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elative Impac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a School on School Culture

        박삼철(Sam-Chul Par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교 내적, 외적요인간의 상대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조사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와 관련된 3가지 모델을 설정할 수 있었다: (1) 학교문화는 학교외적 요인에 강력하게 영향을 받는 경우, (2) 내적, 외적 요인들이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3) 학교 내적 요인들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br/> 본 연구문제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들 중에서 13개 교를 유층표집 하여, 각 학교로부터 설문지 자료와 교육계획서, 인터넷 홈페이지, 교사와의 면담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학교에 의해 고양되는 문화적 요소와 학생들이 지각하는 문화적 요소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중요한 문제들이 논의될 수 있다.<br/> 첫째, 학교문화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가치와 신념 등은 단위학교의 노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기 보다는 학교 밖의 요소들 즉, 사회문화 혹은 교육정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측면을 위한 학교의 교육계획 수립 및 평가 등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문화의 피상적인 부분에 위치하는 요인들은 (교사의 전문성, 사회적 측면, 리더십 측면 등) 단위 학교 리더십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단위학교의 행정가들은 이 부분과 관련된 학교의 개혁부터 시작하여 학교를 변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교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은 남여공학 학교(co-educational)에서의 성차 (gender difference)에 따른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남여 학교(single school)의 독특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지각의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학교문화에 대한 연구는 성차 뿐 아니라 학교 변인을 고려하여야 한다.<br/>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와 관련한 연구의 결과는 두 번째 모델이 가장 적합한 모델임을 시사한다. 즉 한국의 학교문화는 학교의 내적 요인들과 학교 밖의 요인들의 역동적인 수용(accommodation)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인 면을 살펴보면, 두 요인들의 효과는 다측면적인 학교문화의 특성들에 따라 서로 다르다. 즉,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기대감, 개인적인 가치와 신념 등은 학교 내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보다는 차라리 학교외적 요인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학교생활의 질과 교육적인 측면은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학교의 사회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은 내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school culture in the Korean context. In order to evaluate this research question, two different data and two secondary school systems, Christian and public, were compare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br/> The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the culture of high schools is formed by accommodat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owever, the relative impacts of the two factors on school culture vari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aspect of school culture. Student perceptions about personal values and ideal school are likely to reflect the commonly shared societal values. Educational aspects were influenced both by factors internal and external to the school.

      • KCI등재

        호주의 학교다양화 사례 분석

        박삼철(Park, Sam-Chu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중등과정의 다양성을 추진하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다양화를 학교 내 프로그램 다양화와 학교 간 다양화로 유형화하여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탐색의 결과, 호주의 전통적인 후기중등학교 체제는 학교 간 다양화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학교 내 프로그램 다양화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혁의 목표는 보다 많은 학생들이 12학년의 학교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학교 간 다양화 사례에는 선발학교와 사립학교, 특수목적 학교들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특수목적 학교의 운영 특징은 특수목적의 교육과정과 일반 교육과정을 병행하는 이원화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호주의 고교다양화 정책은 학교 간 다양화의 기초위에 학교 내의 다양화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학교 간 다양화 방안은 학교 간 차이에 따른 교육적 불공평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제기될 수 있으므로 공평성의 원리에 따라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섬세한 정책적 대안이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 사회의 심화와 인간의 수명 연장 등과 같은 사회적 변동 현상은 일반 학생들에게도 1차적 기술교육 혹은 직업교육의 확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diversities of the senior high school system in Korea, by examining those of Australian high school syste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chool diversification can be defined as providing students or their parents with some range of alternative programs from which they can choose a school or program they believe are best suitable for them. In this point, the concept is very similar to that of school choic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of within-school diversification at Australian senior secondary schools include subject selecting, extension programs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VET). Second, selective schools, independent schools and specialist schools are the types of between-schools diversity programs in Australia. Third, the characteristic of Australian school diversification was traditionally between-schools diversification, of which the purpose is to provide excellent learning opportunities for some talented students. However, the policy trend has, recently, been extended to within-school diversity program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300 in Korea can be seen as a suitable one because one of its aims was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the school equalization policy. Second, well defined within-school diversity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void educational disadvantage issues in education that can be inevitably risen from between-school diversification policies. Lastly,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VET programs at general high schools should also be urgently considered.

