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전면부와 음성 어시스턴트의 스타일 관계 분석

        박민정,민소영,김태수,석현정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4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applications of voice assistants in vehicles, we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isual appeal of the cars 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assista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appeal of the vehicle and the voice assistant based on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15 adjectives were used to asses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12 types of cars and six types of voices. An online interview was carried out, instructing participants to match three adjectives with the presented car images or voices. This was followed with a brief interview to allow the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 adjective matches. Based on the assessments, we perform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determine factors. We aimed to deploy the cars and voices and analyze the patterns of clustering. The PCA analysis revealed two factors profiled as “Light-Heavy” and “Comfortable-Radical.” Both car and voice stimuli were deployed in a two-dimensional space showing the internal relationship within and between the two substances. Based on the coordination data, a hierarchical cluster grouped the 18 stimuli into four groups labeled as challenge, elegance, majesty, and vigor. This study identified two latent factors describ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both car images and voice types cluster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 coherent matches between car style and voice type are expected to address the design concept more successfully. 음성 어시스턴트가 차량에 탑재되기 시작하면서, 차량의 조형적 특징과 음성 어시스턴트간의 연관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에 적용된 음성 어시스턴트와 외관의 조화스러움에 대하여 공통된 감성적 특징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12가지 차량 이미지와 6가지의 음성 어시스턴트에 대해 15종의 형용사를 바탕으로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라인 개별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총 24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각 자극물을 대표하는 감성 형용사 3종을 1, 2, 3위로 평가하고, 선정 이유에 대한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에대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2개의 주요 요인을 추출한 뒤, 각 요인을 축으로 하여 자극물을 분포시켰다. 분포도를바탕으로 감성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계층적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자동차 이미지와 음성 어시스턴트를 설명하는 감성적 차원으로 “편안한-급진적인”과 “가벼운-무거운”이 추출되었다. 두 차원을 바탕으로 자극물들을 분포시킨 결과, 자동차와 음성 어시스턴트가 동일한 축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분포해 두 요인이 자극물간 감성적 특징을 도출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자극물들의 분포도를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17개의 자극물을 4가지 군집으로 추렸다. 각 군집은 도전적인, 우아한, 위엄있는, 활기찬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조형적 특징과 음성 어시스턴트의 감성적 이미지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두 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축을 바탕으로 그려진 분포도에 군집 분석을 수행해 감성적 특징을 분류하였으며, 총 4개의 감성적 특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동차의 조형적 특징에 맞춘 음성 어시스턴트 제안을 위한 디자인 품평 가이드로 활용되어, 추후출시되는 차량에서 사용자들의 자동차 음성 어시스턴트 감성 경험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과학 탐구력 검사와 창의성 검사와의 관계를 통한 과학영재 선발문항 유형 분석

        박민정,전미란,전동렬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내용을 묻는 문제가 어떤 형태로 제시되면 자학영재 선발을 위해 대상자의 수학능력 외에도 창의성까지 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1단계에서는 과학적 재능 검사에 자주 사용되는 토랜스 도형 창의력, 과학적 태도, 과학 탐구력, 논리적 사고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7, 8학년 38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학력이 상위 5% 안에 드는 6학년 학생 583명을 대상으로, 과학 내용을 소재로 한 5가지 다른 유형의 문제를 풀게 하는 동시에 트랜스 도형 창의력과 과학 탐구력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형태의 내용 문제가 창의력, 탐구력 검사 점수와 상관관계가 높은지 알아보았다. 과학자 이름 나열하기, 과학자 업적에 대한 글쓰기, 상상력, 이론의 이해와 적용, 법칙의 이해와 응용으로 나눌 수 있는 5가지 유형의 문제는 모두 탐구력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트랜스 도형 창의력 검사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글쓰기로 나타내는 문제와 상관 관계가 높았다. We studied what kind of science-contents problems can also give information on one's creativity for use in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383 7th and 8th graders as subjects, we first analyzed the co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creative thinking, scientific attitude, science inquiry, logical thinking and the scientific creativity problem solving skill test. The co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cience inquiry test could represent other tests except TTCT. We then tested 532 6th graders with TTCT and science inquiry tests concomitantly with the contents- related problems made in such types as naming 20 scientists, writing about a scientist, imagination to overcome a problem, understanding of theory and application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laws and appli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riting and imagination were most efficient in assessing both the contents and the creativity.

