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류숙희 ( Sook Hee Ryue ),이인재 ( In Jae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박균열 ( Gyun Yeol Park ),홍성훈 ( Seong Hoon Hong ),전종희 ( Jong Hee Jeon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적 품성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2011년도에 개발된 검사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것이다. 즉, J. Rest가 주장한 도덕성의 제4요소인 도덕적 품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도덕적 품성화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였고, 1차년도에 설정한 도덕적 품성화의 구성 요소를 개인품성과 관계품성의 두 항목으로 재설정하였다. 또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스토리와 문항을 수정하였다. 응답의 편포성을 완화하기 위해 2차년도에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는 전국 중학교 2학년생 40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본조사는 전국 6,216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90이상으로 신뢰할만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했는데, 도덕적 품성화 능력 검사는 1개 문항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이 예정된 요인으로 묶였다. 그리하여 2차년도 연구를 통한 최종 스토리는 총 세 개(과제, 놀이공원, 작품)로 확정되었고, 각 스토리별 문항수는 과제 10개 문항, 놀이공원 9개 문항, 작품 10개 문항으로 총 29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2차년도 연구결과 개정된 검사 도구는 2011년 검사 도구에 비해 더 안정된 검사도구로서 향후 청소년의 도덕적 품성화 측정을 위한 연구와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revise Moral Character Test I which was set for adolescents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s model in 2011 and make standardized final morality test. In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ur components theory of James Rest who invented DIT (Defining Issues Test)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The four components are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moral action). This study focused on moral character. This 2nd year study could get some significant outcomes. To make test form, 3 components relating teams have closely exchanged informations. Because teams have to share same real life stories as follows: “homework inspect”, “on going to park”, “broken art work”. The questionnaire used seven likert type to lessen the far epistemological tendency. To represent moral character, research team used personal character and interpersonal character. To get final form of morality test, this study was made two sequential steps. First one was pre-test which was for 409 respondents. Second main one was for 6,216 respondents. For moral character, the reliability was highly coefficient with Cronbach`s alpha(>.90). The validity was also much improved and stable. But just in the story “on going to park”, the factor analysis shows a little bit limitation result. Even though, 1st and 2nd researches have common weak point which is highly dependent upon not factor but story. Through these processes, to test moral motivation, this study shows 3 stories and 29 questions. And this recommends that just one simple story might be developed for one component(moral character).
전종희 ( Jong Hee Jeon ),이인재 ( In Jae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박균열 ( Gyun Yeol Park ),윤영돈 ( Young Don Yoon ),류숙희 ( Sook Hee Ryue ),홍성훈 ( Seong Hoon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J. Rest의 4구성요소 모형을 바탕으로 1차년도(2011년)에 개발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를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도덕 동기화의 구성 요소를 도덕지향성과 도덕적 정서귀인 등 두 항목으로 재설정하고, 스토리와 문항을 수정하였다. 개발된 세 개의 스토리(과제, 놀이공원, 작품) 별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90 내외의 높고 수치를 보였다. 응답의 편포성을 완화하기 위해 2차년도에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중학교 2학년생 409명을 대상으로 했고, 본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6,216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90이상으로 신뢰할만했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 스토리와 놀이공원 스토리의 일부 문항이 가정한 요인으로 잘 묶이지 않았는데 이 문항들을 제거하고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해본 결과 기대하는 바를 충족했다. 그리하여 2차년도 연구를 통해 최종 스토리는 총 세 개(과제, 놀이공원, 작품)로 확정되었고, 각 스토리별 문항수는 과제 9개 문항, 놀이공원 9개 문항, 작품 10개 문항으로 총 28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 확정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도구는 상당히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기에,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도덕적 동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활용되기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ims to revise Moral Motivation Test I which was set for adolescents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 model in 2011 and make standardized final morality test. In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4 components theory of James Rest who invented DIT (Defining Issues Test)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The 4 components are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moral action). This study focused on moral motivation. This 2nd year study could get some significant outcomes. To make test form, 3 components relating teams have closely exchanged informations. Because teams have to share same real life stories as follows: “homework inspect”, “on going to park”, “broken art work”. The questionnaire used seven likert type to lessen the far epistemological tendency. To represent moral motivation, research team used moral orientation, moral emotion attributions. To get final form of morality test, this study was made two sequential steps. First one was pre-test which was for 409 respondents. Second main one was for 6,216 respondents. For moral motivation, the reliability was highly coefficient with Cronbach`s alpha(>.90). The validity was also much improved and stable. But just in the story “homework inspect”and “on going to park”, the factor analysis shows a little bit limitation result. Eliminated those question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was more stable and reliable. Through these processes, to test moral motivation, this study shows 3 stories and 28 questions. And this recommends that just one simple story might be developed for one component(moral motivation).
