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身延文庫藏 無量壽經述記와 義寂의 사상 경향

        박광연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6 No.-

        The Muryangsugyeong-sulgi (Commentary on the Sukhāvatī-vyūha), a work of Shilla Uijeok, was found at the Minobu Libray in 2009. Preserved is only the book I and it consists of explanations on these things; 1)the course of Buddha’s attaining the Buddhahood - leaving home, attaining the Enlightenment, preaching the way and lastly getting the nirvana, 2)the merits of Buddha who got the nirvana, 3)Ananda’s questions and Buddha’s answers to them.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not known before. First, though Uijeok has been regarded as the follower of Huiyaun’s thoughts on Pure Land, there are some phrases which dissent from Huiyaun’s explanations. Second, there are very few citations from the earlier scholars, most of the explanations are on the ground of the phrases of the Huayan sutra, the Yogacārābhūmi, and the Dazhidulun. Third, different from Uijeok’s other works, the Huayan sutra is most frequently cited. Fourth, Uijeok’s own opinions are rarely pronounced. Fifth, Maitreya is frequently addressed. The Huayan sutra is cited six times in the work; for the explanations on the penances of Bodhisatva, the right rotation of Dharma-cakra, the meaning of Nirvana, the notion of the storehouse of Buddha-Dharma, and the merits of Samantabhadra. It is said that considering the not a few citations from the Huayan sutra and the tendency to understand the first part of the Sukhāvatī-vyūha using the number of 10, Uijeok must have been the disciple of Uisang and followed the Huyan school. It can be admitted that Uijeok had deep knowledge of the Huayan sutra, but it is hard to tell he belongs to Huayan school. There are no phrases which hints any connection with Uisnag’s Huayan theory. There are as many citations from the Yogacārābhūmi as the Huayan sutra. Guiji, the disciple of Xuanzang, frequently cited the Huayan sutra and the Shilla Yogacara monks had much interests on several Mahayana sutras. Uijeok’s citation of the Huayan sutra consists with such tendencies of the Yogacara monks at the time. So it is much more reasonable to regard Uijeok as a Yogacara monk who debated with Uisang, through which he deepened his understanding on the sutra. 2009년에 새로 발견된 미노부(身延) 문고의 『無量壽經述記』는 신라 승려 義寂의 저술이다. 康僧鎧 譯 『無量壽經』의 주석서로, 상권의 일부분이 남아 있다. 그 내용은 (1) 부처가 출가하여 깨달음을 이루고 설법하고 般涅槃에 이르는 成道 과정, (2) 반열반에 이른 부처의 여러 가지 공덕, (3) 아난이 부처의 공덕을 찬탄하며 질문하고 부처가 아난을 칭찬하며 설법하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상 특징을 몇 가지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의적을 慧遠系 淨土敎家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여기에서는 慧遠과 해석을 달리하는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논사들의 견해를 직접 인용하지 않고, 주로 『華嚴經』, 『瑜伽師地論』, 『大智度論』 등 經論에 의거하여 주석하고 있다. 셋째, 의적의 다른 저술과는 달리 『화엄경』 인용이 많다. 넷째, 의적의 주관적인 해석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다섯째, 彌勒을 거듭 언급하고 있다. 『무량수경술기』에 『화엄경』 인용은 모두 6회로, 보살의 苦行, 법륜을 바르게 굴린다는 것의 의미, 부처의 법륜이 중생에게 의미 있게 다가가는 까닭, 般涅槃의 의미, 佛法藏의 개념, 普賢菩薩의 덕에 대한 부분에서 등장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화엄경』 인용이 많고, 『화엄경』의 ‘十’ 개념을 중심으로 『무량수경』 서분을 이해하려고 한 것으로 보아 義寂이 義相의 문인이며 화엄 학맥을 계승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런데 의적이 『화엄경』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지만, 의상계의 화엄학승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무량수경술기』에는 ‘의상계 화엄교학’이라 할 만한 구절이 없고, 『瑜伽師地論』(또는 『顯揚聖敎論』)의 인용도 『화엄경』과 마찬가지로 6회나 된다. 玄奘의 제자인 窺基도 『화엄경』을 인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라의 유식 승려들이 다양한 대승경전에 관심을 가졌던 분위기를 감안할 때, 의적의 『화엄경』 인용은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적은 의상 제자라기보다는 기존 견해대로 의상과 對論을 펼쳤던 유식 승려이며, 의상과의 대론을 통해 『화엄경』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신라 진표(眞表)의 미륵신앙 재고찰

