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80년대 서울의 도시화와 초등교육환경 변화

        박광명 역사와교육학회 2023 역사와 교육 Vol.37 No.-

        이 글은 1960년대부터 80년 중반까지 서울의 도시화와 행정구역 확장에 따 른 초등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60년대 의 서울은 급격한 학령인구 증가와 ‘교실난’으로 인한 교육환경 악화가 가장 주요한 교육 현안이었다. 더불어 이러한 열악한 교육환경은 지속적인 산업화 와 도시화 과정속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1960~80년대 서울의 초등교육환경에 대한 기존의 편년사와 연구들은 과 밀학급 실태에 대해 사실 내용만을 나열하거나,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서울시의 교육제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민학교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1950년대 당시와 1980년대 이후의 통계만으 로 분석이 진행된 결과이다. 한편으로 해당 시기의 교육환경을 모두가 경험 했기에,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라는 판단이 있으리라 짐작한다. 그렇기에 실 질적인 과밀학급 문제가 언급되지 않는, 대략 2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해당 시기의 자료와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산업화 시기 대도시 서울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기존의 통계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 에서 간단히 다루었던 60~80년대 국민학교 교육환경에 대한 분석에 초 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의 도시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 러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 인구 과밀화가 서울의 교육 여건 수요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의 도시화는 전후의 급격한 인구 이동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한 개발은 60년대에 들어서야 가능했다. 교육환경 개선의 여론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 울의 도시계획에는 교실난으로 인한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 책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였다. 결국 교육환경 측면에서, 한국의 ‘압축성 장’은 대도시 서울의 ‘압축교실’을 만들어냈다. 당시의 정부와 서울시의 재정 상황에서 이는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었을 수도 있었다.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압력 속에서 대도시 서울의 국민학교 교육환경은 열 악한 환경에 처해 있었다. 과밀학급 문제는 교원수와 교실수의 부족으로 기 인한 것이었다. 이는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나아 가 교육환경 격차로도 이어졌다. 정부와 관계 당국 역시도 이에 대해 해결 방 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교실수 확보보다는 교원수의 증가를 통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가족계획정책이나 핵가족 사회로의 변화 등과 같은 자연적 학령인구 감소를 통해 해소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due to the urbanization of Seoul and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In Seoul in the 1950s and 1960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ssues were the rapid in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lassroom difficulties(敎室難)." In addition, this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annual history and studies on Seoul's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1960s and 1980s did not list only the facts or attempt a full-scale analysis on the status of overcrowded classes. This focused on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in Seoul, and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was conducted only with statistics from the 1950s and 1980s. On the one hand, since everyone has experienc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period, I guess there is a judgment that everyone knows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data and contents of the period at the point of approximately 20 years, when the actual overcrowded class problem is not mention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rganize and analyze existing statistical data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metropolitan Seoul during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60s and 80s, which was brief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urbanization process in Seoul, and how the overcrowding of urban populations due to such urbanization has changed the demand for educational conditions in Seoul. The urbanization of Seoul was carried out through rapid population movement after the war, and development based on urban planning was only possible in the 1960s. Despit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oul's urban planning did not properly reflect active measures to resolve overcrowded classes due to classroom difficulties. Eventuall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Korea's "compressed growth" created a "compressed classroom" in Seoul, a metropolitan city. This could have been a natural choice in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and Seoul at the time. Under the pressur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metropolitan city, was in a poor environment. The problem of overcrowded classes was caused by a lack of the number of teachers and classrooms. It also affected students' study achievement. Furthermore, it led to a gap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overnment and related authorities also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However, rather than securing the number of classrooms, it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increased the number of teachers, and since then, it has moved toward resolving through a decrease in the natural school-age population, such as family planning policies and changes to a nuclear family society.