박균열 ( Gyun Yeol Park ),이상호 ( Sang Ho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한문을 소리내어 읽는 독서성의 도덕교육적인 활용방안을 탐색했다. 중등 도덕교과서에서 실제 한문 독서성의 제재로 사용될 수 있는 대목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7학년의 경우 8개, 8학년의 경우 4개, 9학년의 경우 7개, 그리고 10학년의 경우 2개로 학년간에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 논문은 독서성을 활용한 실제 도덕과 수업지도안을 상정했다. 기술은 도입, 전개, 정리 순으로 했다. 모둠별 활동을 고려하여 참여학습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한문 독서성을 현대 도덕과 교육에 실제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논문은 독서성을 활용한 도덕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한다. 우선 먼저 학년별 계열성을 고려해야 한다. 난이도가 낮은 원전을 저학년용에 배치하고 어려운 책은 고학년용에 배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등장인물이나 원전의 선택에 있어서 우리의 전통을 적극 고려해야겠다. 현행 도덕교과서에서는 주로 중국의 원전과 중국의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셋째, 다양한 전통종교를 고려해야겠다. 현행 도덕교과서의 독서성관련 자료는 주로 유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선택되었다. 불교나 민족종교 등에 대한 관심도 점차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 한국의 한문 독서성은 선비들의 수양소리다. 따라서 오늘날 도덕교육을 위해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한국 전통 독서성을 복원하고, 이를 현대 도덕교육에 활용하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될 것이다. This paper makes inquiries about utility of Dokseoseong for moral education in Korea. In the secondary level, moral education textbooks have some parts as follows: 8 of 7th grade, 4 of 8th grade, 7 of 9th grade, and 2 of 10th grade. Each grades` textbooks show a little bit differences. This paper raises the Syllabus of Moral Education using Dokseoseong. It describes introduction, deploy, summary in sequence. It shows the way to utilize small group to make participation easily. This effor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modernization of Dokseoseong for modern moral education. In order to advance efficiency of current moral education using Dokseoseong, this paper suggests some points as follows: Firstly, mor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he sequence among grades more carefully and precisely. Secondly, moral education has to select the Korean traditional source of Dokseoseong much more and frequently. Current textbooks tend to Chinese figures and sources. Thirdly moral education has to take advantages on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nd Buddhism and instead of in-coming thought and religion, e.g., Confucianism, Taoism. Korean traditional sound of Dokseoseong is a sort of self-training sound of Korean traditional scholars(Seonbi). So it gives lots of implications to modern moral education. It is very necessary to recover the traditional sound and take much more efforts for current moral education.
박균열 ( Gyun Yeol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국가보훈의식을 계량화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국가보훈의식지수는 일찍이 국가보훈처에서 개발하여 2004년부터 적용해오고 있었으나, 시의성뿐 만 아니라 문항구성 원리 측면에서 취약성이 노정되어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교육의 도덕성 측정을 위한 이론적 도구를 활용하여 인지, 정의, 행동적인 통합된 인격 개념과 4구성요소 모형에 근거하여 국가보훈의식지수를 개발하게 되었다. 각기 보훈인식지수, 보훈정서지수, 보훈실천지수가 있으며, 이를 통합하는 보훈통합지수가 있다. 새로운 국가보훈의식지수는 정책적인 여론수렴과 인식의 지수화를 동시에 구성하여 정책성과 학술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관련 학계저변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계네트워크를 체계화하고 관련학계와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등의 부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new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veterans and patriots through polishing the past tool.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ve used it since 2004. But there were somewhat weak points in the tool. Thus, this research tries to develop the index based on the integrated character and 4 components model which utilized the theoretical tool to measure morality in moral education. New index has good merit in of gathering political opinions and at the same time can satisfy academic trends. In order to secure rigid status of the tool, there is still task to spread information and superiority of it toward much more scholars who need to much deeper research.
