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곱 나팔 재앙의 의미(계 8:2-11:19)

        박두환(Doo-Hwan Park) 한국신약학회 2010 신약논단 Vol.17 No.4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나팔 재앙의 신학적 의미를 통시적-공시적인 방법을 통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재앙신학에 대한 전승사적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이것이 검토될 것이다. 먼저 구약성서의 재앙신학이 다루어지게 되는데, 창조신학과의 관계, 출애굽기의 재앙신학, 예언서와 묵시문헌에 나오는 재앙신학이 다루어진다. 그 다음, 유대교의 재앙신학, 특별히 유대묵시문헌에 나오는 재앙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드러나는 일곱 나팔 재앙의 신학적 의미와 묵시적 교훈들을 살펴볼 것이다. Das Thema dierser Artbeit lautet “Das apokalyptische Verstandnis uber die Plagenerzahlung in der Offenbarung des Johannes”. In dieser Arbeit werden apokalyptischen Bedeutungen und Mahnungen durch diachronisch-synchronische Methoden behandelt. Die Plagen der sieben Posaunen werden im kosmologischen Perspektiv dargestellt. Sie lassen sich nicht nur als ein Prozess der apokalyptischen Eschatologie, sondern auch als die theologie der Plage verstehen. In dieser Arbeit wird die Traditionsgeschichte von Plagenerzahlung bearbeitet: Erstens werden die Plagenerzahlung vom AT, d. h. das Verhaltnis mit der Theologie der Schopfung, Plagenerzavom Exodus, Plagenerzahlung vom Prophetenbuch und Daniel erhellt. Zweitens wird die Plagenerzahlung vom Judentum, besonders von judischen apokalyptischen Literaturen behandet. Drittens werden viele verschiedene Bedeutungen und Mahnungen der Plagenerzahlung betrachtet.

      • KCI등재

        헬리데크 설계를 위한 유한요소해석 기반 매개변수연구

        박두환(Doo-Hwan Park),박용준(Yong-Jun Park),박주신(Joo-Sin Park),김정현(Jeong-Hyeon Kim),권병철(Byoung-Cheol Kweon),이제명(Jae-Myung Lee) 한국해양공학회 2014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8 No.5

        A helideck is a very valuable offshore structure for the take-off and landing of a helicopter. In order to design a helideck, the design parameters and various loads defined by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design of a helideck should be applied. In this study, a risk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helicopter accidents for seven years, and the frequency and possible reasons for accidents involving helideck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steel helideck mounted on the upper deck of a ship (shuttle tanker) was performed with the load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helideck. Based on the results, a parametric study of helideck was carried out by applying a variety of design parameters, and an improved helideck design was presented. This improved helideck reduced the steel used by up to 24% compared to the initial helideck design, and the results of a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initial analysis.

      • Hybrid GA-PID WAVENET 제어기를 이용한 모형 헬리콥터 시스템의 자세 제어

        박두환(Doo-Hwan Park),성상규(Sang-Kyu Sung),이오걸(Oh-Kel Lee),이준탁(Jun-Tark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4 No.1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비선형 동특성을 가지는 실제 헬리콥터의 회전 빛 자세 운동을 근사화한 모형 헬리콥터의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정지 자세 제어를 위하여 WAVENET 제어기와 PID 제어기를 설계하였으며. WAVENET의 신경망 연결 가중치(weight) 및 웨이브렛의 신축 및 이동변수와 PID 제어기의 죄적 이득 계수를 GA를 사용하여 조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과도 응답 특성이 우수한 WAVENET 제어기와 정상 상태 특성이 우수한 GA-PID 제어기를 Hybrid 형태로 구성한 Hybrid GA-PID WAVENET 제어기를 비선형 시스템인 모형 헬리콥터 시스템에 적용하여 제안한 제어기 설계 알고리즘의 유효성과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두 증인 (ὁ δύο μάρτυς)에 관한 전승사적 연구

