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관련 불교서지학의 최근 연구 성과와 활용

        박광연(Park, Kwang-youn)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2

        이 글은 고려 건국 1100년을 기념하여 고려시대에 관한 학계의 연구성과를 점검하고자 하는 기획 의도 하에 작성되었다. 필자는 불교서지학에서의 고려시대에 대한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고려시대에 작성된 불교텍스트 자료들을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2002년 이후의 서지학 관련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大藏經 · 敎藏에 대해서는 최근의 연구 방향을 간단히 설명하였고, 고려시대에 필사되고 간행된 腹藏典籍들을 종합하였다. 또한 대장경 · 교장 및 복장전적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의 불교 텍스트들(단행불서, 의례집등)도 소개하였다. 한국의 고대 및 중세의 텍스트 자료 가운데 불교 텍스트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데 비하여 그 활용은 많지 않은 편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복장전적 등의 불교 텍스트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check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Goryeo period in commemoration of the 1100th year of Goryeo Kingdom. I introduc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Goryeo period in Buddhist bibliography and organized the Buddhist texts written in the Goryeo period. There are many Buddhist texts in Korea’s ancient and medieval text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uddhist texts and research trends i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bibliographical journal since 2002. First of all, I briefly explained the recent direction of research on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and Gyojang(敎藏). Next, I collected th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stored in the Buddha Statue (腹藏典籍). Finally, I treated other Buddhist texts (rituals, etc.)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Tripitaka Koreana and th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stored in the Buddha Statue. In the future, I hope that those who study Goryeo period in various fields will be interested in the Buddhist texts such as th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stored in the Buddha Statue.

      • KCI등재

        창녕 관룡사 석불좌상 명문의 재검토

        박광연(Park, Kwang-You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1

        창녕 관룡사의 약사전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이하 ‘약사전불상’)의 대좌에는 大曆七年(772), 용선대에 자리한 석조여래좌상(이하 ‘용선대불상’)의 대좌에는 開元十(결락)이라는 연호가 중대석에 새겨져 있다. 이 두 대좌 명문은 8세기 신라의 지방 문화를 다루는 중요한 자료로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약사전 대좌의 명문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명문이 18세기에 추각된 것임을 논증하였다. 주장의 논거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팔공산동화사사적기』에도 ‘大曆 7年’이 등장 하는데, 학계에서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둘째, ‘成內’라는 신라 이두를 가져다 썼지만, 신라 이두식 문장은 아니다. 셋째, 신라 석불좌상 가운데 ‘미륵’ 명호가 새겨진 사례가 없고, 8세기 창녕 일대의 문화 속에서 미륵신앙은 설명하기 어렵다. 반면 18세기 관룡사에서 만든 가짜 경전 『상법멸의경』에서는 말법시대의 미륵신앙을 설파하고 있다. 넷째, 관룡사에 오랫동안 주석했던 설송 연초를 비롯한 편양파 불교도들은 불교계의 부흥을 이끌고자 하는 종교적 열정에서 영남 불교 사찰들의 역사를 가공하였는데, 관룡사도 그 가운데 한 곳이다. 한편 용선대 대좌 명문은 사실 관계를 추적할 만한 내용이 없어서 논증이 어렵지만, 약사전불상과 같은 배경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관룡사에 있는 석불좌상 두 구의 명문에 근거하여 8세기 초중반 신라의 지방 문화를 설명하는 것은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seated statue in the Yaksajeon Hall of Gwallyongsa Temple in Changnyeong is inscribed with the Daeryeok 7th year (772), and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seated statue in the Yongseondae is inscribed with the Gaewon 10 (開元十). These two pedestal statements were regarded as essential materials for the local culture of Silla in the 8th century. However, In this paper proved that the inscription was engraved additionally in the 18th century. The argument has four points.: First, the “Daeryok 7th year” also appears in Palgongsan Mountain Donghwasasajokki, which the academic community does not recognize as a historical fact. Second, although it was written in the name of ‘Seongnae(成內)’, it is not a sentence of Yi Du from Silla. Third, among the stone Buddha statues of Silla, there is no case of the inscription of ‘Miruk(彌勒)’, and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Maitreya faith in the 8th century Changnye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fake scripture, Sangbub Meolui Geong(像法滅義經), which was made at Gwallyongsa Temple in the 18th century, preaches the belief of Maitreya in the latter dharma era. Fourth, the history of Buddhist temples in Yeongnam region was processed by the Pyonyang branch, including Seolsong Yeoncho, which had long been resided at Gwallyongsa Temple, to lead the revival of the Buddhist temples were one of them. It was challenging to prove the inscriptions of Yongseondae’s pedestal’s inscriptions because there was no trace of the relationship, but it was judged that it had the same background as the Yaksajeon Buddha stat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rve the explanation of the local culture of Silla in the early and mid 8th century based on the inscriptions of two stone Buddha seated statues currently in Gwallyongsa Temple.