        박광연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진표가 한국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미륵신앙과 점찰법회를 앞세운 그의 교화 활동이 신라 사회에서 파급력이 있었고, 제자들을 통해 고려시대, 나아가 오늘날까지도 계승되는 생명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전하는 진표 기록에서 공통되는 요소는 금산사, 지장보살 및 미륵보살, 점찰법회, 계법이다. 이것이 8세기 진표의 불교 이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 가운데 진표 미륵신앙의 성격에 대해 재조명해보았다. 진표의 미록보살과의 만남은 관불삼매(觀佛三昧)를 통한 선정 체험이었던 것 같다. 이 사실이 이후 진표가 미륵보살을 직접 만났고, 미륵보살의 손가락뼈를 받았다는 영험담으로 변모하면서 일반민들의 불교에의 귀의를 적극 유도하였다. 진표는 미륵보살이 있는 도솔천에의 상생을 권함으로써 새로운 과보(果報)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심어주었고, 도솔천 상생의 방법으로 계법(戒法)을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진표가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시행하였던 목적과도 상통한다. 진표는 점찰법을 행하여 개개인의 점괘에 따라 선악의 업보를 판단함으로써 각자 자신의 업보를 알게 하고, 거기에 맞게 계를 주고 참회 정진하게 함으로써 과보를 바꿀 수 있다고 보았다, 진표의 미륵신앙을 법상종(法相宗)의 테두리 속에서 보는 연구들이 많은데, 오히려 율사(律師)로서의 진표의 역할을 재조명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The 8th century master Jinpyo (眞表) has been considerably emphasized in the Buddhist history of Korea because his teaching of Maitreya faith and divination service had far-reaching effects on Silla society. Further, his influence had a vitality which was transmitted by his disciples up the present. The common topics found in the many different Jinpyo-related texts are Geumsansa temple, Maitreya faith, divination service, and vinaya teachings. In particular, this paper re-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Jinpyo's Maitreya faith. Jinpyo's encounter with Maitreya Bodhisattva seems to have been an experience of meditative concentration by entering samādhi on the characteristic marks of a Buddha (觀佛三昧). Through word of mouth, this experience changed into a story of meeting the Maitreya Bodhisattva directly, and then to a story of spiritual efficacy when he received Maitreya Bodhisattva's fingerbone. These stories actively guided the general public to take refuge in Buddhism. Jinpyo led many common people to the expectation of reaping the fruit of good karma by keeping the precepts and being reborn in Tuṣita Heaven, where Maitreya Bodhisattva resides. This is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divination service of Jinpyo. He believed that one's individual karma can be known by divin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vinatory sign, Jinpyo gave the proper precepts to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ir karma and had them practice repentance in order to improve their karma. There are many studies of Jinpyo that tries to understand his Buddhism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法相宗 Dharma-character school). However, we have to reconsider the grounds for this perspective and re-examine the role of Master Jinpyo as preceptor (律師).

      • KCI등재

        부분집합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꼬인 삼각대 지지구조를 갖는 해상풍력발전기의 지진 신뢰성 해석

        박광연,박원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2 No.2

        This paper presents a seismic reliability analysis method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with a twisted tripod support structureunder earthquake loading. A three dimensional dynamic finite element model is proposed to consider the nonlinearity of theground-pile interactions and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isted tripod support structure where out-of-plane displacementoccurs even under in-plane lateral loadings. For the evaluation of seismic reliability, the failure probability was calculated for thelimit state equation defined b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ile head by time history analysis using artificial earthquakes forthe design return periods. The application of the subset simulation method using the Markov Chain Monte Carlo(MCMC) sampling isproposed for efficient reliability analysis considering the limit state equation evaluation by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The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reliability evaluation and design criteria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turbine with twistedtripod support structure in which two dimensional models and static analysis can not produce accurate results. 이 논문에서는 지진 하중을 받는 꼬인 삼각대 지지구조를 갖는 해상풍력발전기의 지진 신뢰성 해석 방법을 제시한다. 수평하중에 대해서 면외 변위가 발생하는 꼬인 삼각대지지 구조의 기하학적 특성과 지반의 비선형성을 포함한 지반-말뚝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한 구조물의 3차원 동적 유한요소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진신뢰성 평가를 위해 재현주기별 인공지진파를사용한 시간이력 해석을 통해 말뚝 두부의 수평변위로 정의된 한계 상태식에 대하여 파괴확률을 산정하였다.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한계상태식 평가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신뢰성 해석을 하기 위해 Markov chain Mote Carlo 샘플링 방법을적용한 부분집합 시뮬레이션 방법의 적용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은 2차원 모델 및 정적해석만으로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는 꼬인 삼각대 지지구조를 갖는 해상풍력발전기의 신뢰성 평가 및 설계기준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고려시대 동화사의 계단과 사리신앙

