the modernity that contemporary avant-garde plays were aiming for. The video-recorded version of Lights of a Factory solely features non-verbal modes of expression, i.e., actors and actresses’ dances and mime along with songs, without any special stage devices or spoken lines. In particular, the motions in the recorded performance consist of dances and mime that represent a psychological state or illustrate a mechanized human being, there by demonstrating expressionist characteristics that exaggerate and distort specific actions. This enhances the theatrical quality and maximizes the impression of the inhumane labor environment on spectators. The theatrical qualities, expressed through actors’gestures in Lights of a Factory, overlaps with the indices of modernity pursued by Western modern choreography as well as the career paths of the directors hailing from the then Drama Center. These commonalities demonstrate that the theatrical qualities of Lights of a Factory are not necessarily contrary to what the directors of the Drama Center pursued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Finally, in Chapter IV, I explore through Lights of a Factory the multi-layered cultural meaning in the continuity and undermining of habitus shown in the products of cultural activism, the movement that began from university campuses with the focus o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ts formal modernity as displayed in sound-recorded and video-recorded versions demonstrates the continued presence of habitu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classes, albeit inadvertently, despite the artists’ practical orientation towards the people. As we can see in Chae Hee-wan’s mask dances and Lim Jin-taek’stheatrical prowess, the academic capital in the form of universities and cultural capital called artistic prowes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achievements of the 1970s’ cultural activism in folk performances. Kim Min-ki, the original author of Lights of a Factory, chose the cassette tape as a medium to distr...

      • KCI등재후보

        뇌졸중환자의 정구성정색소성 빈혈에 대한 사육탕가미방의 임상적 효과

        박상은,홍수현,장자원,송수진,홍상훈,서상호,Park, Sang-Eun,Hong, Su-Hyun,Jang, Ja-Won,Song, Su-Jin,Hong, Sang-Hoon,Seo, Sang-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6 No.4

        Objective :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ses in clinics of all types of morphological Anemia.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ignificant curative effects of Sayuktanggami-bang on Cerebral vascular accident(CVA) patients with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Methods : For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ayuktanggami(四六湯加味方),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9 cases prescribed Sayuktanggami-bang, Group B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cases prescribed other herbs. Before presciption, They were tested for CBC, AST, ALT, Total protein, Cholesterol, TG, HDL, BUN, Creatinine, Uric acid, Na, K, Cl while fasting, then were given the herbs over two weeks. They were checked again for changes over those two weeks. Results : In cases of group 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BC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recognizable : RBC(p<0.01), Hb(p<0.01), Hct(p<0.01). In comparing CBC chang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which developed cerebral infarction group, a type of CVA, the significance of curative effects in group A is recognizable over group B before and after treatment : RBC(p<0.01), Hb(p<0.01), Hct(p<0.05). Cytotoxic reaction was nonexistant.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ayuktanggami-bang has curative effects for CVA patients with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 KCI등재후보

        한방적 치료 접근을 통한 Evans 증후군 치험 1례

        박상은,최인선,장자원,홍상훈,서상호,Park, Sang-Eun,Choi, In-Sun,Jang, Ja-Won,Hong, Sang-Hoon,Seo, Sang-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5 No.3

        Evans syndrome, as originally described, refers to autoimmune hemolytic anemia accompanied by thrombocytopenia. The autoantibodies in Evans syndrome are directed specifically against red cells, platelets, or neutrophils and are not crossreacting. The incidence of autoimmune hemolytic anemia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 cases per million people. Many patients have associated disorders, such as lupus erythematosus and other autoimmune disease, chronic lymphadenopathy, or hypogammaglobulinemia. In Oriental Medicine, the approach to Evans syndrome is made in view of deficiency of blood. The ailment was treated through methods of Oriental Medicine. Acupucture and herbal medicine were administered to patients diagnosed with Evans Syndrome by ecchymosis at the lower limb after continued gingival bleeding. As a result significant improvement in RBC, Hb, Hct, and PLT were observed and complaints abated.

      • KCI등재

        경제에 대한 관심도와 경제 이해력이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상은,노현종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est in economy, economic literac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of korean adult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mong the interest in economy, the economic literacy and sub-areas, and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interest in economy brings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rational decision making through economic literacy. Third, the microeconomics and financial literacy ha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 between interest in econom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while the macro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does not. The result shows that not only the economic literacy but also the interest in economy i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Moreover, the sub-areas of economic literacy can result different effects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Thus, it implies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need to b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v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measurement error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re analyzed in one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합리적 의사결정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전국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한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및 각 하위요인, 합리적 의사결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는 경제 이해력을 매개로 합리적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미시경제 및 금융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거시경제 및 국제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경제에 대한 이해력뿐만 아니라 경제에 대한 관심도도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 이해력의 하위요인에 따라 합리적 의사결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도록 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루는 경제 이해력에 대한 접근방식 및 교육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측정오차를 고려하고 변인 간 인과관계에서 나타나는 직․간접 효과를 한 모형에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중장기 학령인구 전망을 위한 단기 출생아수 예측

        박상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에서 활용하고 있는 시도별 학령인구추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유초등학생수 추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기 3년 출생아 추세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령인구추계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현실성이 높은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비교적 예측기간이 짧고 추세가 있는 비정상적 시계열 자료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이중지수평활법과 ARIMA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과거 실적치와 비교해본 결과 ARIMA모형이 오차가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초등학생수 예측의 보조지표로서 단기 출생아수 예측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도별 유초등학생수 추정에 대한 개선안과 향후 추가적인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먼저, 시도별 학령인구추계는 매년 10년 단위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시도 및 시군구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추계나 예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지역의 학령인구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수 감소뿐만 아니라 학령인구 이동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에 나타난 초기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특성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박상은,임나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EBDT)에 서 초기청소년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S시, G시의 초등 학교 5, 6학년 1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간이정신진단검사 (SCL_90_R)와 주커만-쿨만 성격척도,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이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는 초기청소 년의 내재화와 외현화를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검사에서 나타나는 적대적 표출은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였으며, 내면적 위축은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모두 예 측하였다. 둘째, 내재화·외현화 척도와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 이미지와의 상관을 분석 한 결과 내재화에서 신체화와 우울 변인은 여자사람 이미지와, 불안 변인은 침대 이미지와 여자사람 이미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현화에서는 칼, 학교 가방, 여자사람, 집의 이미 지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여자사람 이미지는 성별에 따라 외현화 점수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에서 초기청소년의 내재화와 외현 화 문제행동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sed the 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EBDT) to find how effectively the EBDT show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1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 city and G city. SPSS/WIN 22.0 were employed to analyze correlation, hierarchy, and hierarchical regression in the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BDT was able to predict both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stility shown in the drawing test caught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internal regression detected both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Second,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ation/externalization measures and the EBDT picture cards, Internalization figures of somatization and depression could be connected with the woman card. And anxiety figures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the bed card and woman card. Externalization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knife, school bag, woman, and house cards. In particular, woman image showed the difference in externalization score depending on the subject’s sex. Thi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EBDT) can detect externalization/internalization related problematic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