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해연보 자료를 이용한 지역 단위 수해폐기물 발생량 예측 모형 개발: 울산광역시 사례 연구

        박만호,김호남,주문솔,김희종,김재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5 No.8

        Since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extreme rainfall events, concerns on flood management have also increased. In order to rapidly recover from flood damages and prevent secondary damages, fast collection and treatment of flooddebris are necessary. Therefore, a quick and precise estimation of flood debris generation is a crucial procedure in disastermanagement. Despite the importance of debris estimation, methodologies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Given theintrinsic heterogeneity of flood debris from local conditions, a regional-scale model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esti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significant damage variables to predict the flood debrisgeneration, 2) to ascertain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and 3)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ebris estimation model. The scope of this work is flood events in Ulsan city region during 2008-2016.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test andmulticollinearity test, the number of damaged buildings, area of damaged cropland, and length of damaged roads werederived as significant parameters. Key parameters seems to be strongly dependent on regional conditions and not onlyselected parameters but also coefficients in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previous studies. The debris estimationin this study has better accuracy than previous models in nationwide scale.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aregional-scale flood debris estimation model will enhanc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 주파수대역 정보를 이용한 가변률 IMBE-LP 음성부호화 알고리즘

        박만호,배건성,Park, Man-Ho,Bae, Geon-Seong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3

        MBE(Multi-Band Excitation) 음성부호화 방식은 프레임 단위로 유/무성음을 구분하는 기존의 분석-합성 방식과는 달리 한 프레임 내에서의 주파수 영역을 여러 대역으로 나누고, 각 대역별로 유/무성음 구간을 판정하여 그에 맞는 여기신호를 이용하여 음성을 합성한다. 이러한 MBE 방식은 프레임 단위로 유/무성음을 구분하는 기존의 방식들이 갖는 합성음의 buzziness 영향이나 잡음이 섞인 음성을 분석할 때 생길 수 있는 유/무성음 판정 오류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IMBE-LP 방식은 MBE 방식을 이용하여 2.4 kbps의 저전송률을 얻기 위한 음성부호화 알고리즘으로 MBE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 대역별 스펙트럼 정보를 LP(Linear Prediction) 계수로 모델링 한다. 본 연구에서는 2.4 kbps IMBE-LP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주파수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프레임의 음성특성에 따라 LP차수를 달리 함으로써 전송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The Multi-Band Excitation(MBE) speech coder uses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excitation signal. It replaces the frame-based single voiced/unvoiced classification of a classical speech coder with a set of such decision over harmonic intervals in the frequency domain. This enables each speech segment to be a mixture of voiced and unvoiced, and improves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by reducing decision errors that might occur on the frame-based single voiced and unvoiced decision process when input speech is degraded with noise. The IMBE-LP, improved version of MBE with linear prediction, represents the spectral information of MBE model with linear prediction coefficients to obtain low bit rate of 2.4 kbp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ariable rate IMBE-LP vocoder that has lower bit rate than IMBE-LP without degrading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To determine the LP order, it uses the spectral band information of the MBE model that has something to do with he input speech's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results are riven with our findings and discussions.

      • 폐기물매립지의 매립구역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 분석

        박만호,김재영,정상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폐기물 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해 매립가스가 발생하며 CH4가 그 중 40-60%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5th Assessment Report(AR5)에서 폐기물 부문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3%에 달하며 그 중 매립지에 의한 배출량을 43%라고 보고하였다. CH4는 지구온난화지수가 이산화탄소의 21배에 달하는 온실가스지만(UNEP, 2002), 회수하면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 온실가스 저감과 CH4를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면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의 불확도를 낮춰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규모가 큰 매립지는 매립장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구역 별로 매립량, 매립 폐기물 조성, 매립 공사시기 등이 달라 매립 구역 별로 매립가스 발생 특성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매립구역 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대해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연구가 수행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포집정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해 매립가스 포집량을 계산하고, 매립구역 별로 매립가스 발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도권 매립지 제2매립장에서는 246일에 걸쳐 699개 포집정에 대해 매립가스 유량, 온도, 성상, 포집압력 등을 모니터링하였다. 포집정 별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하여 각 날짜별 CH4 포집량을 파악하였고, 각 매립구역에 위치한 포집정들의 포집량의 합을 매립구역에서 발생량으로 보아 매립구역별 발생량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매립구역 별 발생량을 날짜에 대해 적분해 연간 발생량을 ArcGIS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고, 매립구역 별로 다른 양의 매립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5개 매립구역에 대해 246일 간 발생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검정통계량 F=819.04, 유의확률은 P(F≥819.04)≒0이었다. 이로부터 매립구역에 따라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유의수준 5%에서 내릴 수 있다. 최종매립연도와 CH4 발생량을 회귀분석하였으나 상관계수가 극히 낮아 매립 경과만으로 구역별 발생 양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매립구역 별 매립가스 발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매립가스 발생량 모델의 배출계수를 매립구역별로 산정하면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이 더 정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폐기물매립지의 매립구역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 분석

        박만호,정상재,김재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폐기물 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해 매립가스가 발생하며 CH<sub>4</sub>가 그 중 40-60%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5th Assessment Report(AR5)에서 폐기물 부문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3%에 달하며 그 중 매립지에 의한 배출량을 43%라고 보고하였다. CH<sub>4</sub>는 지구온난화지수가 이산화탄소의 21배에 달하는 온실가스지만(UNEP, 2002), 회수하면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 온실가스 저감과 CH<sub>4</sub>를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면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의 불확도를 낮춰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규모가 큰 매립지는 매립장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구역 별로 매립량, 매립 폐기물 조성, 매립 공사시기 등이 달라 매립 구역 별로 매립가스 발생 특성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매립구역 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대해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연구가 수행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포집정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해 매립가스 포집량을 계산하고, 매립구역 별로 매립가스 발생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도권 매립지 제2매립장에서는 246일에 걸쳐 699개 포집정에 대해 매립가스 유량, 온도, 성상, 포집압력 등을 모니터링하였다. 포집정 별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하여 각 날짜별 CH<sub>4</sub> 포집량을 파악하였고, 각 매립구역에 위치한 포집정들의 포집량의 합을 매립구역에서 발생량으로 보아 매립구역별 발생량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매립구역 별 발생량을 날짜에 대해 적분해 연간 발생량을 ArcGIS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고, 매립구역 별로 다른 양의 매립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5개 매립구역에 대해 246일 간 발생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검정통계량 F=819.04, 유의확률은 P(F≥819.04)≒0이었다. 이로부터 매립구역에 따라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유의수준 5%에서 내릴 수 있다. 최종매립연도와 CH<sub>4</sub> 발생량을 회귀분석하였으나 상관계수가 극히 낮아 매립 경과만으로 구역별 발생 양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매립구역 별 매립가스 발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매립가스 발생량 모델의 배출계수를 매립구역별로 산정하면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이 더 정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후두 및 하인두 편평세포암종에서 Level I 경부청소술의 유용성

        박만호,허성철,유승주,남순열,김상윤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0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Metastasis to the submental and submandibular lymph nodes rarely occu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evel I neck dissect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Materials and Methods : Forty-thre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ositive cervical nodal involvement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treated between 1989 to 1998 were reviewed.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including level 1,28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excluding the level 1. Results : The regional recurrence at the level I in patients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excluding the level I, was shown in only one case (recurrence rate 3.6%), but this patient was efficiently managed with salvage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No recurrence was shown in patients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including the level I. So, total recurrence rate at the level I was 2.3%.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dissection of the level I is not justified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even if metastasis to cervical lymph node was confirmed preoperatively (c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