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콘텐츠 제작 연구

        박다해,Park, Dahae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2 트랜스- Vol.13 No.-

        This study predicts the paradigm shift tha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bring to the production of music content, and suggests that works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can have artistic value as finished products. Anyone can easily produce music cont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s,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inspire artists with various attempts and creative ideas.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rovides convenience in human life and benefits a lot in the efficient aspect of work, it is difficult to escape the perception of data-based pattern music in the art field so far. Pattern music with many quantitative elements is not recognized as a complete creation due to the absence of abstract symbolism or meaning pursued by art. However, it predicts that if qualitative elements such as emotions and creativity are given to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through human collaboration, it can be recognized as a complete work of ar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reases access to culture and art from the public, and it can be expected that anyone can enjoy it as well as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various contents can be produced by improving individual digital literacy, and it is an opportunity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s su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erves as a medium connecting the public with culture and art, and is narrowing the ga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through art activities. Along with this cultural phenomenon, we predict the possibility of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contents with artistic valu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vergence and complex art cont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uture.

      • KCI등재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음악 수업 설계 연구 : Prompt 기반의 생성형 AI 저작도구 중심으로

        박다해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학교음악교육 현장을 고려한 음악 수업 모델을설계하고,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다. 더불어 기후· 생태환경 변화, 인구 구조 변화 등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복잡성과 다양성이 확대되면서 사회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학교 현장에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학습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방식을 적용하여 프로젝트기반학습(PBL, Project-Based Learning)을 위한 음악 수업 모델과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와 연계하여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 음악교과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내용요소를 고려한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창작 활동 중심의 음악 수업 지도안 방안 연구를 진행했다. 현재 Prompt 기반의 생성형 AI 기술 보급이 점차 확대되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현장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동향을 반영하여 실제 음악교육 수업에 보급될 수 있는 OpenAI 저작도구를 활용한 음악 수업 모델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se Generative AI technology to design a music class model that considers the field of school music education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quir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study guidance measures considering the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need for cooperation to solve social problems is required in the school field as social uncertainty increases, such as changes in clim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complexity and diversity expand. To this end, this study designed a music class model and guidance plan for project-based learning (PBL) by applying a Blended Learning class method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lear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a music class guidance plan centered on creative activities using OpenAI authoring too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usic subject. Currently, as the spread of Prompt-based Generative AI technology gradually expands, education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being activated not only in school education sites but also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sites. Reflecting these educational trends, we propose a music class model and guidance plan using OpenAI authoring tools that can be distributed to actual music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사물 요구하기 행동의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

        박다해(Park, Da Hae),김은경(Kim, Eun Kyung) 한국자폐학회 2017 자폐성 장애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중재가 언어이전기의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사물 요구하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관습적인 몸짓이나 발성으로 원하는 사물을 요구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만 3세의 자폐성 장애 여아 3명이었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각 유아의 가정에서 중재가 이루어졌다. 중재는 PECS의 여섯 단계 중 3단계까지 실시하였고, 매 회기마다 관찰-중재-촉진자 피드백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촉진자로는 유아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중재의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3주 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연 3회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였고, 일반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가 의사소통 상대 자가 되어 유아와 간식을 먹는 상황에서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마다 간헐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PECS를 활용한 중재를 통해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사물 요구하기 행동은 향상되었고, 중재에 의해 습득된 사물 요구하기 행동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다른 대상과 상황에서도 중재 효과가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기개입이 요구되는 학령전기의 자폐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PECS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의 기본 원리인 상호 교환성을 이해시키고, 자발적인 의사소통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유아의 자연스러운 환경인 가정에서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를 활용하고, 어머니를 참여시킴 으로써 습득한 행동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on requesting behavior of preschooler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s were three preschool gir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PECS phases 1-3 were implemented in the subjects’ homes and data were collected during natural activities.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and the five s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across situation and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C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quest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Third, requesting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ized to situation and subject. These results imply that PEC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 of preschooler with ASD.

      • KCI등재

        실업계 남자 고등학생의 화장품 사용 및 구매 양상

        박다해(Da Hae Park),김미영(Mi young Kim),문덕환(Deog Hwan Moon)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5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on the study of cosmetics and to assess the purchasing behavior and use of cosmetics among male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a demographic that has shown recent significance in the cosmetics market.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800 male students of business high schools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pril 5th to 16th,2010.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5 item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2 items regarding usage of cosmetics, and 5 items regarding purchase behavior of cosme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se rate of cosmetics was 83.0% total; 48.2% for acne treatments, 31.9% for hair care cosmetics, etc. The rate of hair coloring experience was 57.3%. The reasons for the use of make-up included covering of freckle(33.3%), appealing expression(27.6%), and sun protection(24.1%), etc. Regarding purchasing behavior, the method of purchase was via a family member(64.4%), the route of purchase was through a specialty store and beauty salon(53.5%), the cost of purchase items was less than 20,000 won monthly(88.4%), and expenses were born by parents(54.6%), Factors considered in the purchase of cosmetics goods were price(54.4%), quality(54.4%), and recommendation(43.8%). The use rate of cosmetics increas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grade level, an increase in family income level, and an increase in interest by features. A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is study can recommend the supply of cosmetics with high quality and low price for male students of business high schools, the reinforcement of advertising of basic cosmetics, cosmetics for acne and cosmetics for hair care.