      • KCI등재

        미군정기 中央經濟委員會(1946~1948)의 조직과 활동

        박광명 한국근현대사학회 201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4 No.-

        The National Economic Board(NEB) was the top legislative organ which supervised an economic policy and a national budget of the South Korea unde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The NEB had a highest authority over an economic policy of the South Korea. It deliberated various national issues and suggested advices about the issues to the Governor of USAMGIK. The organization of the NEB and the changes of its system can be a specific case of a typical reorganization process of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USAMGIK and ‘the Koreanization policy’ of USAMGIK.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NEB will provide us a clue that will help us to understand an economic policy of USAMGIK and to examine conditions of national administration of USAMGIK.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a nature of the NEB and its economic policies by analyzing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of the NEB as well as its activities. The NEB replaced the Planning Section of the Secretaria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Korea and the ministry of secretariat of USAMGIK. The NEB supervised an economic policy of USAMGIK as the ‘supreme agency’ in the government. The NEB had a great influence on various economic issues of the South Korea. The fact that the NEB deliberated a national budget and budgets of departments in the government proves that the NEB had the highest authority on economic issues in USAMGIK. It had a bigger influence on deliberation of a national budget than the South Korea Interim Legislation Assembly(SKILA) did. SKILA was the legislature at the time. The goal of an economic policy of the NEB was to help USAMGIK administration and to stabilize the South Korean society. For example, the NEB made and conducted an inflation control policy to accomplish the goal above. All economic policies which were made and conducted by the NEB were based on the same goal. A trade policy was conducted to make up for a shortage of materials. A wage policy was focused on ‘hold the line policy’ which was conducted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cy in circulation. When the wage policy caused a public conflict, the NEB conducted a wage control policy to resolve a conflict. A mining policy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a domestic production didn’t aim to increase and actual production. The NEB collected and arranged statistical data about economic issues of the South Korea in consideration of an economic relation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fter USAMGIK hand over the power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duct of said works was also related to an establishment of economic policies of USAMGIK but it was mainly to help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stablish its own economic policies after USAMGIK hand over the power.

      • KCI등재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논리

        박광명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동국사학 Vol.62 No.-

        본고는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채택 논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당시의 가족계획정책은 현재의 인구구조와 출산장려정책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서는 해외 인구이론 및 인구정책의 영향을 받아 산아제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산아제한 담론은 정부정책에 영향을 주어 1공화국기에 입안되었던 경제개발3개년계획에 그 필요성이 언급된다. 더불어 민간영역에서 가족계획정책을 수행할 대한가족계획협회 역시 설립되었다. 하지만 4·19혁명과 5·16 군사쿠데타로 인해 구체적인 정책으로는 시행되지는 못했다. 5·16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군사정부는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경제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가족계획정책이 입안·시행되었다. 군사정부는 1공화국시기 경제개발3개년계획의 가족계획정책을 계승하면서, 입안 배경과 목표 설정 과정에서 그것을 변용하였다. 정책의 필요성을 언급했던 최초 계획은 2공화국기와 군사정부 시기를 거치면서 정책 목표와 방향이 명확해졌다. 이후 군사정부의 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이후 보완계획에는 정책을 위한 수행 방안과 사업비 계획까지 수립되었다. 가족계획정책의 계승과 변용, 시행 과정에서 군사정부는 정책의 채택 논리로 ‘수익-비용’분석 방식을 활용하였다. ‘수익-비용’분석은 공공투자사업 선정시 특정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경제학 산술 방식이다. 가족계획정책의 채택을 위해 활용된 ‘수익-비용’분석은 출생부터 14세까지 국민 1인에게 국가가 투자해야 할 비용에서 1인의 출생방지에 소비된 피임 비용을 감해서 산출된 이익분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 논리를 바탕으로 가족계획정책은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이후 30 여 년간 국가 시책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정책 채택의 논리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정책 결정자로서의 군사정부가 국민과 인구를 ‘생산의 주체’보다는 ‘소비의 주체’로 인식한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후복구기(1954∼1956)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전개와 성격