      • KCI등재

        『미륵상생경술찬(彌勒上生經述贊)』의 저자 및 성격에 대한 고찰

        박광연 ( Kwang You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본 연구에서는 『만속장경』에 실려 있는 『미륵상생경술찬』의 저자가 신라 승려 憬興임을 논증하고, 이를 경흥의 저술로 전해지는 『미륵상생경요간기』 등의 『미륵상생경』 주석서와 비교하여 그 성격을 밝혀 보았다. 『상생경술찬』을 경흥의 저술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나라사경목록, 『신편제종교장총록』, 『동역전등목록』 등의 불전 목록에 경흥찬의 ``미륵(보살)경술찬``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량수경연의술문찬』에서 『미륵경술찬』을 거론하면서 자세한 설명을 『미륵경술찬』에 미루고 있는 구절이 있는데, 그 내용이 『상생경술찬』에서 확인되기 때문이다. 『상생경술찬』을 경흥의 저술로 알려진 『미륵상생경요간기』,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 규기의 『관미륵상생경찬』과 비교함으로써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상생경술찬』은 구성상 『규기찬』과 가장 유사하고, 내용상으로는 『종요』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둘째, 『상생경술찬』을 내용 파악이 가능할 정도로만 남기고 축약한 것이 『요간기』이다. 다시 말해 『요간기』의 저본이 『상생경술찬』이다. 셋째, 『요간기』는 『상생경술찬』을 축약하면서 『규기찬』에 해당하는 부분은 많이 삭제하고 『상생경술찬』에서 새롭게 해석하였던 부분은 많이 살렸다. 넷째, 『요간기』에는 『상생경술찬』를 보충 설명하거나 새로운 의견을 덧붙인 구절들이 있는데, 이는 『상생경술찬』과 『요간기』 사이의 시간 차 등의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상생경술찬』과 『규기찬』과의 사상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미륵사상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彌勒上生經述贊 The Compilation of Sutra of Maitreya`s Ascension) appeared in the Mansokjang gyeong (卍續藏經). First of all, I proved that the author of this text is Gyeongheung (憬興 or 璟興). The catalogue of sutra-coping in the period of Nara (奈良), Sinpyeon jejong gyojang chongnok (新編諸宗敎藏總錄 by Uicheon 義天), Dongyeok jeondeung mokrok (東域傳燈目錄) and other Buddhist catalogues mentioned that the compilation of Mireuk gyeong (彌勒經述贊) was written by Gyeongheung. And also Muryangsugyeong yeon uisul munchan (無量壽經連義述文贊) is mentioning about the compilation of Mireuk gyeong. Nextly, I compared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彌勒上生經述贊) with the other commentaries such as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彌勒上生經料簡記 by Gyeongheung), Mireuk sangsaeng gyeong jongyo (彌勒上生經宗要 by Wonhyo 元曉), Gawn mireuk sangsaeng gyeong chan (觀彌勒上生經贊 by Kuiji 窺基) and others. So I explored the following items: Firstly,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is quite similar to the Gawn mireuk sangsaeng gyeong chan of Kuiji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influenced by the mireuk sangsaeng gyeong jongyo of Wonhyo in terms of it`s contents. Secondly,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is a simple condensation of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In other word, the original text of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is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Thirdly,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abridged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deleting many parts of the Gawn mireuk sangsaeng gyeong chan of Kuiji. On the other hand,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reflected the many newly interpreted parts in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Fourthly, there are many phrases and clauses in the Mireuk sangsaeng gyeong yogangi which explained additionally and independently the contents of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These show the changes of time gap and etc. between the two text.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from now on to compare the thought of the Mireuk sangsaeng gyeong sulchan and the Gawn mireuk sangsaeng gyeong chan of Kuiji. I expect we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Maitreya thought (彌勒思想) in the East-asia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texts.