        박두환(Park, Doo-Hwan) 한국신학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1

        본 논문의 제목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두 증인(ὁ δύο μάρτυς)에 관한 전승사적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요한계시록 11장 1-14절을 중심으로 본문에 등장하는 두 증인에 대한 전승사적인 내용이 다루어질 것이다. 즉 구체적으로 어떤 짐승 자료에서 이 두 증인이 발견괼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런 전승사적인 증언들이 요한계시록에서 수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이런 연구를 통해 요한계시록에서 강조되고 있는 이 두 증인의 신학적 의미들이 다루어질 것이다. 요한계시록 저자는 본문에 나오는 두 증인을 구약성서와 유대 묵시문학적 배경을 통해 전승사적으로 수용하고 있지만 다른 한 편에서는 1세기 초기 그리스도교를 배경으로 삼는 초기 그리스도교 전승사를 통해 철저히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관점과 박해의 순교적 관점에서 볼 때 전승사적으로 두 증인은 그리스도교 초기 순교로 볼 수 있는 주의 제자 야고보와 스데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은 이제 종말의 증인으로 나타나 메시아의 재림을 준비한다. 본문에서 강조되고 있는 두 증인에 대한 중요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1. 두 증인의 능력, 2. 두 증인의 고난과 죽음, 3. 두 증인의 부활과 생명. The title of this paper ist a study on the tradition history of the two Witnesses in ApkJoh 11:1-14. Hier should be handled with care the two Witnesses not only in historical perspective, but also in theological perspective. The tradition of the two Witnesses was expanded production at that time, the Israel. If you look at traditional private was made use of such central concept both in the Old Testament and in many apocalyptical literatures of Israel. So is it not difficult to find this important concept in many written Traditions, that on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mong them. Hier can we comprehend, that the author of the book of revelation had received these traditional contents from the Jewish background about that time, that he has thrown fresh light on this important concept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ly Christianity. At the conclusion were mentioned thre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Witnesses in ApkJoh 11:1-14: 1) The Power of the two Witnesses, 2) Tribulation and death of the two Witnesses, 3) The resurrection of the two Witnesses.