        박광명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The ‘Industrial Projects(중소기업개발계획)’ was a project that showed the model of project assistance among the Korean economic aid programs in the 1950s. This paper analyzed the detailed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Projects from 1954 to 1956, the postwar recovery period. This paper examined the Industrial Projects from fiscal 1954 after the Korean War to fiscal 1956, when the post-war restoration was completed. The Industrial Projects was a planned project assistance for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dustries in the facility business sector. In addition, it became the basis for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to grow. In the post-war recovery period, Industrial Projects was actively allocated aid funds to factories in Seoul, Gyeongin, and Gyeongnam. In addition to the chemical industry, aid funds were allocated to the metal machinery industry and textile industry. The purpose of the continuous Industrial Projects was to foster factories for import substitution and export purposes. At that time, the representative projects was 17 silk mills through the Korea Sericultural Association(대한잠사회). On the other hand, the agar plant was a project with the main purpose of export. In addition, the allocation of aid funds to pharmaceutical factories is one of the key features. In the post-war recovery period, Industrial Projects aimed at industrial rehabilitation for post-war recovery, but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selecting end users were not standardized. In other words, it was a project that partially considered regional characteristics. ‘중소기업개발계획’은 1950년대 대한경제원조 프로그램 중에서 계획원조의 전형을 보여주는 사업이었다. 본고에서는 전후복구기인 1954년부터 1956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세부 전개 과정과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고는 한국전쟁 이후인1954회계연도부터 전후복구 완료 시점인 1956회계연도까지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을 살펴보았다.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시설사업부문의 제조가공업 복구 및 재건을위한 계획원조사업이었다. 전체 ICA 원조자금 총액의 2.94%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지만, 사업의 범주나 성격에서 매우 중요한 사업이었다. 더불어 한국의 중소 제조업체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전후복구기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서울, 경인, 경남 지역의 공장들에 적극적으로원조자금이 배정되었다. 더불어 화학공업 이외에도 금속기계공업과 섬유공업 분야 에 중점적으로 원조자금이 배정되었다. 지속적인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목적은 수입대체와 수출 목적의 공장 육성이었다. 당시 이를 대표하는 프로젝트가 대한잠사회를통한 17개소의 제사공장들이었다. 한편으로 한천 공장은 수출을 주요 목적으로한 프로젝트였다. 또한 제약공장들에 대한 원조 자금 배정 역시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전후복구기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전후복구를 위한 산업부흥에 목적을 두었으나, 실수요자 선정 기준과 절차가 정형화되지 못하였다. 한편으로 지역적 특성이 일정부분 고려된 프로젝트였다.