      • KCI등재

        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박광연(Park, Kwang-youn)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한국 오대산신앙에 대한 국내외의 사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삼국유사』의 오대산신앙 기록의 신빙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검토의 대상은 『五臺山事蹟』과 『朝鮮佛敎通史』, 신라시대의 금석문 및 최치원의 글, 고려시대의 문집들, 그리고 돈황의 〈五臺山圖〉에 나오는 신라 관련 기록들이다. 검토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 오대산 기록의 원본과 『오대산사적』의 원본은 모두 8세기 후반 이후에 쓰여졌고, 신라인이 당의 오대산을 인식하기 시작한 것도 8세기 후반이다. 이후 신라인들 가운데 당의 오대산을 찾은 이들이 많아졌고, 늦어도 9세기 중반 무렵에는 신라 땅에 오대산이 이식되어 지금의 강원도 오대산이 오대로 불리게 되었다. 해인사 인근에 오대산사라는 이름을 가진 사찰도 등장하였다. 고려전기에도 오대산신앙은 계속 이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흔적이 미미하다. 그러다 13세기 후반~14세기에 이르러 많은 기록이 나오는데, 이는 보살주처신앙의 유행 때문이었다. 『삼국유사』에 오대산 기록이 많이 수록된 것도 보살주처신앙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돈황의 〈오대산도〉 (10세기 무렵)에, 신라왕자 및 신라 사신이 오대산을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오는 신라왕자가 慈藏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런데 최근 중국 오대산신앙의 형성 시기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자장이 입당한 때는 오대산 聖山化를 위한 설화들이 만들어지기 이전이고, 오대산 순례를 위한 인프라도 구축되기 이전이라고 한다. 『삼국유사』에서 오대산신앙을 신라에 전한 이가 慈藏이라고 한 것은 설화적 성격이 강하다. 만약 돈황에서 〈오대산도〉를 그릴 때 ‘신라왕자 자장’이 당의 오대산에 왔다는 인식이 있었다면, 이는 당의 오대산 설화를 모티브로 하여 신라에서 만들어진 오대산 관련 설화들이 당으로 전해진 결과이지 않을까 한다. 앞으로 이러한 설화들이 어떠한 배경 속에서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remaining historical references to the beliefs and mythology that involved the Mount Oda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that would help define and progress the ongoing discussion concerning the validity of Mount Odae related records inside Remaining 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三國遺事). Primarily examined are History of Mount Odae(五臺山事蹟), General History of Korean Buddhism(朝鮮佛敎通史), epigraph materials from the Shilla period and Choi Chi-weon’s own writings, personal anthologies from the Goryeo period, and Mount Wutai Illustrated(五臺山圖), excavated from the Tunhuang region. Contents of the Mount Odae-related records in History of Mount Odae and Mount Wutai Illustrated all seem to have been written in the second half of the 8th century, when the Shilla people first became aware and conscious of the Mount Wutai of the Chinese Dang dynasty. Ever since, many Shilla people went and visit the Mount Wutai, and before at least the mid-9th century, a Korean mountain in the Gang’weon-do province is known to have been named Odae(‘五臺’) as well. It seems that the cults involving Mount Odae continued to exist in the early half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but there are not much historical material to verify it. It is only in the 13th century’s latter half as well as the 14th century that relevant records apparently started to increase, which seems to have been triggered by the spreading of the “Affiliated Place for the Bodhisattva” belief. That seems like the main reason behind so many references to the Mount Odae being inserted in Remaining 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 According to Mount Wutai Illustrated,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around the 10th century, a Shilla prince and an emissary allegedly visited Mount Wutai. Some believe that this Shilla prince was in fact the renowned Buddhist priest Jajang(慈藏). But Jajang only stayed in Dang up until 643, when the so-called Mount Wutai cult was not yet formed.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If there had been a notion that ‘Shilla prince Jajang’ once visited the Dang Chinese Mount Wutai, around the time Mount Wutai Illustrated was created, it could have been a result of certain Shilla folklore tales, based upon other earlier tales that involved Dang Mount Wutai, being created first and then spreaded to China. The examination mentioned above cast some serious doubts upon the validity of the records inside Remaining 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 which said that it was Jajang who relayed the Mount Wutai cult to Shilla, while two princes Bocheon(寶川) and Hyomyeong(孝明) stayed at Mount Odae for studies, and that it was Bocheon who established certain cults that could be used everywhere. Such presentation of events seems more like a depiction of a tale, rather than a historical description of fact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formed such tales should be the object of discussion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신라하대 말법(末法) 인식의 형성과 확산