      • KCI등재후보

        하나님의 백성과 생존의 문제 ; 요한계시록의 고난과 죽음에 관한 종교사-전승사적 연구

        박두환 ( Doo Hwan Par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5 No.-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고난과 죽음에 관한 이해로서 요한계시록의 고난과 죽음에 관한 신학적 의미를 규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종교사적인 방법을 통해 페르시아와 그리스-로마의 고난과 죽음에 관한 종교사적인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전승사적인 연구를 통해 이런 개념이 그리스도교 전승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피려고 한다. 종교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요한계시록의 고난과 죽음은 내용과 신학적인 경향에 따라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편만해 있었던 조로아스터교의 고난과 죽음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로마 지역에서 형성된 고난과 죽음 이해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조로아스터교의 고난과 죽음이해는 형식적으로 묵시문헌적인 고난과 죽음에 속한다. 이 세상에 팽배한 인류와 우주의 고난과 죽음은 사탄과 그의 하수인들에 의해 불의와 박해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고난과 죽음은 어떤 사람도 회피할 수 없는 사건으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죽음의 시간을 향해 끊임없이 다가간다. 전승사적으로는 이런 묵시적 고난과 죽음은 구약성서와 신구약중간기 문헌들에서 어려움 없이 발견할 수 있다. 전승사적인 묵시문학적 전승들은 대부분 이런 인류와 우주의 고난과 죽음에 대한 성찰들을 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이런 성찰들을 통해서 얻게 되는 결론들이 있는데, 그것은 이 모든 것들의 배후에는 사탄과 악마들이 있다는 것이다. 요한계시록 저자는 이것을 단순히 전달하는 전승의 전달자가 아닌 전승의 새로운 해석자로서 이 글을 쓰고 있다. 그는 단순한 유대인이나 아니면 유대교의 묵시문학가적인 자의식으로 이 내용을 기록하지 않고 철저히 그리스도교의 자의식을 가지고 기록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의 고난과 죽음의 신학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첫번째는 그리스도인들의 고난과 죽음의 신학이 반영되고 있다. 요한계시록에서 언급되고 있는 고난을 받거나 죽임을 당하는 사람들은 유대교나 다른 종교인이 아닌 철저히 그리스도교적인 차원에서 언급되고 있다. 두 번째는 묵시적 공동체의 고난과 죽음이 강조되고 있다. 세 번째는 우주적 고난과 파멸(8:6-11:19)을 강조하고 있다. Das Thema dierser Artbeit lautet eine Untersuchung uber Apokalyptisches Leiden und Tod in der Offenbarung des Johannes. In dieser Arbeit werden die geschichtliche und theologische Bedeutungen vom Apokalyptischen Leiden und in der Offenbarung des Johannes behandelt. Religionsgeschichtlich gesehen wurden dieseartige Begriffe auf der einen Seite in der Hellenistischen und greco-romanischen Welt, auf der anderen Seite im Zoroastrismus bzw. in Persien weiter verbreitet. Leiden und Tod vom Zoroastrismus gehoren zum apokalytischen Verstehen. Unter diesem Verstehen steht Plage von Satan und seinen Anhangen. Leiden und Tod lassen sich nicht vermeiden und uberwinden. Traditionsgeschichtlich gesehen sind sie sowohl in AT als auch in der judischen apokalytischen Literartur vorhanden. Hier handelt es sich darum, dass Leiden und Plage von Menschheit und Kosmos von Satan und seinen Anhangen kommen. Schlieslich konnen die theologischen Bedeutungen von Leiden und Tod in ApkJoh folgendermasen zusammengefast werden: 1. Johannes behauptet Apokalyptisches Leiden und Tod von den damaligen Christen(6:1-11). 2. Er stellt Apokalyptisches Leiden und Tod von den damaligen Ekkleisiai gegen Kaiserkult von Domitianus(13:11-18) dar. 3. Es gibt die Annehmung von die Apokalyptischen Plagen von Kosmos(8:6- 11:19): Plage von Erde(8:6-7), von See(8:8-9), von Meer und Urquelle(8:10-11), von Sonne, Mond und Stern(8: 12-13), von Abysus(9:1-12), von Bewegung von Kosmos(11:15 -19).

      • KCI등재

        순교자의 탄원기도(계 6:9-11)에 대한 전승사적 연구

        박두환(Park, Doo-Hw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6

        필자는 본 논문에서 "순교자의 탄원기도(계 6:9-11)에 대한 전승사적 연구"를 시도할 것이다. 전승사적으로 볼 때 순교자의 기도는 이스라엘과 에클레시아의 예배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을 위로 하고 격려하였다. 이를 위한 증거 본문들은 구약성서, 유대교 묵시문헌 그리고 신약성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위 본문들은 죽은 자들의 영혼의 고통과 슬픔, 위로와 희망, 이들에 대한 약속과 마지막 심판을 다루고 있다. 엄청난 불의에 관한 고발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고통과 슬픔 그리고 의로 운 자들이 목숨을 잃게 된다는 고발을 통해 그 당시의 시대적인 사회상을 고발하고 있다. 그래서 위로와 희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의인들의 기도는 하나님께 상달되고 의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위로와 희망을 간직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로써 그들은 묵시적 실존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국 불의한 자들과 세력들은 심판을 받고 멸망하게 되고 의인들은 구원을 얻게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어질 묵시적 기도인 순교자의 탄원의 기도는 전승사적인 다른 기도들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묵시적 기도는 산자의 기도가 아니라 죽은 자들의 기도이다. 이미 죽은 자들이 탄원의 기도를 드리고 있다. 둘째, 묵시적 기도의 주체자로서 등장하는 죽은 자들은 제자나 사도가 아닌 순교자들로 명시된다. 셋째, 이 순교자들은 지금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다. 이런 묵시적 기도를 통해 그 당시 하나님 나라 운동의 사회적 정황이 파악될 수 있다. 이 기도 속에는 묵시적 박해 속에 있던 그 당시 공동체와 성도들을 위로하고 사탄의 세력에 맞서 승리해야만 한다는 경고와 훈계가 담겨 있다. Das Thema dieser Arbeit lautet "Eine traditionsgeschichtliche Untersuchung von Klage von Märtyrern in der Offenbarung des Johannes 6:9-11." Traditionsgeschichtlich gesehen wird dieseartiges Gebet nicht nur im Alten Testament, sondern auch in der jüdischen apokalytischen Literartur gefunden. Hier handelt es sich nicht nur um die Verfolgung der Toten, Tröst und Paränese, sondern auch um Verabredung und Gericht. Durch Apokalyptische Plage wurden diesartigen Verfolgungen passiert. So waren Tröst und Paränese notwendig in der dalamilgen zeitgeschichitlichen Situation. Einige spezifische Merkmale lassen sich im Vergleich mit anderen traditonsgeschichtlichen Klagen finden: Erstens geht es hier nicht nur um die Verfolgung der Toten, sondern auch der Lebenden. Zweitens handelt es sich hier nicht um Apostel und Jünger, soneren um Märtyrer. Drittens ist ihr Gebet für die Lebenden. darum hier kann die gesellschaftlichen Umstände der Gemeinde erklärt werden. Schlißlich sollen damalige Ekklesia und lebendige Gläubige im Kampf gegen Satan Geduld haben, zur endgültigen Siege ihre gegenwärtige Mission vollenden.