      • KCI등재

        미군정기 경제상황과 여순사건의 사회경제적 배경 –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박광명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opular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Yeosu-Suncheon(Yeosun) incident(旅順事件). The Yeosu-Suncheon incident is not a case in which only 14th Regiment members were the main agents, but also has meaning as a public uprising in Yeosu and Suncheon. This public participation requires a clear analysis not only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public saw, but also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before the incident. Existing studies on the participating class of the Yeosu-Suncheon case revealed that “anti-police (anti-police consciousness)” and economic conditions we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public participation, but this was also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analysis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existing U.S. military period, especially regional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U.S. military period, which was developed before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Just as the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al era influenced the later histor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U.S. military period greatly influenced the public's perception. In this process,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rol economic policy and the rice collection policy were reenacted even during the U.S. military season, and the public's antipathy toward the police as an enforcement body for rice collection continued. In particular, Jeollanam-do achieved a collection rate of 86.5%. In additio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roduction of mixed grain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collection of river valleys in Jeollanam-do came as a greater burden on farmers. The ratio of tenant farming and self-growing farmers to the total number of farmhouses in Suncheon area reached 89.8%. This means that most farms in Suncheon belong to tenant farmers. It is clear that the actual state of rice production due to rice colle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tenant farmers, and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most farmers in Suncheon at that time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rice collection. This socioeconomic background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public's participation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Incident. 여순사건은 14연대원만이 주체였던 사건이 아니라, 여수⋅순천지역의 대중항쟁으로서의 의미도 갖는다. 본고는 여순사건에 참여했던 대중계층의 참여 배경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중의 참여는 대중이 목도했던 상황뿐만 아니라 사건 이전부터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서도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순사건의 참가계층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해 ‘경찰집단에 대한 반감(반경의식)’과 경제적 상황이 대중의 참여에 주요한 원인 중 하나였음이 밝혀졌지만, 이 역시 기존 미군정기의 경제적 상황, 특히 지역의 상황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우선 정부수립기 이전에 전개되었던 미군정기의 경제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제강점기 통제경제정책과 미곡수집정책이 미군정기에도 그대로 재연되었고, 미곡수집 집행 기구로서의 경찰에 대한 대중의 반감 역시 지속되었다. 특히 전라남도의 미곡수집율은 86.5%에 이르렀다. 더불어 전라남도의 하곡수집은 농민들에게 더욱 막대한 부담감으로 다가왔다. 순천지역은 전체 농가호수 대비 소작과 자소작농가 비율이 89.8%에 이르렀다. 이는 순천 대부분의 농가가 소작농에 속했음을 의미한다. 미곡수집으로 인한 공출이 소작 농가에 더욱 많은 영향을 끼쳤음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를 통해 당시 순천의 대부분 농가들은 미곡수집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여순사건 당시 대중들의 참여에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이 주요하게 자리하고 있다.

      • KCI등재

        부식손상된 강재의 피로강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광명,정영수,김인태 한국강구조학회 2023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부식손상된 강부재의 피로강도 평가법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제 대기환경에서 7년간 노출되어부식손상된 가시설 주형보와 75년간 해상환경에서 공용된 강교량에서 절취한 시편을 각각 22개와 9개 제작하여 부식표면형상을측정하고 고속푸리에변환 분석을 통해 응력집중계수를 계산하여 피로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식표면형상 측정으로 산출한부식두께비로 부식등급을 분류하고, 최소단면과 피로파단의 그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부식등급에 따른 피로균열 진전거동 및응력집중계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평균두께, 최소두께, 최소평균두께 및 유효두께에 근거하여 피로등급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부식손상된 강재의 피로강도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predict the fatigue strength of steel members in bridge structures, focusing on the corrosion damages. To evaluate the fatigue strength of corroded steel, corroded members were cut from the temporary steel structures and steel bridge exposed in long-term atmospheric environment, and fatigue tests were conducted after measuring the surface profile and calculated stress concentration factor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 Based on corrosion levels clas sified from the corrosion thickness rati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imum cross section area and fatigue crack point, fatigue strength of the corroded steel were evaluated.