      • KCI등재

        “21세기 기술(21st Century Skills)”교육을 위한 미국과 호주의 학교혁신 사례 탐색

        박삼철(Sam-Chul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6

        21세기의 미래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및 직업 환경 등의 급격한 변화가 예측되고 있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교교육도 21세기 기술 혹은 역량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의 혁신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MC2 중등학교와 호주의 학교혁신 사례를 분석하여 21세기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학교혁신의 특징 및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학교혁신 원리, 교수자,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 학습장소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학교교육의 주요 요소의 혁신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미국과 호주의 학교혁신 특징은 21세기 기술과 역량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프로젝트 중심의 내용통합 교육과정 운영, 학생 참여 확대, 교사팀 구성 혹은 학교 밖의 인사들을 활용하는 교수자 집단 구성의 유연성, 지역사회 기관과 산업체 등으로 학습 장소 확대, 지역사회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등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반한 본 연구의 결론은 21세기 미래의 학교교육은 한 두 영역의 혁신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 학교교육의 영역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며, 또한 학교와 지역사회는 소극적 협력 관계를 벗어나 보다 강화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me implications regarding school innovation areas and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two exemplary innovative schools in the USA and in Austral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wo cases have some similarities in terms of school innovation areas and characteristics. They include educational aim focusing on the 21st century skills, project-based learning integrating traditional subjects, flexible teachers’ teams including professionals from outside school communities, and broadening learning places to outsides of school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school innovation is an important and urgent task because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should learn and improve their key competencies or 21st century skills at schools. Second, holistic school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change schools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re very complicated and have various sub-systems. Lastly,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should be constructed to maximize their recipro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통합학교 운영 사례 비교 연구

        박삼철(Sam-Chul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통합학교 제도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통합학교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국의 공립 통합학교 제도의 법적 성격과 통합운영 사례들을 살펴본 후 종합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과 호주의 통합학교는 농산어촌의 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폐교의 대안으로 증가하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첫째, 한국 통합학교는 법적으로 학교의 한 종류로 분류되지 못하고 통합된 학교들이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통합된 상태였다. 반면에 호주 통합 학교는 법에 규정된 학교의 종류로 분류되고 있으며, 다른 학교 종류와 구분되는‘한 학교내의 작은 학교들(schools within a school)’이라는 학교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학교장 임용 상태와 교명, 교원 부족 문제에 대처하는 구체적인 방안 등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주요 시사점은 통합학교 제도는 한국의 경직적인 학제 구분에 유연성을 추가할 수 장점이 있는 제도라는 점에서 통합학교의 학교 종류 포함 가능성을 탐색해야 하며, 동 제도의 확대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담론이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ombined school system in Korea, on the basis of comparing that of Australi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 Education Act of each country’s combined school system was analyzed, followed by examining some features of the level of composition. Consequently, two countries’ combined school systems were compared to identify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combined school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For example, the school systems i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the school closure or school merger in rural areas. Second, the combined school system in Korea was not enacted as a kind of schools on the Education Act, so that the status of the system was not clearly defined, while Australian system was clearly enacted on the Education Act as a kind of schools. The differences of legal status between the two countries’ school system can be a cause making severe differences of what happens in the schools including school naming issues, implementing and integrating curriculum, and school personnel issu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orean combined school system should be a kind of schools by the amendment of the Education Act. When the system is a part of the whole Korean school system, students and their parents can have more options for selecting schools.

      • KCI등재

        학교조직 변화과정 모델 탐색: 학교조직문화와 기술구조적 접근의 수용적 통합

        박삼철(Park Sam-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적 접근과 기술구조적 접근의 수용적 통합을 통한 학교조직변화의 과정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문화의 제도, 발굴과 측정의 특성을 보이는 3유형의 개념을 종합한 학교조직문화 개념을 제안하였고, 변화에 대한 5가지 유형의 학교조직문화를 논의하였다. 또한 조직변화의 두 목표인 학교조직개발과 학교조직변혁의 개념을 논의한 후 Porras와 Silvers의 모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학교 조직변화과정모형을 제안하였고, 마지막으로 모델의 현장적응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개 고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특징은 첫째, 조직변화를 위하여 변화에 대한 조직문화를 진단하여야 하며, 둘째, 조직진단에 터하여 조직개발과 조직변혁이라는 목표를 선택해야 하며, 셋째 조직변혁의 경우 조직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마지막으로 조직변화의 목표와 강도에 따라 구성원들의 인지변화 정도는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는 등이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모델의 현장적응력을 확인하였으며 시사점은 학교들이 조직변화를 수행할 때 조직변화의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직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조직변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학교들은 조직변화의 이론과 기법에 대한 연수 혹은 전문가의 학교컨설팅을 받는 것이 필요하며, 조직변화의 성과 측정을 위해 구성원의 인지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school change that accommodates cultural and technostructural approach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three types of the concepts of school organization culture including mapping, mining and measuring of school culture, (2) types of school culture for school change, (3)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4) Porras and Silvers' process model.<br/> From the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the above issues, a comprehensive process model of school change was suggested, which include entering into school change, diagnosing school organization emphasizing school culture, establishing change goals and target variables, interventions, members' cognitive change and behavioral change, organizational outcomes and feedback. A case study was, finally, conducted to test the model's adaptability in schools while school change was in progress.<b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several issues. First, school change theories and strategies should be adapted and used before schools enter into change intervention programs. Second, only schools having strong cultures like moving or at least struggling culture for school improvement should be selected and supported becaus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can be a fertile ground or black hole for school change. Las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for school change is to change the teachers' norms and behaviors because education is a continual and difficult work to be done by examples.