      • KCI등재

        어머니-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성향 유아의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다해(Park, Da Ha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논총 Vol.33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성향 유아가 유치원에서 보이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만 5세의 ADHD성향을 보이는 남아 1명이며, 연구 설계는 상황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시하였다. 중재는 기능평가에 근거한 배경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후속결과를 포함하는 다중요소중재를 계획하여 유아의 어머니, 담임교사, 연구자가 팀을 이루어 가정과 유치원에서 실시하였고, 중재 종료 1주 후 유지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유치원 오전 일과 중에 나타나는 ADHD 성향 유아의 문제행동 발생률은 기초선 보다 감소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조기 진단 및 중재가 강조되는 학령전기의 ADHD 성향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환경인 유치원에서 담임교사와 어머니의 주도하에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여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with mother-teacher collaboration on problem behavior of a Child with at-risk ADHD at Kindergarten. Method: The subject was a 5 years old boy with at-risk ADHD and individualized PBS with functional assessment was implemented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conditions design.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setting events and antecedent events, alternative behaviors, consequences and child’s mother and teacher implemented interventio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were observed in a class room during routine When he had to change to another activ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 problem behavior was reduced through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mother-teacher collaboration. Seco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 problem behavior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Conclusion: Implication for implementing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discussed.

      • KCI등재

        과학탐구실험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에서 과학교사의 평가 실태와 평가 지향 조사

        김민환,박다해,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6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1단원 ‘역사 속의 과학 탐구’에서 과학교사들이 실행한 평가 사례와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전형적인 가상의 상황에서 지향하는 평가 사례를 조사하였다.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역사 속의 과학 탐구’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70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중 8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응답한 평가 사례를평가 영역과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평가 실태와 평가 지향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 실태에서 평가 영역은 탐구 능력이 가장 많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핵심 개념인 ‘과학의 본성’과 ‘과학자의 탐구 방법’을 평가한 사례는 적었다. 평가 방법은 보고서에 크게 치우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이 활용되지 못했다. 평가 지향에서는 핵심 개념을 평가한 사례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절대적인빈도는 여전히 적은 수준에 머물렀다. 평가 지향의 평가 방법은 측정방법의 평가가 줄고 수행 방법의 평가가 증가하였고 실태에서는 나타 나지 않았던 비형식 방법의 평가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여전히 다양한 평가 방법이 활용되지 못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의 의견을바탕으로 설문 결과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실험에서 NOS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성인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이 디지털 역량개발에 미치는 영향

        장지은,박다해,김상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4 리터러시 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근년 확산하여 온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이 교육성과로서의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151명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을 추구하는 정도를 조사하였고 학습성과로서 그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SPSS 27.0 프로그램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에서의 교육 형식성이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에서 교육 형식성은,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양적 형식성(프로그램의 체계성, 전문적인 강사, 평가 등) 보다는 질적 형식성(단계적 계속학습, 관련내용의 확장학습)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정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에서 학교교육의 형식성을 활용할 때는, 성인학습자가 앎의 질을 계속적으로 높이고 넓히는 경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질적 형식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ducational formality on developing dig ital competency, a key outcome of digital literacy learning for adults, which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We surveyed 151 adult learners with experience in digital literacy learning to assess their pursuit of formal learning structures and measured their resulting digital capabilit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 27.0 software revealed a positive impact of educational formality on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However, qualitative aspects of formality, such as step-by-step continuous learn ing and the exploration of related content, were shown to exhibit greater influence tha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program struc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evalu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ult digital literacy programs opera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stress qualitative formality to foster adult learners‘ continuous improvement and knowledge growth.

      • KCI등재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정보 탐색에 대한 연구

        송나윤,박선영,박다해,노태희,강석진 대한화학회 2023 대한화학회지 Vol.67 No.4

        This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y observing the process of seeking information needed in a Socioscientific issues (SSI) debate class. Twenty-four fourth-yea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SI debate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biofuel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go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Reviewing’, ‘Interpreting’, and ‘Evaluating and Reorganizing’ stages when seeking information. The searching stage is divided into identifying topics, role division, and standard setting for a search. The reviewing stage is divided into reviewing sources and reviewing contents. The interpreting stage is divided into interpreting an information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from an integrating aspect. In addition, the evaluating and reorganizing stage is divided into evaluating information and reorganizing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difficulty reviewing information and interpreting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aspect. Also, it was found that evaluating information activity among preservice teacher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ffects the level of argumentation in discussions.

      • KCI등재

        Short Communication : 도축검사 후 지방성 병변과 축산물 품질 연관성 조사

        성창민 ( Chang Min Sung ),지태경 ( Tae Kyung Ji ),최종욱 ( Jong Wook Choi ),박다해 ( Da Hae Park ),박대희 ( Dae Hee Park ),김현중 ( Hyun Joong Kim ),김용환 ( Yong Hwan Kim ),김은선 ( Eun Sun Kim ) 한국가축위생학회 2013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6 No.2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laughter inspection results and the quality of cattle carcasses by inquiring animal products grading service results of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KAPE) about partial-disposed cattle carcasses after dismantling inspection. Of the 13,586 slaughtered cattle, 1,343 (9.9%) cattle heads were partially disposed from January to August, 2012 at slaughterhouses in Gwangju area, Korea. Of the 1,343 partial disposed cattle, 613 (45.6%) cattle carcasses were graded into above "Grade 1". Among partially disposed 1,171 Hanwoo heads, 613 (52.3%) cattle carcasses were graded into above "Grade 1". However, none of dairy and beef cattle carcasses were graded into above "Grade 1" out of 163 and 9 partial disposals, respectively. Of the 221 partial disposals by enteric fat necrosis, 139 carcasses were graded into above "Grade 1", and the ratio; 62.9% (P=0.001), was higher than that (50.3%) of total cattle carcass grade which is above "Grade 1".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quality of cattle carcasses which is mainly determined by marbling might be related to the fatty lesions such as fatty liver and enteric fat necr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