        박광연 ( Park Kwang You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5

        신라 사회에 9세기 후반부터 말법 인식이 확산되면서 농민들이 구세주 미륵을 갈망하며 반란을 일으켰고, 그 결과 신라는 멸망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이해이다. 그런데 중국의 경우 불교 교단에 대한 탄압에서 비롯했던 말법 인식이, 9세기 신라에서는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확산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과연 ‘말법 인식→농민 반란→미륵 갈구’의 연결고리가 신라 멸망의 원인을 설명하는 타당한 논리인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신라 사회에 불교의 말법 인식이 존재했음을 부정하는 견해도 있지만, 9세기 중반부터 불교계에서 석가불의 입멸을 기준으로 연도를 헤아리고 상말(像末) 등 불교 시간관을 드러내는 표현들을 사용한 것은 분명하다. 이 표현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우선 840-860년대에는, <보림사불상>을 제외하고, 신라 동북방 지역에서 만든 승탑 및 철불(鐵佛)에서만 관련 사례들이 보인다. 둘째, 870-960년의 1백년 간 전국에 산재한 선사들의 탑비에서 확인된다. 고구려, 말갈, 발해 등과 경계를 이루던 동북방 지역에는 8세기 중엽까지도 충돌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었다. 험준한 산들이 많고 바다가 가까운 지형적 특성에서 비롯된 위기의식도 항상 공존하였다. 이 지역에 불교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것은 9세기 이후인데, 동북방 지역에서의 불교의 수용과 말법 인식의 등장이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신라 사회에서 말법 인식은 동북방 지역에서 시작하였고, 이후 선종승려들이 지방 사회에 정착하면서 말법 인식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선종 승려들은 국왕 및 세력가들의 비호 아래 교세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말법의 시간을 전륜성왕의 통치와 미륵불의 하생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강조하였다. 신라 하대에 불교계나 정치계에서 말법 인식을 교화나 통치에 활용하였던 것이다. With regard to the collapse of the Silla kingdom, it is commonly recognized as follows: as the perception of dharma-ending age was proliferated from the late 9<sup>th</sup> century of Silla, peasants revolted craving for the coming of a savior, Maitreya, which resulted in the fall of Silla. While the awareness of dharma-ending age was originated from the suppression on the Buddhist community in China, Buddhist community was not oppressed in the 9th century of Silla. In this aspect, the reason why the perception of dharma-ending age appeared in the 9<sup>th</sup> century of Silla and how the concept was spread were not explained clearly. Was the theory chain of dharma-ending age, longing for Maiterya, peasants’ rebellion and the fall of Silla indeed appropriate to explain the Silla society? Silla Buddhism counted the year based on the death of a Buddha and used various expressions revealing Buddhist view of time such as semblance and degenerate period of dharma in the 9<sup>th</sup> century. These terms hav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se expressions are found on the stupas and iron Buddha statues constructed in the northeast region of Silla from the 840s to 860s, except for an iron Buddha statue in Borimsa Temple. Secondly, they appear on the Seon masters’ tombstones across the country from the 870s to 960s. The northeastern area of Silla bordering with Goguryeo, Malgal and Balhae was exposed to the threat of conflicts until the mid-8<sup>th</sup> century.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crisis due to geographical nature of rugged mountains and adjacent coast existed in this region. Here, Buddhism was disseminated in earnest after the 9<sup>th</sup> century. Buddhism started to take root and the perception of dharma-ending age occurred simultaneously in this area. That is, the recognition of dharma-ending age emerg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Silla. As Seon masters started to settle in local areas from the late 9th century, this perception of degenerate age w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ey created the theory that the hardship of dharma-ending age will be restored with the king’s rule and Maiterya’s descent in the course of expanding Buddhist influence under the patronage of the king and powerful figures. In this way, the perception of dharma-ending age was intentionally utilized for the purpose of edification and rule by Silla Buddhism and politics in the late Silla period.