      • KCI등재

        미군정기 경제통제정책의 시행과 암거래 실태

        박광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해방 직후 미군정 치하의 정치․경제적 변화는 순조롭지 못하였다. ‘현상유지정책’을 점령 기조로 삼았던 미군정은 남한의 높은 ‘인플레이션 현상’과 ‘생산성 저하’에 직면하여 다시 통제경제정책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1946년 5월 28일 군정법령 90호 ‘통제경제령’이 공포되었고, 물자의 배급과 가격이 통제되었다. 다시금 이러한 배급과 통제로 인해 ‘暗市場’이 성행하였고, 결국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제강점기의 암시장은 계속 존치되었다. 미군정기의 암시장은 미군정 초기부터 후반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졌으며, 지역별로는 식량 생산지가 아닌 대도시에서 더욱 잦은 현상이었다. 당시 암시장은 일반 대중 입장에서는 생계유지를 위한 현장이었다. 그렇기에 암거래 행위는 전재민과 실업자 등의 사회적 약자들의 주요 생계 수단이었다. 거래는 암거래 물품을 실소유한 자본주와 계약을 맺고 채무까지 진 전재민이나 실업자가 점조직으로 활동하여 직접 호객 및 거래를 알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암시장에서 거래되었던 물품은 생활필수품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남한 내에서 생산이 불가능했던 사치품이어거나, 품질이 좋았던 미군용 담배와 약품 등도 있었다. 미군정은 이에 군용물자의 시장 유출을 막고자 군표 활용, 지속적 단속, 규칙 제정 등의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물자통제와 물자의 부족, 경제경찰의 폭압적인 단속을 경험하였던 일반 대중은 같은 경제적 상황을 해방 이후에도 경험하였다. 생산량의 감소와 더불어 전시체제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였다. 일제강점기의 경험 속에서, 시장에는 생존의 문제와 영리추구의 기회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결국 미군정기에도 암시장에서의 거래는 계속 유지되었다. 이는 한편으로 식민지경제의 또 다른 유산이었다. 1937년 이후 전시체제기 통제경제하에서 암시장에서의 암거래를 통한 재화 구매와 판매를 체화하였던 일반 대중은 또 다시 미군정기의 경제통제와 물자부족, 인플레이션 현상 속에서 생계유지를 위한 방편으로 암시장에서의 암거래를 선택하였다.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unde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did not go as smoothly as korean had expected after the liberation. The USAMGIK, which used the "status quo policy" as its basic occupation policy, implemented economic control policies in the face of the South's high inflation and low productivity. Accordingly, on May 28, 1946, the USAMGIK promulgated Ordinance No. 90 “Economic Control”, and controlled the distribution and price of goods. As a result, black markets were again rampant. Black markets continued from the beginning of the USAMGIK regime to th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by region, they were more frequent in large cities, not in food production sites. At that time, the black market was a site for people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Thus, black market activities were the main means of livelihood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cluding the war refugees and the unemployed. The black market trading was made by directly arranging for customers and trading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war refugees and the unemployed contracting with the capitalist who owned the black goods and paying the debt as a branch organization. The goods traded on the black market consisted mainly of daily necessities, or luxury goods and U.S. army cigarettes and medicines of good quality that could not be produced in South Korea. USAMGIK also mob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using military tickets, continuous crackdowns, and enacting rules to prevent the outflow of military goods. The general public, who experienced material control, shortage of goods, and the overwhelming crackdown of economic poli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experienced the same economic situation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addition to the decrease in production, there was an unparalleled inflation compared to the wartime system period. In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era, the aware of survival problems and opportunities for profit pursuit spread in the market, and eventually trade in the black market continued throughout the USAMGIK period. In other words, it was a legacy of the colonial economy. Since 1937, the general public who had embodied the purchase and sale of goods through trading activities on the black market under the economic control of the japanese wartime system period, again chose black market activities as a way to maintain a livelihood amid a economic control, a shortage of supplies and inflation during the USAMGIK period.

      • KCI등재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박광명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6