        박광연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2 No.-

        The origin of relic devotion at Donghwasa Temple begins with ganja (簡⼦), where Jinpyo (眞表), a monk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景德王) of Silla, received ordination from Maitreya Buddha. Jinpyo’s ganja was handed down to Donghwasa Temple by Simji (⼼地), the son of King Heondeok (憲德王). However, at the time,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Jinpyo’s ganja was a relic of the Buddha (舍利). First, with the addition of a pedantic interpretation of Jinpyo’s ganja, the perception that the eighth and ninth ganja were the finger bones of Maitreya Buddha was fo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靖宗) of Goryeo, Donghwa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temple with space for official ordination (官壇寺院). After the ordination platform was installed, the ganja was enshrined on the alter, and devotion of the relics was emphasized. King Yejong (睿宗), the 16th king of Goryeo, named this ganja “holy ganja” and moved it to the palace where it would be honored. The ganja handed down by Mireuk are said to be made from the bones of his finger. This is based on academic studies in Confucianism and Mireuk’s ideology. After accepting the relics of the Buddha from the Tang Dynasty in the late 9 th century relic devotion became popular during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 was a case of sealing in the ordination platform. Due to the influence of Doseon (道宣), who claimed that the platform was to be indentified as as pagoda, relics of the Buddha were kept in ordination platforms. For that reason Jinpys’s ganja was recognized as sacred and handed dowon to Donghwasa Temple. Donghwasa Temple was then designated as an official temple and built a platform based on the Platform Sutra (戒壇圖經). Through this article, it was possible to confirm patterns regarding the sacredness of an object regarding the devotion of relics. Such research, which encompasses access to sacred objects or relics of the Buddha and the architectural space of ordination platforms, is meaningful in expanding the scope of areas of Korean Buddhist history which lack historical data by linking literature to material data. 동아시아의 많은 통치자들이 치자(治者)로서의 권위를 확보하는 데 불사리를활용하였다. 고려의 16대 국왕인 예종(재위 1105-1122)이 동화사에 소장되어있던 불사리를 궁궐로 가져와 공경하였는데, 이글에서는 동화사 불사리의 성격변화에 주목하였다. 동화사 불사리의 기원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였던 진표가 미륵에게 받은 점찰간자에 있다. 진표의 점찰간자는 헌덕왕의 아들 심지가 동화사에서 전해온 것이다. 진표 당시만 해도 이 점찰간자가 부처의 뼈라는 인식이 없었다. 그런데 어느시기엔가 점찰간자 가운데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의 것이 미륵불의 손가락뼈라는인식이 형성되었고, 고려 예종 때에는 이 간자를 ‘성간(聖簡, 신성한 간자)’이라여겼다. 미륵에게 받았다는 간자가 미륵의 손가락뼈로 만든 간자로 변신한 배경에는유식학이나 미륵사상 같은 학문적 배경도 있지만 사리신앙의 성격 변화도 있다. 신라에서는 9세기 후반 당으로부터 골아형사리를 수용하였고, 이후 골아형사리가유행하였다. 또 계단(戒壇)에 사리를 봉안하는 사례도 등장한다. 계단이 곧 불탑(佛塔)이라고 인식하였던 도선 사상의 영향으로, 고려시대에 계단에 불사리를 보관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동화사에 전해오던 진표의 점찰간자가 성스러운 불골로인식되게 된 직접적인 배경에는 동화사가 관단사원으로 지정된 후 계단도경에의거한 계단을 건립한 일이 있었다. 이 글을 통해 점찰간자라는 물(物)이 전해지면서 신성함을 더해 성물(聖物)로변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사리라는 신성한 대상과 계단의 건축적 공간에 대한 접근을 아우르는 연구 방법을 통해 사료가 부족한 한국 불교사의 영역을 넓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후기 僧政의 변화와 불교 宗團