      • KCI등재

        학교교육 개혁정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호주의 정책결정체제 및 사례 분석

        박삼철(Park, Sam-Chu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교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호주의 교육정책결정 체제를 분석하여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2년 이후 학교개혁을 위해 새롭게 설치된 국가수준의 교육정책결정 조직과 기구의 기능과 역할, 구성 및 사례를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방정부 및 각 주정부 교육부장관들의 협의체인 학교교육 및 유아담당 상임위원회(SCSEEC)에서는 약 10여 년을 주기로 호주 학교가 추구해야 할 구체적 교육목표를 선언하고, 이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들을 만장일치로 의결한 후 협정서를 작성․공포하고 있다. 지역별 교육자치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합의서(agreements)는 국가적으로 통일된 교육개혁 정책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교육개혁 정책은 참여적 관점에서 민주적 절차와 국민적 합의과정이 담보될 때 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학교교육의 기반이 되는 주요 교육정책들에 대한 심의기능 강화를 위해 일종의 통제 기제 구축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sustainable education policies in Korea, on the basis of exploring that of Australi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ustralian new decision-making system was analyzed, followed by examining some features of each organization included in the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decision- making system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ustralian school education reform policies, in which the representatives from the Federal and the State Governments participate, was developed in 1994. There are several organizations included in this system. The highest organization is the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 and there is also Standing Council on Schoo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in which Education Ministers from State Governments are members. Agreements are declared after the members discuss. The agreements functions as a mechanism that provides the policies with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ion and goal of school education reform has to be based on the nation-wide agreement. Secondly, there must be a procedural justification if the acting policies are to be changed. In addition, consent must be obtained from a nationwid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to change significant school education policies that influence significantly students’ present and future careers.

      • KCI등재

        미국과 호주의 학교통폐합 교육영향평가제 비교 연구

        박삼철(Park, Sam-Chu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6

        학교통폐합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폐교학교의 학생 및 학부모, 지역사회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는 학교폐교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학교폐교의 영향을 평가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통폐합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적용하고 있는 미국과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미국과 호주의 교육영향평가 영역은 교육적 측면과 재정적 측면뿐 아니라 환경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측면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전 평가를 하고 있었다. 교육영향평가의 준거 차원에서는 미국과 호주가 유사한 준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차이점은 미국의 경우에는 폐교 대상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과 재배치될 학교의 교육력을, 호주의 경우에는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 변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교통폐합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은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늦은 감은 있으나 빠른 시일 내에 교육영향평가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rural areas are faced with serious problems resulted from the small school closure. Nevertheless, Korean decision-making system for school closure has not applied a rational model collecting data relating to the impacts of school amalgamation 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introducing an educational impact assessment(EdIA) system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 two EdIAs of US and Australi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wo EdIAs from the compared countries collected data with respect to four areas including educational, financial,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Second, in terms of the criteria for the decision-making of school closure,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ystems. The study also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For example, the American system is more focused on the impact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new school lives. On the other hand, Australian system was more likely to be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local community in terms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Korean EdIA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s soon as possible, as it is likely to reduce social conflicts caused by school closure.

