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박나운,장상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조사대상은 경남, 대구, 서울, 인천, 세종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담당 유아교사 378명으로, 2023년 1월 27일부터 3월 7일까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대한 인식을 질문지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놀이 실행 수준은 중간 이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디지털 놀이 실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For data collection, 37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Daegu, Seoul, Incheon, and Sejong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digital literacy,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27 Jan 2023 to 7 Mar.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SPSS 27.0.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was in high level, and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above medium level. Second, there were found som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 education is required to support thi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한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박나운 ( Na Eun Park ),황희숙 ( Hee Sook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reativity education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ophomor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sed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most people do not fully use their creative abilities and imaginations because of well-learned habits, an repressive environment, and fears and insecuritie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goals of creativity education include student-selected content,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They have learned that teachers should permit young children to express themselves and develop positive self-concept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plans for creative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의 교재교구개발 경험의 의미 탐색

        황희숙,박나운,이새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P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 로 하였고, 예비 유아교사들이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하여 교재교구를 개발해보는 과정에서 수집된 개 인 성찰일지 및 교재교구 제작 일지, 2회에 걸쳐 이루어진 집단 면담의 전사 자료를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학습자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창의성이란 누구에게나 있는 것`,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기`,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즐기기` 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 유아교사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창 의적인 교재교구 개발은 유아에 대한 사랑이다`, `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물꼬: “나도 창의적인 교사 가 될 수 있어요”`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은 그들의 창의적인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 탐색

        황희숙,김빛내,박나운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교육을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 한 후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B대학교 유아교육학과 3학년 재학생 20명에게 15주 동안 블렌디드 러닝에 기반한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였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매주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고, 총 5회의 집단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 후, 이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범주인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는 익숙한 것을 특별하게 느끼기,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 시간, 자유로운 생각을 가능하게 하는 재미있는 창의성 수업, 생각 공유하기는 나의 생각을 키우는 씨앗,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학습, 다양한 상호작용이 주는 학습 효과로 범주화되었다. 두 번째 범주인 예비 유아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는 유아 창의성 수업은 어려운 것이 아닌 내가 계획할 수 있는 것, 유아 창의성 수업은 나도 재미있고 유아도 재미있는 수업,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고민의 시간은 나의 발전의 계기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지식에 접근 하는 것이 용이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블렌디드 러닝을 교수방법으로 한 창의성 교육이 예비 유아교사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 속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해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수방법과 학습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는 블렌디드러닝에 주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액션러닝을 적용한 창의성 수업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황희숙(Hwang Hee Sook),박나운(Park Na woon),김빛내(Kim Bit Na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액션러닝 기반 창의성 수업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P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육대학원생 12명에게 15주 동안 액션러닝 기반 창의성 수업을 제공하였고, 그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매주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고, 총 3회의 집단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 후,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분석적 귀납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해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우물 밖으로 나오다’, ‘아이들을 새롭게 바라보다, ‘나의 수업을 돌아보다’, ‘창의적 교사로 나아가다’로 주제화 되었다. 즉, 본연구의 결과는 액션러닝을 적용한 창의성 수업이 유아교사의 창의성 개념에 대한 인식, 창의적인 사람의 성향에 대한 인식, 유아의 창의적 능력에 대한 인식, 반성적 사고를 통한 수업에 대한 인식, 창의적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을 변화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액션러닝을 기반으로 한 창의성 수업이 효율적인 창의성 교사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action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12 graduat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Action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was conducted during 15 week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in action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write self-reflective journals every week and were interviewed in groups 3 times during th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action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creativity teaching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reconceptualized creativity as “what exists in us” and “what can be improved by educa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perceived young children as free and creative agent. Finally,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creativity education is “what s not difficult to perform but could be planned by myself.”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provisions for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promote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의 교재교구개발 경험의 의미 탐색

        황희숙 ( Hwang Hee Sook ),박나운 ( Park Na Woon ),이새별 ( Lee Sae Byeo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Root-Bernstein과 Root-Bernstein(2007)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P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예비 유아교사들이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하여 교재교구를 개발해보는 과정에서 수집된 개인 성찰일지 및 교재교구 제작 일지, 2회에 걸쳐 이루어진 집단 면담의 전사 자료를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학습자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나의 잠재된 창의력 들여다보기`,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기`,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즐기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 유아교사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창의적인 교재교구개발은 유아에 대한 사랑이다`, `창의적인 교재교구는 유아 창의성 발달의 촉매이다`, `창의적 교수 역량에 눈을 뜨다`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 유아교사들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은 그들의 창의적인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Root-Bernstein and Root-Bernstein(2007)`s creative thinking too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ir personal retrospective journal and journal for the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were gathered, and the transcribed data of two group interviews were also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creative thinking tools as individual learners was three-fold: "Looking into my potential creativity," "observing in daily life," and "enjoying challenging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creative thinking tools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three-fold as well: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s the very love for young children," "creativ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serve as a catalyst in fostering the creativity of preschoolers," and "open one`s eyes to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수업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 탐색

        황희숙 ( Hwang,Hee Sook ),김빛내 ( Kim Bit Nae ),박나운 ( Park Naw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수업을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 한 후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B대학교 유아교육학과 3학년 재학생 20명에게 15주 동안 블렌디드 러닝에 기반 한 창의성 수업을 실시하였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매주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고, 총 5회의 집단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 후, 이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범주인 창의성에 대한 재개념화에서 ‘창의성은 일상적이고 친숙한 것’, ‘창의성은 우리 모두에게 있고 변화 가능한 것’로 주제화되었다. 두 번째 범주인 학습자로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창의성 수업 경험의 의미는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업: 자기주도 학습’, ‘놀이처럼 재미있는 창의성 수업’,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한 나의 생각 열기’로 주제화 되었다. 세 번째 범주인 예비 유아교사로서 유아 창의성수업 경험의 의미는 ‘유아 창의성 수업은 어려운 것이 아닌 내가 계획할 수 있는 것’, ‘유아 창의성 수업은 나도 재미있고 유아도 재미있는 수업’, ‘유아 창의성 수업에 대한 고민의 시간은 나의 발전의 계기’로 주제화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수방법과 학습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에 주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0 colleges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was conducted during 15 week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in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education, th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write self-reflective journals every week and were interviewed in groups 5 times during the perio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reconceptualization of creativity, the meanings of experiences taking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classes for learner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First, creativity was reconceptualized as “what we are familiar with”, “what exists in us”, and “what can be improved by education.” Secon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from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classes as learners was “diverse interaction to stimulate thinking”, “interesting classes allowing to think freely”, and “learning without restriction such as time and space.” Finally, the meaning of experience with blended learning-based creativity classes as pre-service teachers was what’s not difficult to perform but could be planned by myself and “what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could be interested” and “must be good time to design the futur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aken together, it’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blended learning that enables to apply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deal with extensive learning contents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