        박광연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3

        It was not until the modern period that the Buddhist organization similar to that of the sect in Japanese Buddhism was formed in Korea. Even so, it is difficult to assure that there were not the Buddhist sect before this modern era. What was called ‘Ŏp’(業)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later changed to ‘Chong’(宗, Buddhist sect) throughout the 12th century, then becoming the ‘monk’s order’ (Sŭngt’an, 僧團) after the 13th centur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hese changes in relationship to changes within the monk’s order and changes of Buddhist policies, and those of Goryeo society.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 ‘monk’s order’ became the ‘Buddhist sect,’(Chongt’an, 宗團)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Buddhist sect as a unit within the Buddhist order increased. In this aspect, the Buddhist order in the late Goryeo dynasty shares similarities with Japanese Buddhist sect in the Kamakura period. However, Korean Buddhism is unique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ect and the State was formed and developed differently.

      • KCI등재

        7세기 중반 신라 밀교의례의 설행 주체-명랑의 정체성에 대한 검토-

        박광연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3

        사천왕사가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明朗을 비롯한 당시 중앙 교단의 승려들이 신라 사회가 불교계에 요구하는 바를 훌륭하게 완수하였기 때문이었다. 국가 존망의 위기 속에 明朗은 佛法으로 적을 물리칠 수 있다는 믿음을 신라인들에게 심어 주었다. 사천왕사에서 행한 文豆婁法은 신라 최초의 국가 주도 밀교의례였지만, 의례 집행자인 명랑을 밀교승이라 규정할 수는 없다. 진골귀족 출신의 명랑은 유학 기간(660년대 전후로 추정함) 동안 당에서 황실의 후원 아래 주류 불교를 수학하였을 것이다. 당시 당에서는 신유식학이 유행하고 있었다. 밀교의 수용도 본격적이었으니, 새로운 밀교문헌을 빈번하게 역출하였고 불상을 동반한 밀교의례도 설행하였다. 중요한 것은 이 밀교의례를 주관한 사람이 밀교승에 한정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무측천의 요청을 받아 십일면관음도량을 설행한 法藏은, 전공이 화엄이었다. 밀교의례의 주관자가 밀교승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밀교승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8세기 전반의 신라에서도 밀교의례를 행했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말해준다.

      • KCI등재
      • KCI등재

        관단 사원과 계단(戒壇) -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 -

        박광연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8 No.-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local temples in the early Goryeo period, focusing on the Geumsansa Temple. The Geumsansa Temple was famous for the activities of the Reverend Jinpyo (眞表), but there are few relevant historical records. In the Goryeo Dynasty, it was discussed that Sohyeon (韶顯, 1038-1096), a royal preceptor, established the Kwangyowon (廣敎院) there, and he led the prosperity of the yoga department (瑜伽業, Dharma-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publication of the Canonical Works (敎藏).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Geumsansa Temple before and after Sohyeon. So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the Geumsansa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by utilizing the artifacts and document records as many as available. I noticed who built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how the ordination platform (戒壇) was used. In particular, I emphasized that the Geumsansa Temple was a temple with a space for official ordination, and that it has an important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 이 글에서는 고려전기 지방 사원의 위상 변화를 금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산사는 신라 경덕왕대의 진표의 활동으로 유명하지만, 관련된 역사 기록이 많지 않다. 고려시대 들어 혜덕왕사 소현이 광교원을 세우고, 그곳에서 유가업의 현창과 敎藏의 간행을 이끌었음이 주요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렇지만 소현 前後 의 금산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금산사에 관련된 유물 및 문헌 기록을 종합하여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 내 위상이 변화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오층석탑(五層石塔) 을 조성한 주체가 누구인지, 방등계단(方等戒壇)이라 불리는 계단을 고려시대에 어떤 용도로 사용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고려 전기에 금산사가 국가에서 지정한 구족계 수계 사원, 즉 관단 사원이었다는 사실이 지니는 사회적ㆍ역사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