박균열(Gyun Yeol Par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3
본 논문은 도덕성 측정 도구 중의 하나인 도덕판단력검사(Moral Judgement Test)의 특징과 활용법을 소개하여 한국의 도덕교육 평가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한국의 도덕과교육은 계획-실시-평가의 교육활동 중에서 특히 평가를 소홀히 한 경향이 많았다. 기왕에 소개된 도구로는 주제정의형 도덕판단력진단검사(Defining Issues Test)가 있다. 이는 국내에 일찍이 소개되어, 도구 자체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토대로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미국 중심의 이 도구에 버금가는 유럽과 남미에서 통용되고 있는 도덕판단력검사에 대한 제대로된 소개가 국내에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인정받고 있고 상당한 효용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도덕판단력검사 도구를 국내에 소개하고, 그 후속연구를 위한 안내를 하고자 한다. 이 도구의 가장 큰 장점으로 높은 가독성, 손쉬운 채점방법 등을 꼽을 수 있다. DIT와는 달리 항목에 대한 단순 선택지향이 아니라 그 이유를 선택하게 하여 보다 구체적인 심리적 경향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도덕과교육의 평가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introducing the Moral Judgement Test(MJT) to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raise level of their morality, it is very important for educators to evaluate students. For over 20 years, the MJT has been proved the validity, credibility, and effectiveness as a good instrument to measure the morality of people in Europe. It is unbelievable that the MJT has not introduced to Korea yet. So it is obviously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ould devote in much broaden areas. The MJT was developed by G. Lind who is a professor of University of Konstanz. The main idea came from L. Kohlberg. According to Kohlberg, the capacity is to make decisions and judgements which are based on moral & internal principles and to act in accordance with such judgement. The MJT has used workers' dilemma and doctor's dilemma. Essentially the MJT assesses moral judgement competence by recording how a subjet deals with counter-argument that is with arguments opposing his or her position on a difficult problem. This counter-argument is one of peculiar feature of the MJT. The main score(C-index) of the MJT measures the degree to which a subject's judgements about pro and con arguments are determined by moral points of view rather than by non-moral considerations like opinion-agreement. The MJT embodies a moral task and not merely a moral attitude or value. The C-index reflects a person's ability to judge arguments according to their moral quality rather than their opinion agreement or other factors. C-index ranges from 1 to 100. It indicates the percentage of an individual's total response variation due to a subject's concern for the moral quality of given arguments. It is very unique that the MJT raise the simultaneous assessment of two aspects of moral judgement behavio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he MJT is designed as a multi-variate experiment with a 6*2*2 dependent variable structure. The MJT is apparently not another version of Defining Issues Test(DIT) with a concept of rating preferences of subjects. Now MJT has a task for standard process in applying to Korean society.
박균열(Park, Gyun-Yeol),박동준(Park, Dong-J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6 공공사회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2013년과 2015년 시민의식 실태조사)의 진보-보수 인식에 관한 조사도구와 국가공동체의식에 관한 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진보-보수 인식과 공동체의식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진보-보수 인식, 자신에 대한 주변인의 진보-보수 인식, 자유-평등 중 더 선호하는 가치, 도덕적 기반(배려/피해, 자유/압제, 공정성/부당성, 충성/배반, 권위/전복, 고귀함/추함)의 네 가지이며, 종속변수는 국가공동체의식을 나타내는 애국심, 질서의식, 준법정신의 하위지표들이다. 2013년과 2015년 모두 연령이 높을수록 가치판단기준이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보수의 자기 인식의 경우에는 애국심과 질서의식과 관련되었고, 주변인의 자기에 대한 인식은 아무런 관련이 맺지 못하였다. 2013년에는 배려/피해가 가장 높았지만, 2015년에는 공정성/부당성이 가장 높았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진보성향이 다소 낮아졌다고 할 수 있다. 2013년의 도덕적 기반과 국가공동체 의식의 상관관계는 애국심과 충성-배반, 질서의식과 배려-피해, 준법정신은 배려-피해와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2015년에는 애국심과 충성-배반, 질서의식 공정성-부당성, 준법정신은 공정성-부당성과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유와 평등 가운데 어느 하나를 더 중요시하는 가치에 따른 국가공동체의식은 중도성향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to study the correl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by utilizing existing surveys. There are four independent variables: ‘self-recognition of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others’ recognition of the self-recognition’, ‘more favorite value, liberty or equality’, and ‘six moral foundations’; and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patriotism, sense of public order, law-abiding spirit. In 2013 and in 2015, respondents in the group of old ages were more conservative. The self-recognition of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has bee correlated with patriotism and law-abiding spirit.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moral foundation with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we have identified some connections of patriotism with loyalty/betrayal, of sense of public order with care/harm, and of law-abiding spirit with care/harm in 2013; however, in 2015, of patriotism with loyalty/betrayal, of sense of public order with fairness/cheating, and of law-abiding spirit with fairness/cheating. In the middle between liberty and equality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is the highest.