      • KCI등재

        지상의 여인에 관한 전승사적 연구: 요한계시록 12장 13-18절을 중심으로

        박두환(Park, Doo-Hw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3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 12장 13-18절을 중심으로 지상의 여인(γυνὴ εἰς τὴν ἔρημον εἰς τὸν τόπον αὐτῆς)에 관한 전승사적 연구”를 시도하는 것이다. 이 지상적 여인은 실제적인 여인이 아닌 형상언어로서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역사적 연구와 신학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전승사적인 연구를 통해 지상의 여인을 해석하는 다음의 세 가지 시도들을 소개할 것이다: 첫째는 지상의 여인을 유대교의 지혜전승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지혜전승은 구약성서의 지혜전승뿐만 아니라 신구약중간기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책들로는 벤 시락서와 솔로몬의 지혜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이런 방식으로 해석할 경우 유대교의 지혜 신학적 관점에 너무 제한된다. 두 번째로 지상의 여인에 관한 주장은 주로 가톨릭 신학에서 제기된 견해로 볼 수 있다. 이런 주장은 12장 2절을 근거로 삼고 있는데 설득력은 매우 희박하다. 다음 견해는 이런 전승사적인 해석을 유대교를 넘어 초기 그리스도교의 하나님 날 운동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로서 지상의 여인을 새 이스라엘인 교회, 즉 초기 에클레시아로 해석하려는 시도와 논리적 근거들이 더 설득력을 지닌다. 요한계시록 저자는 이런 전승사적 개념을 수용하여 그의 묵시적 교회론에 어떤 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그런 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1) 지상의 여인은 묵시적 그리스도교 교회를 상징한다. 2) 사탄의박해와 위협 그리고 하나님의 보호하심. The title of this paper ist a study on the tradition history of the woman on the earth(γυνὴ εἰς τὴν ἔρημον εἰς τὸν τόπον αὐτῆς) in revelation 12:13-18. Here should be handled with care the woman on the earth not only in historical perspective, but also in theological perspective. If you look at traditional private was made use of such central concept both in the Old Testament and in many apocalyptical literatures of Israel. According to recent study of the tradition history can be introduced three opinions on the whole. The first attempt say that the woman on the earth is construed as wisdom in terms of the tradition of wisdom(Ben Sirah, Wisdom of Solomon etc.). But this argument lacks persuasion, because it is remained only in the Jewish background. The second time say that she can be interpreted as Mary, mother of Jesus who theological opinion of Roman Catholic is reflected in its full extent. But this argument lacks persuasion, because it is remained only in the Roman Catholic. The third attempt say that she can be interpreted as the church, new Israel. This argument is persuasive, because it is remained not only in the Jewish background but also in the background of early Christianity. At the conclusion were mentioned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woman on the earth in revelation 12:13-18: 1) she as a symbol for the apocalyptical church, 2) Tribulation of the church and God’s hel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