      • KCI등재

        신라 하대 불교 정책의 변화와 사찰의 대응 - 이차돈 이야기 창작의 역사적 배경

        박광연 ( Park Kwang-yo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2

        이차돈에 관한 가장 빠른 시기의 기록은 817년에 만든 <백률사석당기>이고, 『삼국유사』에도 元和연간(806-820)에 승려 일념이 쓴 <촉향분예불결사문>을 싣고 있다. 본고는 9세기에 들어 신라 불교계에서 왜 이차돈 이야기를 창작하고 결사 등의 행사를 열어 그를 기억하려 하였는지 그 배경을 추적한 글이다. 애장왕대(재위 801-809)를 전후한 시기에 이차돈을 비롯하여 아도, 안홍(안함), 원효, 의상, 경흥, 승전 등 신라에서 불교를 수용·공인하는 과정에서 공이 많았던 인물이나 정착 단계에서 덕망이 높았던 고승을 기념하는 비석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이들 고승을 주인공으로 하는 비들은 왕명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경우에도 주인공의 영험한 자취나 국가와의 연관성, 국왕의 칭송들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신라 하대 들어 조정은 정치적·경제적 권력을 갖추어가는 사찰 세력을 견제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9세기 전반 불교계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축소하였고, 사찰의 신축 금지, 사찰에서 비단·금은 사용 금지 등의 명령을 내렸다. 국왕은 불교 세력이 진골들과 결속하는 것을 막고자 하였던 것이다. 각종 금지 조치에 사찰에서는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하였을 것이다. 승려들이 주도하여 국왕의 은덕을 칭송하고 사찰의 유구성과 영험함을 강조하는 이야기를 창작하고 이를 결사 등을 통해 집단 기억화함으로써 사찰의 후원을 유도하였다. 이차돈 이야기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신이함이 더욱 강조된 형태로 널리 유포되게 되었다. The martyrdom of Lee Cha-don recorded in various texts such as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sagi 三國史記),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三國遺事) and Biographies of Eminent Korean Monks (Haedong goseungjeon 海東高僧傳) is always mentioned to explain how Buddhism was introduced and accommodated in the Silla dynasty. However, the earliest record about his martyrdom is “Record on the Stone Pillar of Baengnyulsa (栢栗寺石幢記)” in 817 (or 818). “Invitation to the Group of Worshipping Buddha at the Tomb of Yeomchok (髑香墳禮佛結社文)”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also written by Iillyeom (一念) during the years of Yuanhe (元和806-820). That is, the image of Lee cha-don we all recognize today was created in the 9<sup>th</sup> century. Even though Lee cha-don was a real person and his martyrdom happened, why did people of Silla perform the practice and erect a stone pillar to commemorate Lee cha-don in the 9<sup>th</sup> century? This research is to analyze its historical background. After the reign of King Aejang (r. 801-809), many epitaphs for Silla’s eminent monks of Ado (阿道), Anheung (Anham安含, ?-?), Wonhyo (元曉, 617-686), Uisang (義相, 625-702), Gyeongheung (憬興), Seungjeon (勝詮) as well as for Lee cha-don in the early period of accepting Buddhism were erected. The inscriptions on them commonly emphasize the monks’ connection with the ruler or dynasty, and their marvels. Even though “Record on the Stone Pillar of Baengnyulsa” was not written under the royal order, the record underlined the dignity of kings and the contribution of Buddhism in the process of unifying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s, Buddhism policy was strictly enforced in the reign of King Aejang, Heondeok and Heungdeok of the 9<sup>th</sup>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it is assumed that Buddhist temples including Baengnyulsa put emphasis on the Lee cha-don’s marvel and Buddhist virtuous acts in the 9<sup>th</sup> century as an effort to save themselves under Silla’s tight policy on Buddhis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오교양종(五敎兩宗)의 성격 재검토 -금석문을 중심으로-

