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민화(民畵)와 인쇄(印刷) 그림의 관계 고찰

        박근아(Park, Geun Ah) 한국민화학회 2018 한국민화 Vol.- No.9

        인쇄 기술은 전통 회화의 주요제작 기법과는 다른 근대적 방법으로 다양한 그림의 복제를 가능하게 하였고, 집안 장식을 위해 그려졌던 민화(民畵)를 대신하여 인쇄 그림이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인쇄 그림 중에서도 대량으로 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것은 화조영모화(花鳥翎毛畵)이다. 전통 민화에서도 화조영모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화조영모화가 길상적 · 벽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화려한 색채로 인해 집안 장식으로도 잘 어울렸기 때문이다. 인쇄 그림은 ‘새로운 미술’로서 미술시장에서 수요층의 확산에 기여하였고, 기존에 민간 수요의 그림이었던 민화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즉, 인쇄 그림이 민화의 속성과 가장 결부되는 값싸고 대중적인 이미지로 기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인쇄 그림으로 인해 기존의 민화 작가들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해방 이후의 민화 작가들은 인쇄 그림을 차용 · 변용하면서 당시 민간의 수요와 취향에 맞추고자 하였다. 인쇄 그림과 그 모티브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었던 것은 그만큼 대중적인 수요가 많았음을 말해준다. 20세기에 유행한 민화와 인쇄 그림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민화를 보다 폭넓은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Printing technology is a modern method different from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enabled the reproduction of various paintings. And to a certain degree printed paintings replaced folk paintings which had been used for embellishment of houses. Among printed paintings, it was especially bird, flower and animal paintings that were manufactured largely and spread nationwide. For, the colorful paintings had meanings of auspiciousness and exorcism and harmonized well with houses as interior decorations in the same way as they occupied the most in Folk paintings. As ‘a new arts’, such printed paintings came into a new demand and replaced for a large part the location of folk paintings pieces that had previously existed as a public art. Rather, the fact that folk artists have actively borrowed and transfigured the motif of the printed paintings and tried to fit in a then fashioned taste can be found through existing folk paintings.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you can identify the culture by newly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lk paintings and printed paintings in a fashion 20th century, and take it a base to access the folk ones on an broader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휴대폰 카메라용 비구면렌즈의 성형해석 및 후변형해석

        박근,엄혜주,안종호,Park, Keun,Eom, Hyeju,Ahn, Jong-Ho 한국금형공학회 2012 한국금형공학회지 Vol.6 No.1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optical components, aspheric lense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recent years. An aspheric lens consists of aspheric surfaces instead of spherical ones, which causes difficulty in the design process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dure. Although injection molding is widely used to fabricate optical lenses owing to its high productivity, there remains lots of difficulty to determine appropriate mold design factors and injection molding parameters. In the injection molding fields, computer simulation has been effectively applied to analyze processes based on the shell analysis so far. Considering the geometry of optical lenses, a full-3d simulation based on solid elements has been reported as a reliable approach. The present work covers three-dimensional injection molding simulation and relevant deformation analysis of an injection molded plastic lens based on 3d solid elements.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applied to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es of three aspheric lenses for an image sensing module of a mobile phone.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has been verified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SCOPUSKCI등재

        영역분할에 의한 불일치 격자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중공형 압출공정의 설계 및 해석

        박근,양동열,Park, Geun,Yang, Dong-Yeol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4

        The present work is concerned wit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hollow section extrusion process using a porthole die. The effects of related design parameters are discuss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for extrusion of a triply-connected rectangular tubular section. For economic computation, mismatching refinement, an efficient domain decomposition method with different mesh density for each subdomain, is implemented. In order to obtain the uniform flow at the outlet,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hole size and the hole position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Compar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with that of the original design, it is concluded that the design modification enables more uniform flow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are then successfully reflected on the industrial porthole die design.

      • KCI등재

        인터넷 상에서의 요구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구현

        박근한(Gun-Han Park),오황석(Hwang-Seok Oh),김길윤(Gil-Yoon Kim),전준현(Joon-Hyeun Jeon),이흥규(Heung-Kyu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 No.4

        Multimedia representation delay, and degradation of QoS(quality of services) are problems of multimedia service system over low-bit-rate network such as internet because it cannot transmit multimedia data within restricted time. Data compression technique has been researched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multimedia on demand service system using ITU-T H.263 video codec which has high compression ratio and good quality of multimedia data. The system is consists of UI(User Interface) using WWW, request handling using CGI, data transmission program, and multimedia player program. The developed system can serve up to 10 fps with 10 - 50 kbps data for video and 8.5kbps data for audio. Application of our system includes shopping information, multimedia news, traveling information and so on. 인터넷과 같은 협대역 통신망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타 서비스시 제한된 시간내에 필요한 정보를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재생 지연, 서비스 품질 저하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타 압축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협대역 통신망에 적합한 고압축 코덱인 ITU-T H.263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서비스 시스템은 WWW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GI를 통한 사용자 요구처리, 데이타 전송 프로그램, 미디어 프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10-50 kbps의 비디오 데이타와 8.5kbps의 오디오 데이타를 사용하여 초당 10프레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여행 정보, 상품정보, 뉴스등의 응용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부분 정보에 기반한 효과적인 음악 무드 분류 방법