        근현대 인천항은 국도의 관문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미군과 UN군이 직접 관리하는 항구로 분류되면서,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은 일정 부 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기존의 역사를 반영하듯, 근현대 인천항의 역사 서술들은 대부분 1950년대의 전후 복구와 개발이라는 측면에 대해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있다. 본고는 그간 소외 받아왔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의 역사를 복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천항은 수도 서울로 향하는 국도의 관문으로, 부산항에 이어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 항 구였다. 특히 인천항은 수도 서울 점령을 최우선으로 한 미군의 진주 공간으로, 해방 이후 미군 이 가장 먼저 진주했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 제2차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항구로서의 역할이 축소되 었던 인천항은 미군정의 수출입 통로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을 전후로 해서는 원조 물자의 수입 창구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인천항은 항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고, 전쟁 이 후 항만 복구 계획에 대한 논의와 계획이 1950년대에 지속되었다. 본고는 1·4후퇴 당시 인천항의 항구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과 전후 복구 과정에 대해 자 세히 살펴봄으로써 본격적인 개발연대기 이전 인천항의 복구 과정을 복원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인천항이 ‘개발’이 아닌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항만 개발이 진행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인천항의 발전 이전 시기, 전쟁 피해를 복구하던 인천항의 모습을 역 시 다시 복원하고자 한다. 1950년대에도 인천항은 중요 물자의 수입을 통한 국도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하였고, 해당 시기 계획된 장기 항만 운영계획은 이후 인천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Modern Incheon Port was an important gateway to national capital. However, as it was classified as a port directly managed by the U.S. and UN forces thr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was bound to be restrict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reflecting the existing history, most of the modern Incheon Port's historical descriptions don’t properly analyze aspects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1950s.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he history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a fter the liberation that had been neg lected. Incheon Port was the gateway to the national road to the capital, Seoul, and was the representative port of Korea after Busan Port. In particular, Incheon Port was the occupied space of the U.S. military, which prioritized the occupation of Seoul, the capital, and was the first place where the U.S. military stationed after liberation. Japanese colonial era Incheon Port, whose role as a port was reduced due to World War II, was used as an export and import channel fo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was used as an import channel for aid supplie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Korean War, Incheon Port lost its function as a port, and discussions and plans for port rehabilitation continued in the 1950s after the war. This article restored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Incheon Por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solidarit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losing its function as a port of Incheon Port at the time of the Reds Marched(1·4후퇴) and the post-war rehabili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port development in the 1950s focused on ‘post-war rehabilit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in Incheon Por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cheon Port, which had been recovering from the war damages before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Incheon Port continued to serve as a gateway to the capital through the import of important materials, and the long-term port operation plan planned for that perio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later.

      • KCI등재

        4‧19 이후 중소기업개발계획 운영 실태와 ICA 부진기업체 정리

        박광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2

        The demand for political change due to 4‧19 Revolution led to the demand for economic and social change. Economic assistance programs conducted through Industrial Projects(중소기업개발계획) in the 1950s came under such criticism. This article analyzed the criticism and countermeasures after 4‧19 Revolution of the Industrial Projects, which was a planned aid project, among the U.S. economic assistance programs in the 1950s. The reasons for the sluggish Industrial Projects of ICA, which was understood in Korea at the time, were changes in market conditions, political pressure, poor planning itself, and delays in technical review and approval by the U.S. These problems remain the challenges of the Democratic Party's regime. The Democratic Party(민주당) of Korea regime advocated "economic firstism that promotes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n,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has proposed measures to foste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one of the corrective policies to achieve 'economic first'. On the one hand, this could have been a measure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progress of the Industrial Projects. But the policy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as suspended due to the May 16 military coup. Among the Industrial Projects, the issue of reorganizing Bad Projects(부진기업체) has been handed over to the military government. In 1962, the Ministry of Finance proposed agenda item 43, 'Loan to ICA Bad Projects', to clean up ICA sluggish companies. At the time when the bill was proposed, the method of reorganizing sluggish companies was proposed to change, sell, hold the sale, switch the industry, finance, and others. Until 1966, there were some companies with poor ICA operations that were not properly operated, and it served as a financial burden for the Korea Development Bank(산업은행). Eventually, the Bad Projects were transferred to the Adjustment Corporation(성업공사, Currently,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4‧19로 인한 정치적 변화 요구는 경제사회적 변화 요구로 이어졌다. 1950년대 중소기업개발계획(Industrial Projects)을 통해 진행되었던 원조 프로그램 역시 이러한 비판과 변화 요구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 글은 1950년대 미국의 대한경제원조 프로그램 중, 계획원조 사업이었던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4‧19 이후의 비판과 대응책 마련에 대해 분석하였다. 당시에 국내에서 파악하고 있던 ICA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부진 사유는 시장 여건 변화‧정치적 압력‧계획 자체의 부실‧미국 측의 기술검토 및 승인 지연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민주당 정권의 과제로 남겨졌다. 민주당 정권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경제제일주의”를 표방하였다. 이후 민주당은 정권은 ‘경제제일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시정방침의 하나로 중소기업육성책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편으로 중소기업개발계획의 부족한 진행 상황을 보완할 수 있는 조치가 될 수도 있었다. 5‧16 군사쿠데타으로 민주당 정권의 정책은 중단되었다. 중소기업개발계획 중에서 부진기업체들에 대한 정리 문제가 군사정부의 손에 넘겨졌다. 1962년, ICA 부진기업체 정리를 위해 재무부로부터 심의안건 43호, ‘ICA 부진기업체에 대한 융자’가 상정되었다. 의안이 발의되던 당시의 부진기업체 정리 방법은 실수요자 변경‧매각‧매각 보류‧업종 전환‧융자‧기타로 제안되었다. 1966년 당시까지도 ICA 부진기업체들 중에는 제대로 운영이 안 되던 곳들이 있었고, 산업은행의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결국 부진기업체들은 자산매각 전문 기관인 성업공사(現 자산관리공사)로 이관되었다.

