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국 도시쇠퇴와 교통사고 밀도 모형

        박나영,박병호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급속도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서 도시와 인구 모두 빠르게 성장하였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도시가 팽창하면서 구도심이 쇠퇴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와같은 도시화로 인해 구도심의 개발활동이 감소되어 쇠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쇠퇴나 인구공동화, 교통사고 문제와 같은 수많은 도시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도시쇠퇴와 교통사고 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군·구별 사고 밀도 모형을 개발하고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모형의 구축을 위해 전국을 존으로 구분하여 존별 교통사고를 수집하였으며 종속변수는 단위면적당 교통사고 건수, 독립변수로는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는 도시쇠퇴 지표를 적용하였다. 시 모형에서는 사업체변화율, 고령인구비율과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였고, 군 모형에서는 인구변화율, 1000명당 종사자수와 제조업 종사자 비율의 변수가 교통사고 밀도에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도시를 의미하는 구 모형에서는 사업체변화율, 신규건축물 비율과 1000명당 종사자수가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체 변화율, 신규건축물비율과 1000명 당 종사자수가 종합모형에서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도시 쇠퇴와 교통사고는 많은 인과관계가 있으므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적절한 관리 정책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RCP 시나리오 기반 농업용 저수지의 내한능력 평가

        박나영,최진용,유승환,이상현,Park, Na-Young,Choi, Jin-Yong,Yoo, Seung-Hwan,Lee, Sang-Hyun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3

        Agriculture is affected directly by climate conditions and change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reservoirs which are the main water resources for paddy field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nti-drought capacity including water supply capability (WSC) and drought response ability (DRA)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and 8.5 scenarios of CanESM2 (The Second Generation Earth System Model) provided by CCCma (Canadian Center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 The WSC and DRA were estim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runs theory. The six reservoirs (Yooshin, Nogok, Kumsung, Songgok, Gapyung, Seoma) were selected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criteria of reservoir capacity. In case of Seoma reservoir, more than 10 year drought return period (DRP), the variation of the WSC was estimated larger than the others. In case of Yooshin reservior (2~5 DRP) DRC was decreased in 2025s under RCP8.5.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for agricultural reservoirs management and future design criteria consider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irrigation.

      • 콩 아이소플라본 생합성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개발

        박나영,김민진,정도원,정종일,정우석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콩의 대표적인2차대사 산물인 아이소플라본은 발아기의 뿌리 및 배축, 종실발달기의 협, 종실생육후기의 종자 등에서 만들어지며 뿌리혹박테리아의 고정, 환경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내병충성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콩 종실내 아이소플라본의 함량 및 생합성과정은 양적특성을 보이며 몇 개의 QTL은 보고되어있는 실정이다 .특정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는 과정은 육종의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나 기술적으로 근동질계통간 유전체 수준에서 다형성을 발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실험에서는 아이소플라본 생합성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특정 유전자외 전사조절유전자 집단을 이용하여 콩 종실내 다양한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보이는 콩 품종간 다형성을 발굴하였다. 유전자염기서열의 발굴은 두과작물의 모델식물체인 Medicago truncatula 의 데이터베이스를 마이닝하였으며 96개의 국내외 대표적 콩 품종들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특정유전자집단과 다양한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가진 콩 품종등간의 다양성이 비교되었다.

      • 콩 지방산대사 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개발

        박나영,김우열,정승화,최병주,허화영,정종일,정우석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콩은 종실 내 20% 이상의 지방질을 가지며, 그 중 필수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 작물이다. 특정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는 과정은 육종의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지만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실험에서는 지방산대사 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 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특정 유전자 외 전사조절유전자 집단을 이용하여 콩 종실내 지방산 대사관 련 유전자의 다형성을 발굴하였다. 지방산 대사관련 분자마커 개발은 식물의 지방산 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를 동정하고, 염기서열을 확보한 후, Phytozome ftp://ftp.jgi-psf.org/pub/JGI_data/phytozome/v4.0/Osativa 의 DB, 콩과식물의 모델인 Medicago truncatula genome sequencing database(http://www.ncbi.nlm.nih.gov/entrez/viewer. fcgi?db=nucleotide &val=146322218) 와 NCBI 의 EST DB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학생선수의 그릿과 운동성과의 관계에서 운동지속의 매개효과

        박나영,유인창,조아미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it on athlete performance for Taekwondo student-athlete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adherence between grit and athlet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304 student-athletes who have been registered as full-time athletes at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236 male students and 68 female students). Th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athletes are 134 and high school students athletes are 170.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adherence. Second, grit and athlete performa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exercise adher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thlete performance. Such results show that the grit has a positive effect on athlete performance mediating exercise adherence. This means that student-athletes should consider the athletes adherence to further improve their athletic performance with grit. In addition to conventional training methods, leaders can use grit-based training as a new method of co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그릿과 운동성과의 관계에서 운동지속의 매개변인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대한태권도협회에 정식 선수로 등록된 학생선수 304명(남학생 236명, 여학생 68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운동지속과 운동성과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그릿은 운동지속과 운동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운동지속은 그릿과 운동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선수의 그릿이 운동성과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운동지속을 매개로 하여 운동성과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학생선수들이 그릿을 향상함으로써 운동성과를 높일 수 있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함으로써도 운동성과를 이룰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운동 지도자들이 자신의 경험적 지도 방식과 더불어 새로운 지도 방식으로 그릿과 운동지속을 이용하여 운동성과를 낼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Estimation of Seasonal Representation of the Sea Water Temperature Profile Using Machine Learning and Its Effect on the Prediction of Underwater Acoustic Detection Performance

