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경제적 위치와 유방암 수술 후 총 사망위험과의 관련성

        박미진,정우진,이선미,박종혁,장후선,Park, Mi-Jin,Chung, Woo-Jin,Lee, Sun-Mi,Park, Jong-Hyock,Chang, Hoo-Sun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explain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of all-cause mortalit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in South Korea. Methods: This population based study included all 8868 females who underwent radical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3. Follow-up for mortality continue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socioeconomic classe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as defin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ll-cause mortalit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as assess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adjusting for age, the Charlson’s index score, emergency hospitalization, the type of hospital and the hospital ownership. Results: Those in the lowest socioeconomic status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hazard ratio of 2.09 (95% CI =1.50 - 2.91) compared with those in the highest socioeconomic group after controlling for all the identifiable confounding variables. For allcause mortality after radical mastectomy, all the other incom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3-year mortality rates than did the highest income group. Conclusion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breast cancer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that affects all-cause mortality after radical mastectomy, and this is possibly due to a delayed diagnosis, limited access or minimal treatment leading to higher mortality. This study may provide tangible support to intensify surveillance and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mong low socioeconomic class women.

      • 융기된 영상의 골격선 추출에 의한 에지 보정 알고리듬

        박미진,양영일,박중조,Park, Mi-Jin,Yang, Yeong-Il,Park, Jung-Jo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6

        본 논문에서는 에지 영상의 정보를 잃지 않으며 인접한 에지를 연결하는 에지 보정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에지 보정 알고리듬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는 에지 영상을 반복적으로 융기시켜 융기 영상을 얻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골격선 추출 알고리듬을 이용하며 융기된 영상으로부터 에지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원래의 에지 영상의 정보를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인접한 에지를 잘 연결함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dge compensation algorithm which connects the adjacent edges without losing the information of the skeletons on the edge image. The proposed edge compensation algorithm is composed of succeeding two steps. In the first step, the uplifted image is obtained by uplifting the edge image repeatedly. The next step is to extract the edge image from the uplifted image using the skeleton extraction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nnects the adjacent edges without the distortion of the original edge informatio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 KCI등재

        지역사회거주 노인을 위한 자기방임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박미진(Mi Jin Park),김진(Jin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지역사회거주노인을 위한 자기방임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연구고찰과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검증을 통해 3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30개의 예비문항에 대해 부산지역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자기방임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에서 14개 문항을 추출하였고, 4개의 요인구조를 도출하였다. 14개 문항의 노인자기방임척도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4요인 척도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척도의 하위요인은 일상생활관리, 개인위생관리, 재정관리, 관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준거타당도는 김미혜 외의 자기방임척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되었다. 14개문항의 자기방임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추후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neglect scale and test its appropriateness for local elderly residents. First, 3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content validity was determined by an expert panel. The 30 questions were included in a survey of elderly adults residing in Pusan. Responses were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14 items (of the 30 questions) with a 4-factor struct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14-item version of the scal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4-factor solution was confirmed. The factors were everyday life management, personal hygiene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and relationship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ed scale and Kim Mi Hae et. al.’s self-neglect scale demonstrated the former’s criterion validity. The 14-item self-neglect scale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

