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관계향상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남성의 의사소통, 가족관계 및 자기성찰에 미치는 효과

        박미순(Misoon Park),주동범(Dongbeom Ju)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관계향상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남성의 의사소통, 가족관계, 자기성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B시 거주하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남성 14명을 대상으로 최종 실험집단에 6명, 통제집단에 8명을 배정하였으며, 회기당 120분,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 가족관계, 자기성찰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내용타당도 검사를 위해 상담심리 전공 전문가 3인의 안면타당도 및 CVR(Content Validity Ratio)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가족관계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 가족관계, 자기성찰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남성의 심리사회적 다양한 개입전략과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on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by applying the program to middle-aged men whose children are adolescent. A total of 14 participants of age 40-59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6 men, and a control group with 8 men. The family relationship program was applied to pract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particular measure was taken for the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analyses were conducted to the two groups on th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The SPSS/WIN+20.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ge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the respective level. In order to verify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on the scores of the post-test of the two groups was put into practice by assuming the scores of the pre-tests of both groups as covariate variable. For the content validity test, facial validity and CVR (Content Validity Ratio) tests were conducted by three experts of counseling psych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ased on the discussion of results, various psycho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the middle-aged men with adolescent children.

      •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의 효과에 관한 대학생 사례 연구

        장은정(Jang, Eun-Jung),박미순(Park, Mis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이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학습과정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학습전략은 어떠하고, 노트필기 전략 훈련이 학습과정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트필기 전략 훈련으로 인해 학습전략에는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심층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모 대학에서 학습전략과 성적이 부진한 학생을 선정하여 2013년 5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약 13개월 간 실시하였으며, 학습전략검사, 심층인터뷰와 노트필기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내용은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거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적이 낮은 학생은 성격이나 정서적 측면에서 불안함이 있었으나 노트필기 전략 훈련으로 인해 성격이나 정서적인 안정과 학습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노트필기법은 키워드를 찾고 필기하는 활동 자체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고, 요약정리를 통해 반복학습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노트의 결과물은 학생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부여해 주었다. 셋째, 노트필기는 시험을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핵심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시험공부 시간을 절약해주고 시험준비 요령을 터득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성적이 낮은 학생에게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미미하긴 하지만 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노트필기를 철저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학업성취에서 충분한 향상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다섯째,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생에게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과 학습상담 전문가의 지속적인 컨설팅으로 개선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에게도 노트필기 전략 훈련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컨설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ote-taking practice on the academic development in the college. Using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case of a low academic achiever, the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fter the note-taking practice were examined. The case study was continued for about thirteen months in a college setting. The MLST learning strategies test, in 3 depth interviews and note-taking skill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fter note-taking practice, uneasiness of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aspect of low academic achiever stabilized. Also, learning attitude changed positively. Second, finding important keywords for note-taking and note-taking itself made the student focus on the class work. Summarizing learning contents allowed the student to repeat the concepts and personal effort drove the student to have academic confidence and achievement. Third, the note-taking strategy was a useful tool for preparing for assessments, too. This was because structured notes made it easy for the student to find important concepts and provided clues for the test without spending lots of time. Fourth, because the note-taking strategy could not strictly be applied, academic improvement was not significant. Finally, note-taking practice was long term programs for low achiever. And it needs to be consulted by learning specialists consistently. It is concluded that note-taking practice was useful for low academic achi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achieve a long term academic improvement, an educational consulting program about note-taking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공과대학 여대생의 진로지도를 위한 교수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김지심 ( Ji-sim Kim ),박미순 ( Misoon Park ),김경아 ( Kyong Ah Kim ),문남미 ( Nammee Moon ),이정원 ( Jung-won Lee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10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여대생들의 진로를 지도하는 학과 교수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진로지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현황을 파악하고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7명의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구성된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공과대학 여대생들에게는 효능감 향상, 전공역량 강화, 실무역량 증진, 기초역량 함양, 구체적인 취업정보 안내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는 가이드라인의 5대 설계요소로 활용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년별 지도 항목과 5대요소를 체크하고 피드백하는 데에 쉽게 활용될 수 있는 활용양식도 제안하였다. 2회의 전문가회의를 거쳐 가이드라인과 활용양식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이 잘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career guidance guidelines in order to support professors in guid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programs.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composed of 7 professors at the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draw guidelines. It was found that the femal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were required to improve their efficacy, strengthen their major competency, improve their practical job competency, cultivate basic competency, and provide guidance on specific employment information. Then, we suggested the five elements of each grade and checklists focusing on five elements and proposed the forms so that they can be easily utilized in actual career guidance. At two expert meetings, the validity of the guidelines and the forms were verified and revised. Finally, we suggested a way to streamline the application of these guidelines.

      • KCI등재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운영 현황 분석 및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전영미(Jeon Young-Mee),김난희(Kim Nan-Hee),유동희(Yoo Dong-Hee),박미순(Park Mi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플립트러닝 운영에 대한 교수자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운영현황 조사를 위해 8개 대학의 2017-2, 2018-1학기 운영된 75개 강좌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교수자 인식 조사는 총 9개 대학 59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2018년 3월~4월에 실시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플립트러닝의 운영 현황은 대학의 지원 방향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수업 전 동영상과 읽기자료 제공, 수업 전 학습 확인, 토의와 실습 등의 수업 활동, 그 리고 성찰일지와 마무리 정리 활동이 모든 계열의 플립트러닝에서 공통적으로 이루 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수자 인식 조사 결과에 의하면, 교수자들은 토론 및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해 플립트러닝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플립트러닝을 설계하 고 운영하는데 있어 교수-학습의 부담감, 플립트러닝에 대한 이해 부족, 수업 설계의 어려움, 소극적인 학습 태도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 전략이나 사례 공유, 행·재정적 지원 등을 요구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 또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의 수업 설계 및 운영 매뉴얼 제공과 수업 전 학습의 의미, 수업 전 학습과 수업의 연계 방법 등에 대한 컨설팅 또는 워크숍을 통한 체계적인 교수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e and the professors’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y. 8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e operational state and 9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e professors’ awareness. Questionnaires and teaching portfolio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perational stat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in various discipline. And providing e-contents and reading materials in pre-class, mini lecture and various lesson methods in class, and after class activities were analyzed. The reason that the professors applied flipped learning was to improve discuss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e. The problem in operation were burden of teaching and learning, lack of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difficulty of lesson design, and passive learning attitude. And professors wanted lesson design method, case share, and som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or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anual including learning design and operation method, the meaning of pre-class activities, pre and in class connection strategies, and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s like consulting and worksh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