        박나영,김영규,김경옥,손수욱,박종진,김영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2 Ocean science journal Vol.57 No.3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are important physical properties that represent oceanic environments and affect underwater acoustic detection prediction performance. Average ocean data can be used to predict the SONAR detection area in areas where obtaining real-time ocean data or instantly predicting the SONAR detection area is difficult. However, it can yield distorted results. In this study, representative temperature profiles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vertical structure at various temperatures in the study area were obtained using K-means clustering, an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technique. K-means clustering was applied to the temperature profiles obtained from the three stations of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In additi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profiles obtained were compared, an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acoustic detection area obtained from the representative profiles was evaluated. In summer, when the mixed layer was thin, each cluster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of the thermocline. In winter, the clust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ixed layer and thermocline depths, rather than the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of the thermocline. For each obtained cluster, the acoustic detection area was calculated using all the profiles and displayed as a histogram. The acoustic detection area calculated from the representative profile of the cluster was generally close to the average of the acoustic detection area. Thus, K-means clustering can effectively classify temperature profiles physically and acoustically and can potentially be applied in other regions for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 KCI등재

        방울토마토 열매로부터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박나영,이삼빈,노광수,Park, Na-Young,Lee, Sam-Pin,Roh, Kwang-Soo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Neutral saline 추출, ammonium sulfate 침전 및 Sephadex G-200을 사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해 방울토마토 열매에서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트립신을 처리한 사람의 ABO형 적혈구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적혈구에서 가장 높은 응집반응이 관찰되었다. 전기영동 분석에 의해 분자량 10.7 kDa의 강도가 높은 밴드가 확인되었다. 분리된 lectin의 최적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40-60$^{\circ}C$ 범위에서 열에 대해 안정하였다. 또한 최적 pH는 7.2로 조사되었다.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fruit of cherry tomato through neutral saline extractio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ffinity chromatography on Sephadex G-200 was studied. The lectin was agglutinated by trypsin-treated human ABO erythrocytes, and the most pronounced activity of agglutination was observed at B type erythrocyte. The analysis of the lectin by SDS-PAGE showed the high intensity band with molecular weights of 10.7 kDa.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lectin was $40^{\circ}C$ and $40-60^{\circ}C$, respectively. The maximal pH of this lectin was pH 7.2.

      • KCI등재

        남녀 중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천의 성분비교 : 사회관계모형 분석

        박나영,고재홍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사회관계모형에 근거하여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집단따돌림 발생원천의 비율을 가해자, 피 해자 및 관계성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중학생의 집단따돌림의 가해자 요인과 피해자 요인에 각각 관련되는 개인차 변인(예: 자존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따돌림을 시키는 사람이 집단따돌림을 당하는 집단따돌림의 상호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성의 남녀 중학생 4명을 한 집단으로 만든 40집 단을 대상으로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한 구성원들의 상호평가를 통해 각 상대방애 대한 집단따돌림 의도를 알 아보았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집단따돌림은 양자간의 특별한 관계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컸으며, 피해 자 요인보다는 가해자 요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들의 집단따돌림은 주 로 피해자가 유발하는 경향성이 큰 반면, 여학생들의 집단따돌림은 주로 가해자가 유발하는 경향성이 크게 나타 나 대조를 이루었다. 둘째, 남학생은 내향적일수록, 자존감이 낮을수록, 신경증이 클수록 집단따돌림 행동의도가 높았으며, 여학생은 자존감이 낮을수록, 집단따돌림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따돌림의 상호성은 남학생 집단에서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집단따돌림의 상호성이 나타나 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proportions of bully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take place because of actor(harmer), victim, and their unique relationship. Also it was aim to search whether if students' personal variables, including Big-5 personality traits and self-esteem were related with bullying(intention). Forty four-person same-sex groups were consisted with one hundred and sixty middle school students(80 boys and 80 girls). After they filled the prepa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self-esteem and five personality traits, then they rated each of group peers on bullying scale by round robin method. According to Kenny(1994)'s Social Relations Model, intention of bullying was divided to the components of harmer, victim, and their relationship components. We used Kenny(2003)'s statistical package of SOREMO to analysis 40 groups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were followed: First, harmer effect was about 16%, victim effect was about 11%, and their relationship effect was about 46%. This result implied that bullying was far more triggered by their unique relationship than by harmer or by victim did. Second, the students with low self-esteem bullied others more. Especially, the bullying behaviors of the boys had to do with their personality traits. Those who were introvert and felt worse about themselves bullied others more and those who were more neurotic had a higher tendency to bully others. Third, the students with low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be bullied from peers. In the boys, those who was high in neurosis and low in self-esteem tends to trigger bullying from peers. Bu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bullying and personality among girls, Finally there is an obvious evidence the reciprocity of bullying among bo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