        박미진 ( Mi-jin Park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심화과정 전공영역별로 지원한 22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대상은 선발과정 1차전형에서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에 속하는 67명을 상위집단으로, 하위 30%에 속하는 64명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에 속하는 총131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사도구 문항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소리, 전기, 무게, 온도, 호흡, 광합성, 날씨, 지진의 과학개념 8개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검사문항은 과학개념 8개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과학개념 2개를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생성하도록 제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진술한 과학적 질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은 심화과정 전공영역에 따라 과학개념 연결 선호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과학적 질문에서 나타난 과학개념 연결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먼저관계, 유사성, 비유사성에 근거한 연결방식으로 분류하였다. 나아가 관계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수단, 영향, 예측, 원인, 측정, 현상으로,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대상, 과학적 원리, 현상에 근거한 연결로, 비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병렬, 자원, 제거에 근거한 연결로 세분화하였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 <.000) 차이를 보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서로 다른 과학영역에 해당하는 개념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으나,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동일한 과학영역 내 개념들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나타낸 반면,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비유사성에 근거하여 단순하게 병렬시키는 연결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science gifted connect and integrate science concepts in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Research subject was sampled from 228 applicants for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2015. A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CPST) in science, which administered as an admission process, was utilized as a reference to sample two groups. Sixty-seven students from top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upper group and 64 students from bottom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lower group. The CPST,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included one item about how to connect two science concepts among eight science concepts, sound, electricity, weight, temperature, respiration, photosynthesis, weather, and earthquak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oosing two concepts among four science major areas. The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were characterized by three categories, relation-based, similarity-based, and dissimilarity-based. In addition, relation-based was characterized by attributes, means, influences, predictions, and causes; similarity-based was by attributes, objects, scientific principles, and phenomena, and dissimilarity-based was by parallel, resource, and deletion. There were significant (p <.000) differences in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groups. The upp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er-science subjects while the low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ra-science subject. The upper group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connect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similarity. In contrast, the lower group students frequently showed ways of connecting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dissimilarity. In particular, they simply parallelled science concepts.

      • KCI등재

        병원건축의 실내공기질 개선 및 유해인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박미진(Park, Mi-J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2

        This study suggests the IAQ(Indoor Air Quality) in the hospital via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ion and harmful factors to derive an appropriate management plan and its elements. Thus, the correlations between IAQ and SBS(Sick Building Syndrome) that can affect hospital workers and users, the awareness of re-infection in health care facilities, the set of harmful factors, and the actual standard-setting, with respect to the realization of the relevant assessment standard were investigated

      • KCI등재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미진 ( Mi Jin Park ),강지현 ( Ji Hyeon K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 32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 평가하였다. t검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주의집중문제, 공격적인 행동, 유아의 자극추구 기질, 부모 양육행동 중 통제에서 남아의 수준이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 부부갈등, 부정적 부모 양육행동은 외현화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부부갈등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추가하여, 유아의 자극추구 기질이 높고, 부부갈등 수준이 높더라도, 부모가 통제적이면 주의집중문제가 심화 되고, 부모가 거부적이거나 방임적이면 공격적인 행동이 심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방향에 대해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temperament, parents` conflict,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s, 321 preschoolers, 3-5 year old, were assessed using parent report measur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K-CBCL 1.5-5), temperament(K-JTCI), and parents` conflict, and parenting. The results of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boy group was higher than the girl group in attention problems, aggressive actions, termperament(Novelty Seeking:NS), parenting behavior(control). Second,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rrelation of preschoolers` temperament, their parents`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rd, the important predictors of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s were different by specific problem. In attention problems, parenting behavior(control)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high NS and parents` conflict in predicting externalizing problems. In aggressive actions, parenting behavior(neglect, reject)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high NS and parents` conflict in predicting externalizing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prevention strategies for preschoolers` behavioral proble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지지네트워크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박미진(Mi Jin Par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감에 우울과 지지네트워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을 대상으로 Wenger와 Tucker(200의 지지네트워크 유형화에 따른 우울, 삶의 만족감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4,040명의 65세 이상 노인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을 빈곤노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차이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노인의 경우 비빈곤노인보다 우울 정도가 높고, 삶의 만족감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지네트워크 유형별로 볼 때, 빈곤노인은 지역사회초점형과 지역통합형이 많았지만 비빈곤노인보다 우울점수가 높고, 삶의 만족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볼 때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 모두 우울이 유의미한 가장 큰 상대적 영향력을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고, 비빈곤노인은 지지네트워크 유형이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빈곤노인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개입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upport network types of older ad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support network by Wenger and Tucker. Data were collected from 4,040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from 200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y Korean Labor Institute. The statistical analyses performed were χ2 ,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factors, depression had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life. Especially, the low income elderly group scored higher on depression and lower on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impoverished. Depres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support network types were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ife satisfaction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