      • KCI등재

        전문성과 표준화를 지향하는 호주의 교원양성제도 혁신 과정 및 특성 분석

        박삼철(Park, Sam 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여 년 동안 전개되었던 호주의 교원양성제도 혁신사례를 체제모형을 적용·분석하여 혁신 과정 및 특성을 탐색한 후, 한국의 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호주 교원양성제도 혁신을 위한 환경적 요인으로는 멜버른 선언과 교사전문성 자격기준(APST), 우호적 입직 여건 조성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체계적인 혁신과제를 견인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투입요인으로는 우수 신입생 확보를 위한 입학절차 혁신과 장학금 확대 정책이 있었으며, 과정요인으로는 APST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혁신이었다. 산출요인으로는 교원양성과정의 평가체제 혁신과 졸업교사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졸업생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교원양성제도의 혁신을 위해서는 국가적 수준의 합의에 기반한 흔들림 없는 추진동력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교사전문성 자격기준과 같은 이론적 토대에 기반할 때 혁신과제들은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고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한국에서 전개되었던 다양한 교원양성제도의 혁신과제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큰 그림으로 맵핑(mapping)해 보는 노력은 과제별 분석에서 찾을 수 없는 전혀 다른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implications by examining a series of the initial teacher education reform programs in Australia, which was implemented for about two decades. To achiev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adapted a system model and reviewed various materials issued by Australian educational authorities and other resear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odel include Melbourne Declaration, Australian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and establishing favorable employment conditions for teachers. These factors are assumed to have provided a consistent driving force to perform the reform programs. Second, innovating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dures and expanding the scholarship for the students are the input factors of the model. An important process factor of the model is the curriculum reform, which was studied on the basis of the APST. Output factors include innovating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requiring graduates to be qualified and accredited as Graduate teache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innovation process of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to be successful and continual, an agreement between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firstly,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Various perspectives can be arising, if innovative polici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Korea are reviewed comprehensively from system models to the whole.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을 결정하는 학교변인들의 효과

        박삼철(Park Sam-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변인이 통제되었을 때 학교변인들은 과연 학교에서의 학생들의 삶의 질(QSL)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QSL을 개념화하였으며,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삶의 질 정도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학생들의 QSL은 그리 높지 않았으며(M=3.17), 친근한 교우관계가 QSL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가정변인이 통제되었을 때 학교설립 변인을 제외한 학교유형, 교육유형 및 학교소재지 변인들은 학생들의 QSL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학교유형 변인은 친근한 교우관계에, 교육유형 변인은 거의 모든 요인에, 그리고 학교소재지는 선생님에 대한 만족과 학교에서의 학업 및 일반적 성취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었다. 자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남학생교육(Boys' education), 전문계 학교교육 및 농촌학교에 대한 인간중심의 투자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variables including school types(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types (boys, girls and co-educational), curriculum systems (general and technical education) and school locations (cities and rural areas) on students' quality of school lif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fined quality of school life as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their school life. Seven factors of QSL were identified by both the content analysis of students' in-depth interview data and a factor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4,429 samples. They include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school, instability at school, teacher's caring, satisfaction with teachers' teaching, peer relations, achievements of school works and curricular.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descritive statistics showed that students' QSL was not high (M=3.12, SD=.51), but the factor of peer relations was very high (M=4.13, SD=.69). Secondly, MANOVA procedures produced the results that although their effect sizes were not high, all school variables except school types affected on overall students' QSL. Lastly, when further analyses were conducted controlling students' hom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ES and parents'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school variables' effects on factors compounding QSL were very complex, that is, varied against each factor. The results can be addressed a number of policy issues.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school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boys' educational issues, technical school students' QSL, especially for their peer relations and rural students' QSL regarding their achievements and perceptions against their teachers.

      • KCI등재

        교육행정학에서 사용되는 학교문화 개념들의 유용성과 한계

        박삼철(Park Sam-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교육행정학의 문헌에 나타난 서로 다른 학교문화의 개념들은 개념적 혼란을 가져올 뿐 아니라 학교문화 연구 결과의 현장 적용에도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개념들을 교육행정학의 3가지 주요 이론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비교ㆍ분석하여 각 개념의 특징, 유용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 체제이론의 관점은 조직을 통제하고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나 학교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주관주의적 관점은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기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하여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비판주의 관점의 개념은 학교문화의 연구 영역을 넓히는 공헌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가치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연구의 결과 유형화된 세 개념들은 대체로 개념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연구내용 및 범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각 개념은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으로 거대한 조직문화라는 개념의 일부분에 대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코끼리의 실체에 근접한 개념(thick definition)을 찾는 일은 학교문화의 연구와 실제에 필수적인 전제 조건일 수 있음으로 이를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담론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ppearing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do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the work of Lakomski and Evers(1995) was adopted, which reflected three major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cluding systems theory, Greenfield's subjectivism and critical theory. Consequently,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s were examined, together with their conceptual features and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ncepts of school culture. First, the concepts of school culture reflecting systems theory have advantages with regard to manipulating school culture and developing and transforming school organization. However, the meaning of the concepts were limited by focusing on the shared culture of school members. Second, the concepts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was largely on Greenfield's subjectivism were useful to thickly describe the cultural phenomena of a certain school. But the findings or descriptions were difficult to generalize. Finally, value-oriented approach was a clear feature of the concepts reflecting the critical approa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focusing on the micro-political aspects of a school organization, this approach was contributed to broaden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said that a concept of school cul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incompatible with others.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each concept represents only a part of the whole concept of school culture, which remains 'blind men's descriptions of a big elephant'. As different concepts of school culture may impede research and practice, studies examining conceptual issues of school culture should continually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