        박광연 ( Park Kwang Youn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3

        오교양종(五敎兩宗)은 한국의 불교 종파(宗派) 논의의 핵심이 되는 용어이다. 일찍이 김영수(金映遂)는 신라 때부터 오교(五敎)라는 종파가 있었고, 신라 말에 오교구산(五敎九山), 고려 숙종 때 오교양종으로 종파가 변모해갔다고 하였다. 이후 오교구산의 허구성이 비판되었고, 오교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새로운 논의들이 시도되었다. 그럼에도 오교양종이 12세기 이후 고려시대 불교 종파를 총칭하는 말이라는 의견에는 별다른 의심이 없었다. 하지만 오교양종(양종오교 · 오교이종)은 13세기 이전의 사료에는 나오지 않는 표현이고, 시기 별로 그 성격이 변화해갔다. 무신집권기에 왕사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오교와 양종이 결합된 양종 오교가 처음 등장한다. 최충헌과 최우가 기득권이 없는 개별 불교 집단들도 포섭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지방에 거점을 둔 불교 집단들까지 중앙 정부 및 중앙 불교계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생기게 되었다. 무신 집권기의 양종오교는 최씨 정권에 우호적인 불교 집단들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원간섭기에는 오교양종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었다. 오교양종은 공의(共議)에 간영하였고, 국왕 주도의 불사(佛事)나 국가 행사에도 참여하였다. 여러 사례들을 볼 때, 원간섭기의 오교양종은 단순히 모든 불교집단의 총칭이라기보다는 개별 불교 집단, 그 가운데서도 친통치자적인 성향을 지닌 불교 집단을 대표하는 승려들로 구성된 본부(headquarter)나 일종의 중앙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 아닐까 한다. 이성계 세력이 주도권을 잡은 공양왕 때부터 본격적으로 오교양종을 파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후의 오교양종은 한편으로는 기구로서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원간섭기 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였을 것이다. 위상이 약화된 오교양종은 1424년(세종 6) 해산되게 되는데, 이때의 오교양종은 도읍에 거점을 두고 있는 주요 불교 집단들을 지칭하는 명칭으로도 이해된다. 이와 같이 오교양종은 고려후기~조선전기 역사적 상황에 따라 그 성격이 변화해갔다. 선행 연구에서처럼, 오교양종이 불교 종파의 총칭이라는 해석이 적용되는 시기가 있기도 하였지만, 고려 12세기 이후 전시기에 걸쳐 단일한 성격을 유지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五敎兩宗) is one of the critical concepts in the consistent discussion among scholars on Korean Buddhist schools. Kim Yong-su argued that the Five Teachings (五敎) had established during Silla dynasty and then evolved into the Five Teachings and Nine Mountains (九山) at the end of the dynasty, and finally developed to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during Koryo dynasty. However,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limitations of the theory of Five Teachings and Nine Mountains have been criticized and n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clarify what the Five Teachings exactly mean. Even with the questions directed to the theory, it has been undisputed that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refer to the Buddhist sects that existed during Koryo dynasty since the twelfth century. However, the term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does not occur in historical materials until the thirteenth century. This term first appears in process of the ceremony of selecting a national preceptor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武臣執權期) of Koryo dynasty. After that,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continued to remain and its role became even more significant. The contemporary Buddhist community participated in Buddhist events and national ceremonies, which are supported by royal family, in the form of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As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gain excessive political power on one hand and produced negative effects on the other, criticism on it kept growing, and finally King Sechong abolished it. Given such historical records, the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may been seen as referring to a kind of institution consisting of monks who represent pro-sovereign sects, rather than the generic term for Buddhist schools of Koryo dynasty. This new approach to the theory of Five Teachings and Two Sects enables us to see new phases of such historical events as the expulsion of Buddhism at the end of Koryo dynasty and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Buddhist circle during the beginning of Choson dynasty.