      • KCI등재

        현대 사회·경제사 연구성과와 과제

        박광명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achievements achieved by Journal of K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 Geun-yeon)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The achievements to be analyzed are about 60 papers related to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containing up to volume 99 by Han Geun-yeo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relative ratio of research papers or criteria by period, subject, and contributor, the location of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studies contained in Han Geun-yeon was confirmed, and the tendency of the study was analyzed. Of the 209 modern history papers included in Han Geun-yeon, 61 are related to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The subject period of the thesis reflects the research trend of the academic world, and 68.3% of the thesis is contained in the first republic period from the US military period. Overall,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from the 2010s to the time and target. It is noteworthy that the writing of the thesis in the field of moder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included in Han Geun-yeon is centered on the class of 1980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researchers major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increased extensively since democratization in the class of 1980s, and another reason is that after the mid-2000s, when Han Geun-yeon was systematized and growing.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at the research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s still insufficient. Finally, points to be presented at the academic level were presented to promot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iming and subject of the study. Second, active activities on how to introduce and utilize data related to modern history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emerging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odern history and expand the area of research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link academic activities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and academic depart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easy posting conditions along with strict screening standards. 이 글은 한국 현대 사회·경제사 분야에서 ≪한국근현대사연구≫(이하 ≪한근연≫)가 이룩한 연구성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성과들은 ≪한근연≫ 99집까지 수록된 60여 편의 현대 사회·경제사 관련 논문들이다. 연구논문들의 상대적 비율이나 시기별·주제별·투고자별 기준을 통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한근연≫에 수록된 현대 사회·경제사 연구의 위치에 대해확인하고,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한근연≫에는 수록된 209편의 현대사 논문 중에, 현대 사회·경제사 관련논고는 61편이 수록되어 있다. 논고들의 주제 시기는 학계의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미군정기부터 1공화국기에 68.3% 의 논고가 수록되어 있다. 전반적으로2010년대를 기점으로 시기와 대상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확장되었다. 주목할만한 점은 ≪한근연≫에 수록된 현대 사회·경제사 분야 논고의 필진은 80년대 학번이 중심이 되고 있다. 80년대 민주화 이후 대대적으로 근현대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한근연≫이 체계화되고 성장하는 시점인2000년대 중반 이후에, 80년대 학번의 왕성한 활동이 이어졌다는 점이 또 다른이유가 될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학문 후속세대들의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점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사 분야 연구의 증진을 위해 학회 차원에서 제시되어야할 점들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시기와 주제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대사 관련 자료 소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현대사 분야에 대한 신진 연구자의 발굴과 연구 활동 영역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타 학회 및 학문 분과와의 학술활동 연계가 필요하다. 다섯째, 엄격한심사 기준과 함께 손쉬운 투고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