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저장 자두를 이용한 자두 퓨레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박명빈,박사무엘,여채은,김건오,전익조,조영은,성지혜,Park, Myeongbin,Park, Samuel,Yeo, Chaeeun,Kim, Keono,Chun, Ik-Jo,Cho, Young-Eun,Sung, Jeehy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6 No.1

        The oriental plum (Prunus salicina) is one of the most popular fruits in Korea due to its sweet taste and pleasant arom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 puree made using plums stored at low-temperatur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estimating total soluble solids (TSS, °Brix), titratable acidity (TA, % citric acid), TSS/TA ratio, pH, colors, sugar content, and sensory profiles.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stimated b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um puree containing both the flesh and the peel had markedly higher red coloration (a⁎ value) than the puree without the peel, while yellow coloration (b⁎ value) and lightness (L⁎ value) were lower in the puree without the peel than with the peel. The sensory qualities including the plum taste and flavor, texture as well as overall acceptance showed no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 samples. Meanwhile, the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presence of fruit peel and by frozen stor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rozen plums could be a suitable ingredient for making a puree and concentrate for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 KCI등재후보

        산대(山臺)와 가면극의 ‘산대’

        박명빈(Park, Myoungbin) 한국국악교육학회 2023 국악교육 Vol.53 No.53

        산의 모습을 갖춘 무대 구조물을 의미했던 ‘산대(山臺)’는 오늘날 서울 · 경기 지역의 가면극을 지칭하는 용어인 ‘산대놀이’, ‘산대도감놀이’ 등의 명칭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산대’, ‘산대도감’이라는 용어가 서울·경기 지역 가면극의 명칭에 사용되게 된 경위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가의 여러 공식 행사에서 거대한 규모의 구경거리를 제공하던 산대는 조선 후기부터 여러 폐단이 발생함에 따라 그 규모가 축소되기 시작했다. 국가 차원의 산대는 점차 축소되는 반면, 산대의 연행 주체가 점차 민간의 연희자들로 변화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나례가 폐지되고 산대 또한 더 이상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나례도감, 산대도감과 같이 그와 관련한 국가임시기구는 자연스럽게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하지만 산대에 동원되었던 연희자들은 민간에서 ‘산대’의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자신들의 연희 흥행을 이루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희자들은 국가로부터 부름을 받아 활동했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이자, 자신들의 연희에 대한 정당성을 표출하는 수단으로써 ‘산대’ 및 ‘산대도감’을 자신들의 연희, 혹은 스스로를 지칭하는 용어에 포함시켜 사용하였을 것이다. 산대에 동원되었던 다양한 연희들 가운데 가면극이 대표성을 지니게 된 근거는 가면극의 특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가면극은 과거 산대에 동원되었던 여러 연희 가운데, 그 자체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가장 장르적 독립성을 갖춘 장르이다. 또한, 가면을 통해 제2의 자아를 부여받은 연희자가 극의 형식을 통해 조선 후기 사회의 폐단을 폭로하고, 당시 백성들의 설움을 표출할 수 있었던 장르로, 과거 산대에 동원되었던 다양한 연희 가운데 대표성을 지니게 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더불어 과거 산대가 설치되었던 중국 사신의 행차 경로 및 사습의 장소가 본산대놀이의 근거지로 알려진 애오개(아현), 사직골, 구파발, 녹번등의 지역과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가면극이 산대의 대표성을 지니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Sandae(山臺)’, which meant a stage structure in the shape of a mountain, is today used in names such as ‘Sandaenori’ and ‘Sandaedogamnori’, which are terms referring to the mask play in Seoul and Gyeong-gi.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ircumstance by which the term “Sandae,” which used to refer to the stage in the past, was used as the name of mask play in Seoul and Gyeong-gi. Records about “Sandae” date back to the reign of King Jinheung of Silla. Sandae, which previously provided a large-scale spectacle at various official national events, began to shrink in size as various negative aspects ar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the size of Sandae installed by the state is gradually decreasing, in the private sector, Sandae was installed by performers, and a group of performers named “Sandaepae” began to appear. It means that the entity responsible for carrying out Sandae ha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private sector. On the other hand, Sandaedogam and Naryedogam naturally disappeared as Narye was abolished and Sandae was no longer installed. Performers who were mobilized to Sandae began performing in the private sector to make a living. They tried to achieve popularity in the private sector by reproducing some of the forms of Sandae, which was a major attraction provided by the gover㎚ent in the past. The reason why performers used Sandae, which was installed at official events organized by the state, as a term to refer to their performances or themselves was to express pride and legitimacy in receiving the call of the nation. Among the various performances mobilized in Sandae, the basis for mask play’s representativenes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ask play. The mask play is a genre with genre independence, and is a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genre that can provide various attractions by itself. Also, the mask play was a genre that was able to expose the evils of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press the sorrow of the people at the time through the form of a play, so it would have become representative among the various performances. In addition, the route of the Chinese envoy’s journey and the location of practices of Narye, where Sandae was installed in the past, were geographically closely related to regions such as Aeogae(Ahyeon), Sajikgol, Gupabal, and Nokbeon, which are known as the bases of the Bonsandaenori, so mask play could have been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of the Sandae. Mask play was popula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ould have gradually spread to various regions. Sandaenori in Hanyang would have used a stage in the shape of a small mountain. However, when touring in other regions, it would not have been easy to have the appearance of a Sanda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ame of Sandaenori disappeared and names such as “Tal-nori”, “Tal-Dance”, “Yaryu”, and “Ogwangdae” began to be used in various regions.