      • KCI등재

        신라의 불교 교단과 ‘종파’

        박광연(Park, Kwang-youn)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5

        본고는 한국의 종파 성립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蔡尙植의 견해들을 검토한 글이다. 金映遂가 제창한 五敎九山說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許興植이 신라말․고려초 종파 성립설을 주장한 이후, 채상식은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을 내세웠다. 그는 신라통일기를 중세의 기점이라 하고, 그 지표로서 불교 교단의 형성, 교학 연구의 심화, 일반 민으로의 불교대중화를 내세웠다. 그는 교단의 형성과 더불어 종파가 성립하였다고 하면서, 종파를 ‘특정 사상이 별도로 교학․의식(의례)․신앙 면에서 체계를 갖추고 소속 사원을 통해 그의 사상을 전 계층과 공유하게 된 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하지만 신라의 불교 교단 내에 의식(의례) 면에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집단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교단의 통제권에서 조금은 자유로웠던 초기의 義相系에서 채상식의 정의에 부합되는 ‘종파’의 요소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의상계의 모습은 7세기 후반~8세기 초반 신라 불교계 전체 상황에서 예외적이라 할 수 있고, 8세기 중반 경에는 의상계도 왕경으로 진출하여 중앙 교단에 동화되어갔기 때문에, 초기의 모습을 얼마나 유지할 수 있었을지 미지수다. 결론적으로, 채상식이 정의한 요소를 갖춘 ‘종파’는 신라 중대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Chae Sang-sik (蔡尙植)"s viewpoints as a part of analyzing the advance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sects. At the first, Chae Sang-sik’s criticism was raised against Heo Heung-sik (許興植) insisted o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o period establishment theory of Korean Buddhist sects. Chae Sang-sik claimed the Unified Silla perio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iddle period in Korea, and as an indicator of that theory, he suggested the formation of Buddhist order, the deepening of the scholarship of Buddhism and the generalization to the general public. He claimed that the Buddhist sects were established with the formation of the Buddhist order. He defined the sects as “group in which certain ideas have a system of teaching, ritual, and faith separately and shared his ideas with the whole class through temples”. However, groups with this independent system in the Buddhist order of Silla did not appear at any time. Rather, the early Uisang lineage, which was somewhat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Buddhist order, had the requirements of a “sect” that conformed to the definition of Chae Sang-sik. But the appearance of the early Uisang lineage was exceptional in the whole situation of the Silla Buddhist system in the late 7th to early 8th century, an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it went into the capital city, Gyeongju and assimilated to the central Buddhist order. It is quite questionable that the early appearance of Uisang lineage was kept in that period. In conclusion, I think the ‘sects’ that Chae Sang-sik claimed did not exist during middle period of Silla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