        박근한(Gunhan Park),박상용(Sang-Yong Park),강석중(Seok-Joong Ka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0 No.3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대용량의 음악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악데이터들을 손쉽게 분류하고 검색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의 음악 분류/검색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기존의 분류화 (classification) 방법들이 음악파일 전체에 대해서 수행하는데 비해 음악파일의 부분만을 분석하여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소리의 톤 (tone) 표현에 기반한 새로운 피쳐를 제안하여 기존의 피쳐들에 비해 효과적으로 분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속도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론들을 적용하여 실 제품 적용 시 보다 효과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안한 방법론을 MuSE (Music Search/Classification Engine)엔진으로 구현함으로써 PC와 PDA상에서 잘 동작함을 보여주었다. According to the recent advances in multimedia computing, storage and searching technology have made large volume of music contents become prevalent. Also there has been increasing needs for the study on efficient categorization and searching technique for music contents management. In this paper, a new classifying method using the local information of music content and music tone feature is proposed. While the conventional classifying algorithms are based on entire information of music content,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focuses on only the specific local information, which can drastically reduce the computing time without losing classifying accuracy. In order to improve the classifying accuracy, it uses a new classification feature based on music tone.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implemented as a part of MuSE (Music Search/Classification Engine) which was installed on various systems including commercial PDAs and PCs.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박근아(Geun A Park),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총 7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를 시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로움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하위요인은 정서표현성과 각각 상반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로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상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내담자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거나, 정서를 표현하도록 돕는 등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Methods A sample of 70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O),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sub-factors showed opposit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but the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el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s intervention in emotional expression is necessary, such as helping clients who us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r to express emotions in counseling.

      • 일제강점기 ‘제지강습회(製紙講習會)’를 통한 전통제지기술의 변화 양상

        박근아(Park Geunah)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한지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견지’라 불릴 만큼 질기고 두터우며 윤택 있고 매끄러운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한지와 관련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117호 한지장에 대한 연구, 겨레과학기술로서 한지의 우수성을 다룬 기술사적 연구, 조선시대 제지수공업을 중심으로 다룬 연구, 일제강점기 한지의 개량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성과가 있었다. 한지를 만드는 가둠뜨기(쌍발뜨기) 방식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유입된 기술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일본식 방식과 도구를 한지 제작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전통방식에 비해 종이의 견고함은 낮아졌지만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본식 기술과 도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지기술이라는 무형유산 연구에 있어서, 일본식 도구와 기술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개량과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제지강습회’에 주목하여 관보와 신문기사 및 문헌자료 등을 1차 자료로 삼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총독부 정책의 일환으로 개최된 강습회는 가내수공업에 머물러있던 전통 제지의 원료재배에서부터 도구, 기술에 이르기까지 근대적인 개량과 이를 보급․확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이는 전통 제지기술의 직접적인 변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강습회에 참가한 강습생들은 개량 제지법을 적극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수출에 적합한 규격화가 이루어지는 등 근대화에 다가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의 규격화 과정에서 우리의 다양한 전통 종이들이 사라졌으며, 질길 정도로 강했던 한지가 ‘개량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현재까지 일본의 제지방식이 주를 이루게 된 것은 또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근대를 기점으로 근대 이전과 이후의 제지기술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에 대해 접근함으로써 전통 제지기술의 실상에 다가가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Made from paper mulberry tree, hanji was also called ‘gyeonji’ for its durability, thickness, gloss and smoothness. With regard to hanji, there have been much accomplished on the researches on hanjijang (hanji craftsm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17), superiority of hanji as a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paperma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mprovement on hanji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adumddeugi technique, or ssangbalddeugi technique, in making hanji is known to have brought in from Japan during their occupation. We still u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in hanji-making because although they may diminish paper durability, overall productivity increased. However, it is unknown exactly when and how the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were brought into Korea.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intangible asset of papermaking, this paper explored on when and how the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were brought into Korea and made a difference in the industry by focusing on the ‘papermaking institute’ and relevant gazettes, newspaper articles, literature. The institute was held as a part of the policy enfor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s role was to modernize through diffusion and proliferation of cultivation of raw materials for traditional papermaking as well as instruments techniques for papermaking, and it served as a direct cause for change in traditional papermaking. The students also enthusiastically accepted the modified papermaking techniques. There were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modernization including standardization for export. Unfortunately, in the process, our traditional papers have disappeared, and sturdy hanji came to be perceived as a ‘subject for modification’ and Japanese papermaking techniques have become mainstream in the present day. I plan to find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e true nature of traditional papermaking by exploring the course and factors of change in papermaking before and after modern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