박균열(Gyun Yeol Par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논문은 주제정의형 도덕판단력진단검사(Defining Issues Test)를 활용하여, 한국군의 도덕성을 측정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있다. <연구가설> 가설1: 범죄경험이 있는 장병과 일반 장병의 도덕판단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인구문화적 변인별 장병의 도덕판단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1. 장병들의 범죄경험유무는 도덕판단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인구문화적 변인별 장병의 도덕판단력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덕적 판단지수인 P(%)점수에는 1)자원입대여부, 2)교육정도가 다소간의 영향 미침 -도덕적 실천지수인 U점수에는 1)계급별, 2)애인유무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This paper analyzes the mo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ldiers using Defining Issues Test(DIT). The hypotheses are following: Hypothesis 1: There would be Differences of DIT value between ordinary soldiers and the criminal. Hypothesis 2: There would be Demographical Differences of Soldiers. Main Results are following: 1. There are not a l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DIT value between ordinary soldiers and the criminal. 2. According to Demographical Differences of Soldiers, there are some significant results. In P(%) value, there are some significance in Volunteer Or Not to be enlisted and Degree of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other side, in U value, there are slightly high significance in the side of Rank and Girl Friend or not.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의 구성원리를 활용한 통일 · 안보의식측정도구 개발 기초 연구
박균열 ( Park Gyun Yeo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국방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도덕적 역량 검사도구(MCT: Moral Competence Test)라고 명명된 도덕성 검사도구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통일·안보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시도이다. 객관적인 측정도구로 가치의식을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남북한의 첨예한 이념적 대립을 전제하고 통일과 안보에 대한 가치의식을 측정한다는 것은 더 어렵다. 하지만 그 판단의 과정을 어떤 형식으로 정리해낸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기는 하지만 국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그 구성원들의 가치 의식을 수렴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는 당위적 요청은 매우 높다. MCT는 도덕심리학 분야에서 측정 대상자들의 도덕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미국의 도덕심리학자인 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도덕적 추론에 근거하여, 독일의 도덕심리학자인 G. Lind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도구를 구성하는 핵심 구성원리는 가치가 실재하고, 그 실재하는 가치가 높고 낮음의 위계를 갖고 있으며, 그 위계에 대해 정서적 지향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도덕성의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결과값이 도덕적 역량의 정도인 C-점수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덕심리학의 원리를 정치적인 주제인 한국의 통일과 안보 문제에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방법론적인 창의성을 가진다. 바로 이러한 점은 보편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없다는 한계점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데, 그 실효성과 타당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다린다. As a foundation to measure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 Security, this study focuses the algorithm of MCT (Moral Competence Test) which was made by G. Lind. Presupposing a sharp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and security. Moreover in South Korea, the consciousness is not just consciousness but very complicate value-based consciousness. Korean people had needed to make sure the highly normative demand to sustain the state. MCT is a tool to measure the morality based on the moral psychology. This tool was developed by German moral psychologist G. Lind. He has tried to follow the academic footprints of L. Kohlberg. The core principle starts at the point that value is not factual but real. G. Lind has specificly and discretely divided high and low values hierarchy, and the rational and emotional orientation to those values are taken to the C-index which symbolizes the degree of moral competence. This study has its methodological creativity in that it applies the general principles of moral psychology to the very political theme of unification and security in Korea. Unfortunately this study still has some limits to show great validity. So this study waits for additional research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and validity.
박균열 ( Gyun Yeol Par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8 국방연구 Vol.51 No.3
This paper focuses on researching the consciousness of Korean students. As main text, it raised the Moral Education(Dodeokgyoyuk) in School education of Korea. It covers the textbook and national curriculu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ing mind of students who has studies the textbook. To verify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it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under the concept of domestic security and external security. In the external security, there are two kinds of security. Those are North Korean and Unification relating items and US relating items.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for getting good points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cur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Security education. Moreover it does suggest the new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