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朴奎浩 中央醫學社 1962 中央醫學 Vol.2 No.6
It has been well known that blood clotting is commonly disturbed in patients suffering with liver disease. From this fact we are clinically used to do determination of prothrombin time as indicator of liver dysfunction. Nevertheless, little has been known on changes of coagulation factors other than prothrombin in hepatic diseases. The author has carried out a series of study on changes of blood clotting factors in rabbits Whose liver was damaged by I. M. administration of 20? carbon tetrachloride in olive oil 6 times every other day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lood coagulation times were delayed in the rabbits, and it is found that delay is due to a decrease in amount of fibrinogen, prothrombin, factors V, VII, IX, X, and a slight increase in circulating anticoagulant.
혁신형 기업생태계 구축과 창조적 성장: 재벌개혁론 및 동반성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규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2 동향과 전망 Vol.- No.86
이 글은 물리적인 투입 위주의 성장은 한계에 달했고 창의성과 혁신적인 시도를 통한 창조적인 성장만이 경제성장의 안정적인 기반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은 인식하고, 창조적 성장의 두 가지 요소 중에서 혁신형 기업생태계의 관점에서 현재 제출되고 있는 정책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함의를 정리하였다. 기업생태계에 관한 논의와 역량블록론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혁신형 기업생태계의 관점을 재정리하였다. 첫째, 지속적인 혁신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기업생태계 구축과 유지를 통해서만 가능해진다. 둘째, 기업생태계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는 키스톤조직의 역할이 필요하고 틈새행위자의 창조적인 행위가 필요하다. 셋째, 틈새행위자들의 창조적인 행위와 이에 따른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기업생태계 내에서 선별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것이 가능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벌개혁론과 동반성장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기존 성장방식의 변경과 혁신형 기업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enlarge innovative business ecosystem in that it is helpful to advance the conditions and dynamism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discourse surrounding so-called ‘democratizing economy policy’. For that this paper summarize the discussions focusing on the concept itself, critical condition for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 several model of business ecosystem and major actors and their strategy and behavior, and supplement it with the theory on competence bloc. Based on this, we suggest some implication for major group of economic agents and argue that we need business ecosystem friendly policy in order for innovative business ecosystem.
경제패러다임의 전환으로서의 경제민주화에 관한 고찰 : 지역에서의 경제민주화를 중심으로
박규호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7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33
Based on the consideration that the regional economic democracy matters for the overall advancement of economic democracy, this paper tries to present the way to facilitate the regional economic democracy focusing on the selecting the realms and facilitation of horizontal network between economic agents aiming toward building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s through which achieving the actual advancement of democracy by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paradigm, utilizing review of Korean academic literature related to economic democracy. 이 글은 경제민주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서는 현장의 경제주체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지역에서의 경제민주화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존문헌을 통해 경제민주화의 전반적인 범위를 검토, 설정하고 이러한 경제민주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서는 경제패러다임의 전환의 필요성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비지니스생태계 구축을 지향점으로 설정, 지역이란 공간의 특성을 감안하여, 지역에 걸맞는 경제민주화 영역의 설정과 경제주체의 수평적 네트워크 활성화 등 지역에서의 경제민주화 활성화방안을 서술하였다.
생태계적 관점에서 본 한국 경제의 혁신 활성화 여건에 관한 고찰
박규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7 동향과 전망 Vol.- No.101
It is necessary for Korean society to achieve alternative innovative economic growth away from the old –type way of growth in order to cope with the low growth rate and aging trend as well as deterioration of income inequality. We try to suggest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is innovative economic growth. From the point of view of innovation theory, utilizing ecosystem approach for innovative growth helps to identify the main elements, that is, knowledge ecosystem for innovative input factor, business ecosystem for transformation factor, and economic value added and innovative capabilities for innovative output factor. In order for Korea to achieve innovative growth, it is needed to have plentiful knowledge ecosystem and robust business ecosystem. 한국 경제는 저성장과 고령화라는 새로운 현상과 동시에 1990년대 후반 이래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소득 분배에도 대응해야 할 국면에 도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은 한국 경제가 기존의 성장 방식과는 다른 혁신적인 성장(innovative economic growth)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였다. 혁신 이론의 관점에서 생태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할 때, 지식 생태계로 대표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성장의 투입 요소, 기업 생태계로 대표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성장의 변환 요소, 경제적 부가 가치와 혁신 역량으로 표출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성장의 산출 요소(output factor)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한국 경제에서 혁신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식생태계가 풍부해져야 하고 이를 활용하는 기업 생태계가 건강하고 지속가능해야 하며, 산출 요소인 경제적 부가 가치와 혁신 역량이 다시금 새로운 순환으로연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표출되면서 융합될 수 있도록해야 하고 이것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관련 지식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지식의 유형별로 차별적인 대응 방안이 강구되어 지식 생태계가 풍부해져야 한다. 또한 기업 생태계가 건강해지고 강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혁신적인 창업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혁신적 중소기업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며, 재벌계 대기업의경영 전략에 변경이 필요하다.