      • KCI등재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n Children Presenting with Nonspecific Lower-Extremity Pain

        박민정,주선영,이주엽,이준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5 Yonsei medical journal Vol.56 No.5

        Purpose: Although interest in the role played by vitamin D in bone health is increas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this vitaminin musculoskeletal pain in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children presenting with nonspecific lower extremity pai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1 to 2012, 183 children underwent evaluation for nonspecific lower-extremity pains. Patients with valid causes, such as fractures or transient synovitis, were excluded, as were those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such as cerebral palsy and metabolic disease. Ultimately, 140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Levels of serum 25-hydroxy vitamin D [25-(OH)D], the ideal indicator of vitamin D status, were measured in these children. Results: Eighty-seven boys (62.1%) and 53 girls (37.9%) were included. The mean age at presentation was 5.2 years (range, 2–15). Serum 25-(OH)D levels were <10 ng/mL in 5.7% of patients, 10 to <20 ng/mL in 51.4%, 20 to <30 ng/mL in 37.9%, and ≥30 ng/mL in only 5.0%. Most patients visited the hospital in the winter (41.4%) (summer, 12.9%), and serum 25-(OH)D levels were also lowestin the winter (17.2±5.5 ng/mL). Conclusion: This study found a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or insufficiency in Korean children with nonspecific lower-extremity pains, indicating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growing pains. More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vitamin D and its role in the optimization of bone health.

      • Does online communication help maintaining our social relationship?

        박민정,최보미,Jaeki. Song,채상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오늘날 SNS 사용의 증가로 개인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과거보다 폭넓은 사회 관계망을 쉽고, 빠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기업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고객과의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 한 지나친 상호작용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각종 불안감, 불편함 등을 인지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관계 강도의 변화를 다음의 4가지 온라인 환경적 요소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1) 사용자가 인지 하는 온라인 환경의 사회적 공헌도, 2) 사용자 의 인터넷 의존도, 3) 사용자가 인지하는 온라인 환경 내, 친사회적 행동 정도, 4) 사용자가 인지하는 온라인 혜택의 인지 정도가 각각 감 소할 때 약화되는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 강도 를 확인하고자 한다. 추후, 설문 조사 진행 및 구조 방정식 연구 모델을 설계하여 연구를 진 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대부분 의 선행 연구들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긍정 적인 역할에 집중한 반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 강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Increasing popularity and people’s heavy usages of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made enormous changes in our society. People today can make broaden social network relationship easier and faster than the past through online communications. Businesses have adopted various online network service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resulting i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through frequent interactions with their customers. However, users have recently expressed discomforts stemming from excessive online commun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people tend to be stressed due to heavy online interactions, leading to negative impact on offline relationship.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online environmental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social relationship. We are planning to develop the survey and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data analysis. Prior studies focus on bright sights of online communication. However, our research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onlin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n facilitate online communications ’ negative results on social relationships. By identifying above online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research would have implications for online service providers of minimizing negative influences of online communications.

      • KCI등재

        대학 전공교육과정 개편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박민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lems and issues in academic plann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lev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grounded theory study into the experiences of faculty members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ory about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t the university. Findings/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curriculum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virtue of the rule of thumb that faculty members make judgements and decisions without deliberation. The curriculum tends to be revised at the formal and passive level, to be merely recognized as paperwork, and to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This paper also identifies obstacles to the deliberativ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greater emphasis on research compared to teaching within the contemporary higher education system, the lack of support system for quality curriculum, conservatism and individualism,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orkload, etc. This paper explores ways to initiate critical curriculum conversations in support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대학에서의 전공교육과정 개편과정과 그 속에 내재된 문제점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전공교육과정 개편은 교수들의 관심과 숙의를 통한 집단적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보다 무관심, 갈등, 임기응변적 대응 속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공교육과정 개편은 학과장의 문서작업으로 간주되고 있고,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의 교육과정 개편이 만연해있으며, 급격한 사회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이 유지 운영되고 있었다. 그 결과, 각 교과목 수업은 전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운영되기보다 개별 교수자의 관심과 관점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교수들의 전공영토주의로 인해 교육과정은 시대적 요구와 학생들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교육과정을 개편과 운영을 지원해줄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격려해줄 수 있는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