      • KCI등재

        우렁쉥이 분말 첨가에 의한 어포의 품질 개선

        권예지,박명빈,김태완,허희진,이준수,김소정,하지원,최대웅,성지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는 해양 생물인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를 소재로 하여 저장성과 기호성이 뛰어난 어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우렁쉥이 분말이 첨가된 어포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분석, 향미 분석, 항균 활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 살보다 우렁쉥이 껍질에서 생리활성 물질인 카로티노이드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MeOH, EA 및 BuOH 분획물의 우수한 항균 효과를 검증하였다. 냉풍 건조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모든 실험군 간에 당도,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렁쉥이의 주요 휘발 성분인 1-octanol이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포에 비해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어포 제조 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다면 천연 보존료・감미료로서 우렁쉥이를 활용하여 천연 해양 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 시제품의 안전성・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가적인 효과로 향미 증진 및 소비자 기호도 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우렁쉥이의 주요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효과

        권예지,박사무엘,박명빈,김소정,하지원,성지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한국의 해양 생물 중 하나인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를 식품산업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의 껍질과 살을 분리하고 건조 방식을 달리한 후 메탄올(ME), 부탄올(BnOH), 물(WE), 메틸 클로라이드(MC), 에틸 아세테이트(EA) 분획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평가 및 성분 분석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렁쉥이의 껍질보다 살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냉풍 건조물이 동결 건조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nOH 분획물이 89.97 mg/g of residue로 가장 높았으며 WE 분획물은 41.87 mg/g of residue로 가장 낮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ME 분획물이 64.87 mg TEAC/g of residue, BnOH 분획물이 58.60 mg TEAC/g of residue로 측정되었다. 냉풍 건조한 우렁쉥이 껍질에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며 astaxanthin 8.11 mg/100 g, zeaxanthin 1.62 mg/100 g, lutein 6.72 mg/100 g으로 분석되었다. HS-SPME/GC-MS를 이용한 분석에서 우렁쉥이의 휘발성분은 1-octanol, trans-2-decenal, 1-decanol 등이 검출되었다. 염증을 유도하는 대식세포에서 우렁쉥이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MC, EA 분획물에서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렁쉥이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