朴奎浩 朝鮮大學校 醫學硏究所 1979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 No.-
卵巢에서 發生하는 子宮內膜樣癌은 卵巢의 原發性 腫瘍으로 組織學的으로는 子宮內膜의 腺癌或은 腺棘細胞腫과 類似한 腫瘍을 말한다. 1925年 Sampson은 처음으로 卵巢에 發生된 腺塊에서 惡性의 子宮內膜樣 組織을 觀察하고 子宮內膜癌이 없는 境遇 原發性인 이 腫塊를 卵巢의 子宮內膜樣癌으로 記述하였으며 이 腫瘍은 FIGO(1960)에 依해 endometrioid tumor라고 分類 되었다. 이 腫瘍의 發生頻度는 報告者마다 差異가 많으며, 組織發生에 對해서도 論議가 구구하다. 著者는 最近 卵巢에 發生한 子宮內膜樣癌 1例를 經驗하였기에 文獻 考察과 함께 報告코자 한다. A case of endomenoid carenoma arising in the ovar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박규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6 동향과 전망 Vol.- No.66
Korea has to achieve two mission, i. e. the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 and entry into the frontier industry, and the continuous catch-up of non-dominant industry. The innovation policy in Korea has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the centrality of knowledge in innovation process, albeit the relatively fragile knowledge base compared to rival advanced countries. The creation, diffus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characterizes the innovation process, so innovation policy has to consider the level and nature of knowledge process and knowledge base, in order to be eff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innovation policy with explicit aims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knowledge, building knowledge base, and diffus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한국은 새로운 성장산업의 창출 및 첨단산업으로의 진입이라는 과제와 그 외 산업의 지속적인 추격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 한국의 혁신정책도 참여정부 들어 시스템적인 사고를 도입하는 등 이전에 비해 미진했던 혁심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강화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식기반수준에서 혁신과정에서의 지식의 중심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혁신과정에서 지식은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지식의 생성과 확산과 이에 따른 활용이 혁신과정을 특징짓는다고 할 때, 혁신정책은 대상이 되는 혁신수준의 저변에 깔린 지식과정 및 지식기반의 수준과 특성을 감안해서 입안되고 집행되어야만 효과성을 갖는다. 국민경제 전체에서 지식생산을 활성화하고 지식기반을 형성시키며 지식의 확산과 활용을 명시적으로 의도하는 혁신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朴奎浩 順天鄕大學校 1979 의대논문집 Vol.4 No.-
A case of endometrioid carcinoma arising in the ovar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卵巢에서 發生하는 子宮內膜樣癌은 卵巢의 原發性 腫瘍으로 組織學的으로는 子宮內膜의 腺癌或은 腺棘細胞腫과 類似한 腫瘍을 말한다. 1925年 Sampson은 처음으로 卵巢에 發生된 腺塊에서 惡性의 子宮內膜樣 組織을 觀察하고 子宮內膜癌이 없는 境遇 原發性인 이 腫塊를 卵巢의 子宮內膜樣癌으로 記述하였으며 이 腫瘍은 FIGO (1961)에 依해 endometrioid tumor라고 分類되었다. 이 腫瘍의 發生 瀕度는 報告者 마다 差異가 많으며, 組織發生에 對해서도 論議가 구구하다. 著者는 最近 卵巢에 發生한 子宮內膜樣癌 1例를 經驗하였기에 文헌 考察과 함께 報告코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